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들쭉날쭉 '공공부문' 통계②]韓공무원 수, 정부 100만명 vs OECD 200만명…기준 따라 오락가락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OECD, 인건비를 정부가 부담하느냐로 공무원 산정 기준 나눠
한국, 중앙·지방 공무원만 계산해 OECD 회원국 꼴찌라고 주장
통계청, 직업군인·정부 출자 50% 공공기관 포함 새롭게 작성 검토

【세종=뉴시스】박상영 기자 = 정부가 공공부문 고용통계 개발에 나선 것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나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 통계 기준에 부합하는 통계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행정자치부는 매년 우리나라 공무원 수를 발표한다. 지난해 공무원 수는 102만352명이다. 정부는 이 수치를 근거로 OECD 회원국 가운데 공무원 수가 적은 편이라고 발표한다.

실제 2013년도 기준, 우리나라 전체 경제활동인구 대비 공무원 비율은 6.5%를 차지해 OECD 평균 15.5%에도 미치지 못하는 회원국 꼴찌를 차지했다.

그러나 정작 OECD는 한국의 이같은 통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국제기준과 다르기 때문이다.

대부분 OECD 회원국 공무원 산정기준은 직원의 인건비를 정부가 부담하느냐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비정규직에 해당하는 정부부문 종사자, 지방공사와 공단, 공공기관 중 비영리기관, 정부 지원을 받는 사립학교 교원, 군인 등이 통계에 포함된다.

실제 프랑스를 비롯한 국가들의 경우, 정부가 50% 이상 지원하는 병원·학교 종사자도 공공부문 고용에 포함하고 있다.

그렇다면, 국제기준으로 본 한국의 공무원 수는 어떻게 될까? 정부 주장의 2배가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최영출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가 2008년 펴낸 '국제기준으로 본 한국의 공무원 수'를 보면 2006년 말 기준, 190만9925명이다. 이는 당시 정부 통계치(97만3600명)보다 93만6325명 많은 숫자이다.

정부가 발표한 중앙·지방공무원 숫자에 군인, 비영리 공공기관, 공공기관 비정규직, 사립학교 중등교원, 지방공기업 등을 포함했기 때문이다.

최 교수는 "지방공사와 공단의 경우 314곳 중 약 200곳의 직원 수가 빠진 점과 군인 수 추정에서 우리나라의 특수한 사정이 반영되지 않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숫자보다 많을 수 있다"고 했다.

정부도 OECD 회원국이면서도 OECD 기준에 맞는 통계가 없다는 지적에 따라 관련 통계를 개발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 행정자치부 등 관계부처는 물론, 학계 등이 참여해 내년을 목표로 관련 통계를 개발 중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부문 고용통계를 일자리 기준으로 할 것인지, 취업자 기준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2~3개의 직업을 갖고 있다면 일자리 기준으로는 2~3개로 나오지만, 취업자 기준으로는 1개 인것으로 조사된다. 일반적으로, 국제노동기구(ILO)나 OECD 등 국제기구는 취업자 기준으로 고용 통계를 작성하고 있다.

공공부문을 어디까지 볼 것인가에 대해서도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은행이 국민계정을 작성할 때 적용하는 UN 2008 SNA에 따르면 공공부문은 일반정부와 공기업 모두 포함하고 있다. 만약 이같은 기준을 적용한다면 중앙·지방정부, 사회보장기금, 비영리 공공기관, 비금융공기업, 금융공기업 등이 모두 포함된다.

만약 기획재정부가 공공부채 부채통계를 작성할 때 적용하는 IMF 기준에 따른다면 공공부문에서 금융공기업은 제외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직업 군인과 정부가 50% 이상 출자한 기관 등도 포함할지에 대해 관계 부처와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ypark@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DA 300

DA 300

shpping&life
  • DA 300

  • DA 300

  • DA 300

da_300

많이 본 기사

DA 300

댓글 많은 기사

DA 300

DA 300

DA 300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오영환 부소장 : oh.younghwan@joongang.co.kr (02-751-5515)
1988년 중앙일보 입사 이래 북한 문제와 양자 외교 관계를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을 오래 다뤘다. 편집국 외교안보부장ㆍ국제부장과 논설위원ㆍ도쿄총국장을 거쳤고 하버드대 국제문제연구소(WCFIA) 펠로우를 지냈다. 부소장 겸 논설위원으로 외교안보 이슈를 추적하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