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文, 오찬도 못했는데…리커창-왕후닝-왕치산과 웃고 떠든 김정은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25~28일 부인 이설주와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났다. [CCTV 캡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25~28일 부인 이설주와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났다. [CCTV 캡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게 베푼 의전은 지난해 중국을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비교해 밀도와 품격이 높았다. 북·중 전통 우호 관계를 복원하겠다는 중국의 의도가 의전 곳곳에 배어났다. 중국이 한국과 북한을 대하는 시각과 자세의 차이가 의전을 통해 여실히 드러났다.
26일 베이징 역에 도착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부부가 중국 권력서열 5위인 왕후닝 정치국 상무위원과 25위 이내인 정치국 위원인 딩쉐샹 중앙판공청 주임의 영접을 받고 있다. 지난 12월 문재인 대통령의 공항 영접에는 차관보급인 궁쉬안유 외교부 부장조리가 나왔다. [사진=조선중앙통신]

26일 베이징 역에 도착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부부가 중국 권력서열 5위인 왕후닝 정치국 상무위원과 25위 이내인 정치국 위원인 딩쉐샹 중앙판공청 주임의 영접을 받고 있다. 지난 12월 문재인 대통령의 공항 영접에는 차관보급인 궁쉬안유 외교부 부장조리가 나왔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시진핑 주석 김정은 위해 부부 특별 오찬…한국은 총리 오찬도 불발
회담에 왕후닝 상무위원 배석 파격, 왕치상 부주석도 만찬 참석
발표문 분량도 한국의 3배, 미국보다도 길어 돈독한 북·중관계 과시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26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 금색대청에서 열린 김정은 위원장 환영 만찬 메인 테이블. 시진핑 주석 내외, 리커창 총리, 왕후닝 상무위원, 왕치산 국가 부주석 외에 양제츠, 딩쉐샹, 황쿤밍, 차이치 등 정치국위원이 보인다. [사진=조선중앙통신]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26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 금색대청에서 열린 김정은 위원장 환영 만찬 메인 테이블. 시진핑 주석 내외, 리커창 총리, 왕후닝 상무위원, 왕치산 국가 부주석 외에 양제츠, 딩쉐샹, 황쿤밍, 차이치 등 정치국위원이 보인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시 주석이 김정은에게 제공한 첫 번째 환대는 식사의 회수와 질의 차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방중 둘째 날 국빈 만찬에서 함께 식사하는 데 그쳤다. 만찬에는 영부인 펑리위안(彭麗媛) 여사, 딩쉐샹(丁薛祥) 중앙판공청 주임, 양제츠(楊潔篪) 정치국 위원이 참석했다. 중국에서 당과 국가 지도자로 부르는 정치국 위원 급 인사로는 4명이 참석했다. '넘버 2'인 리커창(李克强) 총리와의 다음날 오찬은 성사되지 못했다. 정치국 위원인 천민얼(陳敏爾) 충칭(重慶)시 당서기와 오찬까지 3박 4일 일정 동안 중국 측 인사와 식사는 단 두 차례에 그쳤다.  
 
반면 김정은의 경우 베이징 도착 첫날인 26일 공식 환영의식, 정상회담에 이어진 환영 만찬을 시 주석과 함께 했다. 
이튿날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 양위안자이(養源齋·양원재)에서는 양국 정상 내외(시진핑·펑리위안, 김정은·이설주 부부)를 위한 특별 만찬이 제공됐다.  
시 주석은 “댜오위타이 국빈관은 북중 전통 우의의 발전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이는 1987년 김일성과 덩샤오핑(鄧小平) 만찬 장소였음을 상기시킨 발언이다. 시 주석 부부는 김 위원장 부부가 댜오위타이를 떠날 때 차량 앞까지 나와 배웅했으며, 김 위원장 부부는 차창 밖으로 손을 흔들며 답례하는 모습이 중국중앙방송(CC-TV)을 통해 보도됐다. 북한 노동신문은 “양위안자이는 1773년 건립된 건륭제의 별궁으로 김일성 주석이 중국 지도자들과 친선의 정을 나눈 곳”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양위안자이 오찬은 지난해 11월 ‘황제의전’으로 화제가 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공한 자금성(紫禁城) 사적 만찬에 비유된다. 당시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 부부를 위해 자금성을 통째로 비워 직접 안내했고, 청나라 건륭제의 화원인 건복궁(建福宮)에서 식사한 뒤 건륭제의 서재인 삼희당(三希堂)에서 차를 마신 것으로 알려진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방중 기간 내내 시진핑 국가주석은 극진한 환대를 보였다. 26일 환영 만찬석상의 김정은 위원장. [CCTV 캡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방중 기간 내내 시진핑 국가주석은 극진한 환대를 보였다. 26일 환영 만찬석상의 김정은 위원장. [CCTV 캡처]

배석자 직급에서도 환대의 차이가 드러났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회담엔 중국 측에서 정치국 위원급으로 딩쉐샹 중앙판공청 주임과 양제츠 정치국 위원이, 장관급은 왕이(王毅) 외교부장· 중산(鐘山) 상무부장, 허리펑(何立峰)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주임 등이 참석했다. 
 
시진핑-김정은 회담에는 권력 서열 5위의 왕후닝(王滬寧) 상무위원이 배석했고, 정치국원급도 3명이 참석했다. 딩쉐상, 양제츠 외에 황쿤밍(黃坤明) 중앙선전부 부장이 앉았다. 중앙위원급은 최근 전인대에서 국무위원으로 승진한 왕이 외교부장, 쑹타오(宋濤) 중앙 대외연락부장이 배석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방중 기간 내내 시진핑 국가주석은 극진한 환대를 보였다. 26일 환영 만찬석상의 이설주. [CCTV 캡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방중 기간 내내 시진핑 국가주석은 극진한 환대를 보였다. 26일 환영 만찬석상의 이설주. [CCTV 캡처]

 
국빈 만찬 배석자는 더욱 화려했다. 상무위원급으로 리커창 총리와 왕치산(王岐山) 국가 부주석이 참석한 모습이 중국중앙방송(CC-TV) 화면에 포착됐다. 정치국원 급도 추가됐다. 궈성쿤(郭聲琨) 중앙정법위 서기, 차이치(蔡奇) 베이징시 서기 두 명이 참석했다. 국가주석 영부인도 정치국원급 서열로 간주하는 것을 감안할 때 이날 만찬에는 정치국원급 이상만 10명이 참석했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 국빈만찬에 전·현직 상무위원 12명이 전원 참석한 파격까지는 아니었지만 ‘혼밥’ 논란에 휩싸였던 문 대통령 국빈만찬에 비하면 천양지차의 배려였다. 
 
문 대통령은 당시 리커창 총리와 장더장(張德江) 전인대 위원장, 퇴임 예정의 장가오리(張高麗) 부총리를 만나는 데 그쳤지만, 김정은은 1박 2일, 만 24시간의 짧은 일정에도 불구하고 상무위원급으로 리커창, 왕후닝, 왕치산까지 만났다. 
 
 
지난해 12월 14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 문화 교류의 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시진핑 주석, 펑리위안 여사와 함께 공연을 관람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연합뉴스]

지난해 12월 14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 문화 교류의 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시진핑 주석, 펑리위안 여사와 함께 공연을 관람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연합뉴스]

특히 정치국 상무위원이 정상회담에 배석한 것은 전례가 드문 일이다. 
지난해 19차 당 대회 직후 트럼프 대통령과 미·중 정상회담에 왕양(王洋) 상무위원이 배석한 선례가 있지만, 부총리 신분으로 배석했다. 
지난 1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에는 양제츠 국무위원과 왕이 외교부장이 배석했다. 2월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와 회견에도 양제츠, 왕이 부장 배석에 그쳤을 뿐 상무위원 배석은 없었다. 
왕후닝 상무위원의 시진핑-김정은 정상회담 배석은 상무위원의 권위가 과거보다 약해졌다는 증거와 함께 향후 북·중 관계를 그가 주도할 것임을 암시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북한 노동신문에는 왕 상무위원이 베이징 역 플랫폼까지 나와 김정은 일행을 맞이하는 사진이 게재됐다. 역사 환영은 공항 영접과 마찬가지다. 정국(正國·총리)급 상무위원와 딩쉐샹 정치국원이 동시에 영접한 장면은 쿵쉬안유(孔鉉佑) 부장조리(차관보)가 영접했던 문재인 대통령과 크게 비교됐다.
북·중 정상회담에는 상무위원이 참석한 선례가 있다. 지난 2010년 5월 베이징을 방문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회담 당시 권력서열 7위이던 시진핑 국가부주석이 상무위원 신분으로 배석했다.
중국 베이징의 국빈관 댜오위타이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환송하며 양손을 맞잡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CCTV 캡처]

중국 베이징의 국빈관 댜오위타이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환송하며 양손을 맞잡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CCTV 캡처]

 

DA 300


문 대통령과 김정은에 대한 환대의 마지막 차이는 김정은 귀국 뒤 중국이 내놓은 발표문의 남다른 길이다. 
중국이 관영 신화사를 통해 발표한 발표문은 3500여 자에 이른다. 문 대통령과 회담 결과 발표문은 1263자. 이번 북한 발표문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1월 중국·프랑스 정상회담의 경우는 1700여자, 미·중 정상회담 발표는 2200여 자였다. 
발표문 길이로 외교의 비중 여부를 암시하는 중국 외교 관례를 고려하면 중국은 북한→미국→한국 순으로 중시한다는 대외 메시지를 전달한 셈이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

전체댓글123

게시판 관리기준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bessmcneill
    bess**** 2018-03-28 19:42:39 신고하기

    김정은이 시진핑과 만난 게 어떤 의미인지 외교, 안보, 통상적 관점에서 분석을 하지 못하니 이런 식의 쓸데 없는 기사 작성하는 겁니다. 사실과도 다른 '홀대론' 꺼내드는 거 부끄럽지 않나요? 너무 무능하네요.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 댓글 반대하기0
  • soonbae777
    soon**** 2018-03-28 19:41:58 신고하기

    문재앙이 몹시 부럽겠군. 혼밥 쳐먹고 얻어터지고찍소리 못하는 비~엉신 염병할 자것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5 댓글 반대하기2
  • cccwmh
    cccw**** 2018-03-28 19:33:46 신고하기

    핫바지 멍청이와 비교가 많이 되는구만.. 시진핑이가 보는눈도있고 머리도 있네.. 우리만 추수끝난논에 서있는 누더기허수아비 쳐다보고 있는 슬프고 어리석은 백성이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8 댓글 반대하기1
  • les9522701
    les9**** 2018-03-28 19:30:50 신고하기

    바보아냐? 북중관계하고 한중괸계하고 같냐? 그리고 문통은 박통이 파탄낸 한중관계를 조금이라도 복원하려고 간 것이고 사드때문에 미지근한 밥 대우를 받은 것이고 김정은은 북미회담을 앞두고 조금이라도 미국의 압박에 대응하려는 전략으로 한 것이지.. 야! 네 나라 대통령 깍아내려 속 시원하냐?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2 댓글 반대하기1
  • 747931278
    해**** 2018-03-28 19:06:22 신고하기

    식빵 마니드세요 중앙일보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8 댓글 반대하기1
  • betterchoice
    bett**** 2018-03-28 18:37:09 신고하기

    몰라서이렇게언론아호들갑떨며보도하고있나?원래중국은공산당이지배하는나라.북한이훨씬더그들에게잘맞는상대.한국은지도자들이어리석은환상과자존심없는멍청이짓하고다니니.중국(과일본)이한국대통렬총리특사들을별거아닌대상으로여기지.한국은그런찬밥대접에도끼어달라며굽실거리고아양피우며그들눈에들려고하는비참한외교정상회담준비.존심갖고대등한자세로접근하고꼭어떤합의나약속만들어내지못해도 빳빳하게서서덤덤하게상대해야하는데,,,그걸못하니 저아래사람취급받는거당연하지않을까? 자업자듣.못난이들이못난푸대접받는데왜들 이렇게 호들갑.?더욱이그전정부의미명박박근혜와같은존재감당당함정통성등이없는사이비,위선자좌파붉은색품은문재인을중국은속으로비웃고있지.일본도미국도 마찬가지로 문재인은못믿을사람한명으로로여기고있지.문재인과그팀들만모르고휘죽거리고있는데,,,정말한심해서,,,,대한민국의수치요 창피요 굴욕이지.설상가상으로문재인좌파팀들착각의연속.깨어나지않고환상속에나라에불리한짓계속하고있으니,,,,아니,애초에그런부끄러움굴욕감모르는뻔뻔함과위선과위장과거짓으로만꽉찬사람들이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9 댓글 반대하기3
  • chongo11
    chon**** 2018-03-28 18:16:29 신고하기

    운전자이신 문재인대통령을 김정은보다 ᆢ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7 댓글 반대하기0
  • ktjmkoljk
    ktjm**** 2018-03-28 18:10:56 신고하기

    몸값을 스스로 올리는 자와 몸값을 스스로 내리는 자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스스로 몸값 올리는 노하우는 문재인을 비롯한 한국 정치인들이 개정은에게서 배워야 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7 댓글 반대하기2
  • happry
    happ**** 2018-03-28 18:09:17 신고하기

    정신차려라 남빨들아...북빨도 중빨들도 니들 편이 아니라는거다. 이대로 가다간 낙동강 오리알 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2 댓글 반대하기3
  • geniustree
    GENI**** 2018-03-28 18:05:38 신고하기

    중국인들의 뇌구조는 의외로 단순하다. 그들이 어려워 하고 잘 대해주는 경우 (1) 상대가 나한테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거나 이용가치가 있는경우 (2) 상대가 '배짱'과 "깡'이 쎄서 인구나 국가 크기와 관계없이 무시하지 못하는 경우 이다. 북한은 (1) 중국이 원조를 하지만, 싼값에 자원을 빼올수 있었고 향후에도 그럴것이며, 6자회담 의장자처하며 20년간 써먹고, 미국에 대들게 할수 있는 건달이며 (2) 깡이 세다는 점이 덩치만 큰 중국으로써는 흠칫하게 만든다. 그런나라가 베트남, 필리핀같은 곳이다. 반면 한국은 (1) 한국상대로 중국이 무역적자이니 큰소리 치기 좋고 , 중국와서 상국이라며 국회의원부터 정치하는 자들이 머리 조아리니 비위 맞춰줄 필요가 없고 (2) 배짱도 없어서 사드보복한방에 덜덜 떨고, 조선이래 속국처럼 굴고 있으니 발밑의 때로 생각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4 댓글 반대하기1

DA 300

DA 300

shpping&life
  • DA 300

  • DA 300

  • DA 300

DA 300

많이 본 기사

DA 300

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DA 300

DA 300

DA 300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오영환 부소장 : oh.younghwan@joongang.co.kr (02-751-5515)
1988년 중앙일보 입사 이래 북한 문제와 양자 외교 관계를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을 오래 다뤘다. 편집국 외교안보부장ㆍ국제부장과 논설위원ㆍ도쿄총국장을 거쳤고 하버드대 국제문제연구소(WCFIA) 펠로우를 지냈다. 부소장 겸 논설위원으로 외교안보 이슈를 추적하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