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17/04/28 17:33
이런 문제가 진짜 쟁점이 되야 하는데 아무도 신경 안쓰는게 슬프네요. 현실적으로 한국 행정이 완전 파탄난것도 아닌데 숫자가 1/3밖에 안될리가 있나요..? 잘못된 현실 인식으로 잘못된 정책을 펴고 책임도 안 지겠죠. 취준생과 그 주변인은 환영하겠지만 세금은 죽어도 올린다고 안하니 반발도 안받고.
17/04/28 17:39
현재 재정 대비 공무원+공기업 지출이 낮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늘릴 때 재정 확보 방안(증세, etc) 이 함께 고민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7/04/28 17:52
본문에서는 공무원 인건비 비중이 이상하게 나왔는데, 21%나 될 수가 없습니다.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MainPrint.do?idx_cd=2739&board_cd=INDX_001 예산이 자체적으로 편성된 우리나라 공기업의 특성 상 공기업의 지출을 국가예산 내에 편성할 이유가 없으며, 실질적으로 공무원 지출이 그리 많지도 않습니다. 2017년 기준 33조원 가량이며 전체 예산의 약 7% 정도입니다. 재정확보방안 자체는 고민해야겠지만, 현재 예산 내에서도 증가예정으로 잡고 있는 공무원 숫자를 커버하지 못할 수준은 절대 아닙니다.
17/04/28 17:55
21% 는 전체 (공무원+공기업 종사자)/(전체 근로자 수) 입니다.
금액은 저도 잘 몰라서 좀 더 찾아보고 특별한 부분 있으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17/04/28 18:03
그거 자체가 말이 안되는게, 한국은 공기업 예산을 독립적으로 편성, 집행하기 때문에 그게 정부예산에 당연히 들어갈 이유가 없습니다. 공공기관이라면 모를까, 공기업은 애초에 논의 대상이 아니죠. 게다가 군인을 저기에 더해버리면 그것만으로 60만이 추가되는데 그건 그냥 자료의 오염일 뿐이죠.
[우리나라 비정규직에 해당하는 정부부문 종사자, 지방공사와 공단, 공공기관 중 비영리기관, 정부 지원을 받는 사립학교 교원, 군인 등이 통계에 포함된다.] 라고 하는데, 공공기관 중 공기업 형태인 곳들은 예산이 독립 편성되고, 공사나 그 외 공공기관 형태인 곳들 역시 지원을 받을 뿐 직접 통제받지 않습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공사나 기업의 형태로 이루어진 곳 들은 손해를 세금으로 보전하면서 정부지원을 받기도 하지만, 이윤이 나서 배당하는 케이스도 있으니까 OECD 평균 형태로 구분하긴 더 어려워 보입니다.
17/04/28 18:16
21%는 우리나라 말고 OECD 얘기구요 우리나라는 공기업 아예 빠져 있습니다.
직전 댓글에서 저는 주장은 없고 계산법만 말씀 드렸는데 말이 안되는 것은 무엇이며, 무엇을 주장하려고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재정 관련 내용은 제 주장에 대한 근거는 아직 말씀드리지 않았고 말씀하신 내용에 대해서는 제가 몰라서 찾아보고 답변드리던가 하겠다고 말씀드렸습니다.
17/04/28 18:18
[전체 고용 중 공공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은 OECD 평균이 21.3%임. 반면 한국은 7.6%(2013년 기준)로 떨어짐. 수치상으로 보면 1/3이라는 심상정 후보의 발언은 사실임. 단, 일반 정부 지출 중 공무원 보수 지급에 쓰인 비율은 한국이 21%(2014년 기준)로 OECD 평균(23%)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상태임.
출처 : 외교부] 이 부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주장에 대해 반박하는게 아니라 근거문이 뭔가 이상하다는 거죠. 21% 비율을 다른 숫자를 본 듯 합니다. 인력 비중이 아니라 정부지출대비 인건비 비율을 말하는겁니다. 저 인건비 비중이 나올리가 없으니, 공무원 숫자 증가 시 가중될 인건비 역시 크게 높을 수가 없습니다.
17/04/28 17:46
최영출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가 어떤기준으로 주장을 했는지 모르겠는데..
통계 기준에서 징병제로 싸게 굴리는 군인이 포함되는건 무리지 않나 싶기도합니다. 모병제 군인하고 비교하기에는 수나 비용측면에서 허수를 발생시킬 것 같아요.
17/04/28 18:05
http://oecd.mofa.go.kr/webmodule/htsboard/template/read/korboardread.jsp?typeID=15&boardid=9884&seqno=1233759&tableName=TYPE_LEGATION
이게 문후보측에서 참고한 자료일겁니다. 그리고최영출씨자료같은경우 cfile239.uf.daum.net/attach/142F8107492B514C002EB8 본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정규직 공무 원의 약 51%가 비정규직으로 종사하고 있다. 충북 청원군의 세출예산 서를 가지고 OECD 기준에 부합하여 재산정한 결과 비정규직 종사자 가 407명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규직 공무원의 51%에 달한다. [이를 우리나라 전체 지방공무원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가정]해 볼 때, 이런방식으로 설정한겁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10947.html 관련기사를 찾아봤었는데 충북지역 비정규직 평균 비율은 21.8%였죠.
17/04/28 18:08
https://www.moi.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9&nttId=40643
그리고 이게 한경의기사가 원출처로 아는데말이죠 당시에 정부에서 해명한 내용은 <해명 내용> OECD 통계상 한국정부 인력규모는 국제기준(‘일반정부’ 기준)에 따라 산정된 것임 기사에 인용된 “한국 통계는 OECD 평균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주석”*과 관련하여, 본 OECD 자료는 2001년과 2011년 자료를 비교하고 있는바, 2001년 통계수치는 없어서 OECD 평균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며, 2011년 한국 통계는 OECD 평균 산정시 포함됨 OECD가 발간한「한눈에 보는 정부 2013(Government at a Glance 2013)」에서는 ‘일반정부’ 기준으로 회원국의 정부규모를 비교하고 있음 2011년 기준 한국의 일반정부 규모는 161만명으로, 중앙·지방 공무원은 물론 직업군인·군무원, 공공비영리기관(공기업 제외), 사회보장기금, 비정규직 등 국제기준상의 인력을 모두 포함한 것임 또한, 한국의 경제활동인구 대비 일반정부 고용 비중은 6.5%로 조사대상 회원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됨 한편, OECD 평균은 15.5%로, 한국 정부 통계를 포함하여 산정됨 이렇습니다.
17/04/28 18:16
네. 이게 사실에 가장 가까울겁니다. 국제기준상으로 판단하지 않고서는 애초에 저 인력이 안나와요.
한국은 정부 직접 고용형태가 아닌 고용이 많아서(파견직 등) 빠지는게 제법 되겠지만, 그게 아니라도 공기업 형태로 나눠둔게 많아서 빠지는게 많을거에요.
17/04/28 18:29
http://blog.kcomwel.or.kr/tag/207
여기에 따르면 2011년 근로자 수가 14362372명입니다. 공무원을 161만명으로 잡으면 10%가 넘어갑니다.
17/04/28 18:44
모두 읽어보니 더 헷갈리네요..
문재인 후보측에서 이 정도 정보도 확인하지않고 %를 낮춰잡지는 않았을거 같고... 안후보나 다른 언론에서 하는 말도 크게 오류가 없어보이고... 결국 공기업을 추가하느냐 안하느냐 혹은 정부출자가 50%이상이냐 아니냐의 차이라는 거죠? 뭐가 되었든 진실은 하나일텐데, 해석이 달라서 참 어렵네요..
17/04/28 19:04
http://newstapa.org/39670
그렇다면 우리나라가 OECD에 제출한 통계 수치도 같은 기준에 의해 작성된 통계일까? 위의 그래프의 각주를 보면 근거자료는 ILO로부터 수집했는데 ‘한국의 경우는 정부 당국으로부터 제출받았다’고 설명돼 있다. 당시에 OECD에 공공부문 고용통계를 제출한 곳은 행정자치부다. 원래 고용통계는 통계청에서 ILO에 제출하는 것이 맞지만 당시에는 SNA에 맞는 통계를 ILO에 제출하지 못했다. 그래서 행정자치부가 관련 부처에 공문을 보내 자료를 취합한 뒤 OECD로 자료를 제출한 것이다. 행정자치부 조직기획과의 문지영 사무관은 “당시 [공기업의 고용 자료]는 기획재정부로부터 받았고 지방정부와 [지방공기업의 고용 자료]는 행자부에서, 다른 자료들은 한국은행과 통계청, 국방부 등으로부터 받았다”면서 “관련부처의 자료를 취합한 뒤에 OECD에서 제시한 SNA 기준에 맞게 작성해 OECD에 자료를 보냈다”고 설명했다. 한국만 다른 기준으로 작성된 통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문 사무관은 “한국의 경우는 직업군인이 포함돼 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경우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공공부문 고용 비중이 상당히 낮게 나왔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하나 더. http://oecd.mofa.go.kr/webmodule/htsboard/template/read/korboardread.jsp?typeID=15&boardid=9884&seqno=1233759&tableName=TYPE_LEGATION 한국도 공기업 인원을 포함해서 작성한거라고 해명이 나와있습니다.
17/04/28 19:16
적어도 정부주장을 보면 문재인 후보측 주장이 맞는 거군요..
우리나라 정부주장을 믿을수 없긴한데...진실은 하날텐데 여기저기 서로 맞다고 하니..허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