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트럼프, 文에 전화 걸어 왜 당신과 북 얘기 다른가 물어"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트럼프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왜 (문 대통령이) 김정은과 만난 뒤 내게 전달해줬던 개인적 장담(assurance)들과 북한의 공식 담화 내용은 상충되는 것이냐'고 묻고자 토요일(19일) 밤 전화를 걸었다."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통화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통화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연합뉴스]


NYT,"내게 말한 것과 북한 담화 내용 왜 상충되냐" 묻고자 전화
미 정부 일각, "트럼프의 불편한 심기 보여주는 것" 분석 대두
트럼프, "위험 떠안고 협상 추진 계속해야 하느냐" 측근들 압박

뉴욕타임스(NYT)는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건 전화는 문 대통령 방미 불과 사흘 전에 이뤄졌다"면서 "이는 문 대통령이 워싱턴에 올 때까지 기다릴 수만은 없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불편한 심기(discomfort)'를 보여주는 것이란 해석이 미 정부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마디로 트럼프는 한국을 통해 전달된 북한의 비핵화 협상 의지를 철썩같이 믿고 있었는데, 상황이 이상하게 전개되자 한국의 '중재 외교'에 의심을 품기 시작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NYT는 다음달 12일로 예정돼 있는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트럼프의 우려가 갈수록 커지면서 "트럼프가 측근들과 동맹들을 압박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위험을 떠안고 계속 북미정상회담을 진행시켜 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최근 며칠 간 질문을 퍼붓고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우리 핵 무기 능력과 경제원조를 결코 맞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한 북한의 담화에 놀라고 분노했다(surprised and angered)"고 지적했다.
북한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은 16일 담화에서 "미국이 우리가 핵을 포기하면 경제적 보상과 혜택을 주겠다고 떠들고 있는데, 우리는 언제 한 번 미국에 기대를 걸고 경제건설을 해본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그런 거래를 절대로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NYT는 트럼프 참모들이 두가지를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첫째는 트럼프가 노벨상을 염두에 두면서 이번 회담을 지나치게 갈망하는 듯한 신호를 보이고 있다는 우려다. 이를 간파한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협상에서 '시간이 지나면 사라질 약속'을 준비할 것이란 설명이다. 또 하나는 "협상에서 미국이 양보해선 안 되는 핵심 요소에 대해 과연 제대로 이해를 하고 있는지, 또 세부 협상에서 어떤 카드를 갖고 있느냐"에 대한 우려다. 트럼프의 경우 전임 버락 오바마나 조지 W 부시와는 달리 우라늄 농축 능력이라거나 플루토늄 재처리, 핵무기 생산 및 미사일 프로그램 등에 대한 구체적 브리핑을 받는 걸 거부하고 있다는 게 참모들의 전언이다.     
 

신문은 "미 정부 관계자들은 김 위원장이 이번 북·미회담에서 향후 6개월 내에 핵무기 일부를 넘기고 관련 시설을 폐쇄하며 사찰을 허용하는 '타임 테이블'에 동의할 것으로 예상해 왔다"며 "하지만 이런 일정은 과거 북한의 전통적인 협상 스타일 등을 고려하면 지나치게 무리한 계획이라는 지적이 나온다"고 전했다. 조셉 윤 전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NYT에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정말로 6개월 안에 북한이 아무 보상 없이 핵무기를 넘기는 것을 기대한다면, 그것은 매우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과거 정부와 마찬가지로 결국 '단계적 조치'를 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얘기다.
 
한편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트럼프, 북한의 강경 돌변에 한국에 '조언'을 구하다'란 제목의 기사에서 "트럼프가 문 대통령에게 북한이 태도를 강경하게 바꾼 배경 등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해석'을 구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트럼프가 조바심을 감추지 못하고 있고, 이런 모습을 지켜보는 백악관 관료들 사이에선 북한에 대한 불신과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고 전했다.  
다가오는 북미정상회담 준비계획이 복잡해졌다는 것이다. 
 
WP는 "특히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은 주변 인사에게 '회담이 잘 추진될 거라고 믿지 않는다'는 말을 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은 "당초부터 북·미정상회담에 부정적이었던 볼턴이 움직이기 시작했다"며 "어떻게든 회담을 깨려는 볼턴에겐 북한의 강경 대응에 대한 워싱턴의 회의감 고조가 나쁠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까진 미 행정부의 큰 흐름이 '회담 추진'에 있다는 게 지배적 분석이다. WP에 따르면 이미 미국 측 선발대가 회담 개최지인 싱가포르에 도착해 머물고 있다고 한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에게 자신이 진정 만나고 싶어한다는 걸 이해시킴으로써, 북한과의 '쇼'가 계속 진행되길 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P는 또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1차 방중 당시(3월 말) 중국이 이를 자신에게 미리 알리지 않아 성난 반응을 보였다"며 "이 때문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의 감정을 누그러뜨리고자 서한을 전달했었다"고 전했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서울=조진형 기자 luckyman@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전체댓글148

게시판 관리기준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batuforce__
    batu**** 2018-05-23 02:23:11 신고하기

    CNN, WP, NYT 모두 트럼프와 사이가 좋지 않은 언론 매체들 아닌가? 중앙일보는 FOX 뉴스와 같은, 트럼프와 사이가 좋은 언론매체들의 분석기사도 전해주길 바란다. 그래야 균형적인 분석을 보고 독자가 판단할 수 있지 않겠는가? 지난 미국 대선처럼 엉뚱한 분석을 해서 힐러리가 압도적으로 당선하는 것처럼 실수하지 말고... (당시 미국인들중에 민주당 공화당 지지자 모두 좀 안다는 사람들은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 된다고 알고 있었다고 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 댓글 반대하기0
  • 781125550
    조**** 2018-05-22 16:13:09 신고하기

    트럼프요 김정으이가 또유전적 거짓말하는데 우찌알것소 정어이 것마는 걍 때리가먼서 해야 대화라는게 쪼까 돼부러요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7 댓글 반대하기0
  • sh2kang737
    sh2k**** 2018-05-22 12:55:28 신고하기

    기레기야 많이 좋아해둬라 결국 일 잘 풀릴테니까 그때 충격 좀 받고 ㅋㅋ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8 댓글 반대하기1
  • kubs30
    kubs**** 2018-05-22 12:12:46 신고하기

    설마했는데 역시 큰그림을 그리는 정은이구만~ 근데 그래봐야 핵포기냐 아니냐 둘중 하나밖에는 없는데 뭘그리 대가리굴리냐~ 니맘대로 해도돼 정은아~ 꿀꿀돼지는건 시간문제!! 별로 신경도 안쓰여~ 핵이 있어도 쏘는순간 지도에서 사라지니까~ 강대국이 있어도 못쓰는 이유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8 댓글 반대하기0
  • dorangmool3
    dora**** 2018-05-22 08:12:46 신고하기

    왜 대드냐고? 문통도 가만있으면 안된다 "이중인격자라 그렇다 왜!" 하고 호통을 쳐야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5 댓글 반대하기0
  • 780911216
    변**** 2018-05-22 07:19:14 신고하기

    처음 부터 거짖말 잘 하고 오리발 잘 내고 믿지는 마라 .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9 댓글 반대하기0
  • 117757622131675
    Gold**** 2018-05-22 05:29:35 신고하기

    문빠 반미,친북, 친중 중앙일보는 미국에서 대표적인 극반트럼프 뉴스 NYT 하고 WP 뉴스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관계된 삐딱한 뉴스가 나오면 불이나케 한국독자들한테 퍼나른다. 그뉴스 매체들이 반트럼프는 물론이고 가짜뉴스 생산공장이다. 특히 트럼프하고 공화당에 관계된 일이라면 전혀 엉뚱한 사실아닌것 아니면 살짝 틀어서 정반대 사실로 바꿔서 대중한테 내보낸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51 댓글 반대하기0
  • jyt7789
    jyt7**** 2018-05-22 04:04:25 신고하기

    순진한 문가가 판문점에서 30대 애송이에게 속은 거야. 나이는 두배나 많으면서. 이러니 무능하다는 소리를 듣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35 댓글 반대하기1
  • resbsunk
    resb**** 2018-05-22 03:37:57 신고하기

    제가 국무장관을 두번씩이나 보내서 비핵화 협상 해놓고서 그걸 왜 남한테 물어? 문가가 북에가서 비핵화 협상 하고왔낭? 문가야 전반적으로 비핵화 하자는 이야기만 했지, 상세한 협상은 트씨가 한거잖아?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3 댓글 반대하기5

DA 300

DA 300

shpping&life
  • DA 300

  • DA 300

  • DA 300

da_300

많이 본 기사

DA 300

댓글 많은 기사

DA 300

DA 300

DA 300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오영환 부소장 : oh.younghwan@joongang.co.kr (02-751-5515)
1988년 중앙일보 입사 이래 북한 문제와 양자 외교 관계를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을 오래 다뤘다. 편집국 외교안보부장ㆍ국제부장과 논설위원ㆍ도쿄총국장을 거쳤고 하버드대 국제문제연구소(WCFIA) 펠로우를 지냈다. 부소장 겸 논설위원으로 외교안보 이슈를 추적하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