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age

지역감정 시초, 지역감정 원인

작성일 작성자 감세세

지역주의 논란에 대한 한 가지 참고자료 by socio
http://socio1818.egloos.com/3838998

 

 최근 "전학생은 홍어녀" 라는 만화에 대한 이글루스의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논쟁에 참여한 유저들의 모든 글들을 세세하게 검토해보지는 못하였지만, 개략적인 인상비평을 하자면 좁은 차원에서는 지역주의 문제에서부터 넓은 차원에서는 소수자-전라도인을 소수자라고 간주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별개의 논의가 있어야겠지만-에 대한 조롱의 정당성 문제까지 다양한 층위에서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포스트에서는 시간과 역량의 한계로 인해 넓은 차원의 문제는 다루지 않은 채 좁은 차원에서의 지역주의 문제에 대해서만 논하도록 할 것이며, 이 역시 현 사태 자체에 대한 필자의 독자적인 의견보다는(즉, "전학생은 홍어녀" 만화 자체의 정당성에 대한 시시비비는 논하지 않도록 할 것이다), 사태의 해석에 도움을 주는 선행연구를 인용하는 것을 통해 대체하도록 할 것이다. 본 포스트에서 인용할 텍스트는 후마니타스 출판사 박상훈 대표(정치학 박사)의『만들어진 현실: 한국의 지역주의,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이다. 이는 한국의 지역주의 문제에 대해 속설이 아닌 엄밀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규명을 시도한 기념비적 문헌인 만큼 논지에 대한 찬반여부를 막론하고 일독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카피레프트에 해당되는 저서인지라 제목의 링크를 클릭하면 전문의 PDF 파일을 다운받아 볼 수 있다. 아래 인용문에 제시된 참고문헌의 출처나 인용부분 후의 전개가 궁금하다면 전문을 다운받아서 보면 될 것이다.

 

 

----------------------이하 인용-----------------------------

 

 

-일상 속의 질문들

 

 문제를 다르게 접근하게 되니 흥미로운 질문이 많아졌다. 많은 사람들이 지역감정이 역사적으로 오래되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옛날 문헌들에서 호남에 대한 부정적인 기록을 인용하곤 한다. 대표적으로는 ‘풍전세류’(風前細柳)니 ‘표리부동’(表裏不同)이니 하면서 ‘간사하고’ ‘뒤끝이 나쁘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기록으로 따지면 안 그런 지역이 없었다는 사실을 금방 알게 되었다. ‘권세 있는 사람에게 아부해 이익을 좇는다’라는 충청도에 대한 평이나 ‘미련하다’는 강원도에 대한 평도 있었다. 함경도를 중심으로 한 서북 지역은 말할 것이 없고 영남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평을 담은 역사 기록을 찾는 것 역시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인조반정 이후 영남 사대부는 오랫동안 차별받았고, 영조 때는 무신란을 계기로 ‘반역향’으로 낙인찍혔으며, 정조 때는 대구에 ‘평영남비’(平嶺南碑)를 세우면서 이 지역 출신의 과거응시를 금지시키기도 했다.

 반대로 호남을 좋게 평한 옛 문헌을 찾는 것도 아주 쉬운 일이었다. 윤선도나 정철의 글이 대표적이지만, 그 밖에도 전라도의 ‘전’을 뜻하는 전주는 조선 왕실의 고향이라 해서 어향(御鄕)으로 칭송되었고 무엇보다 임진왜란 당시 호남은 우국과 충절의 지역으로 상찬되었다. 이순신은 “호남이 없으면 조선이 없다”고 했고, 김정호는 호남을 “전국 팔도에서 가장 축복받은 땅”이라고 했으며, 정조는 “가장 어질고 충성스러운 고장”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제기해야 할 질문은, 왜 호남에 대한 좋은 평가는 배제되고 오로지 나쁜 것만 선택적으로 부각되었으며, 왜 다른 지역은 그렇지 않았는지, 어떻게 해서 과거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지금의 지역주의적 해석 틀로 변형될 수 있었는지에 있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 호남에 대한 나쁜 기록을 있는 대로 모아 반호남 지역주의가 역사적으로 오래되었다고 말하는 것은 지역주의적 해석의 틀로 뒤틀린 역사를 우리 앞에 내놓는 것이 아닐 수 없다.

 

 여러 사람들에게 지역주의에 대한 자신들의 경험을 물어보는 일도 재미있었다. 누구든 처음에는 오래전부터 지역주의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었다고 말하곤 했는데 그것이 언제의 기억인지를 이야기해 달라고 하면 실제로는 그리 멀리까지 가지 못했다. 일제 때 태어난 노인들의 경우 해방 직후부터 호남에 대한 지역감정이 심각했다고 말했다가도 그게 몇 살 때쯤인지 물어보면 대개 청년 이후가 되고 시기는 금방 1960년대로 올라왔다. 해방 직후엔 오히려 함경도 등 이북 출신에 대한 부정적 편견이 더 심하지 않았느냐고 물으면 한참 생각하다가 대부분 그렇다고 인정했다. 서울 토박이들의 인색함에 대해 이주민들이 느끼는 감정도 있지 않았냐고 하면 비서울 출신의 대부분은 이를 긍정했다. 그런데 왜 이주민들끼리 서로 지역감정을 다투게 되었을까를 물으면, 서울 사람들은 자신들이 의존해야할 사람들이고 다른 지역 사람들은 경쟁해야 할 사람들이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월남한 이북 출신들은 남한에 정착하기 위해 이승만 정권의 반공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는데, 그렇기 때문에 적어도 ‘체제 차원’에서는 이들을 나쁘게 볼 이유가 없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결국 지역과 관련된 편견이나 고정관념은, 지역적 차이 그 자체 때문이 아니라 지역적 차이에 동반된 ‘권력관계’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을 깨닫게 되기까지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이런 종류의 경험은 너무나 많았다. 호남을 백제와 동일시하며 삼국시대부터 영호남 지역감정이 시작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많았는데, 백제의 지리적 중심이 실제로는 지금의 서울과 충청이었고 후백제를 세운 견훤 역시 경상도 상주 출신이라고 말해 주면 다소 당혹해 하기도 했다. 함께 정치학을 공부했던 한 친구는 어느 논문에서 읽었다면서 1987년에 실시된 한 조사 결과를 이야기했다. 그 논문에 따르면 다른 지역 출신에 비해 호남 출신이 자신의 출신 지역을 밝히기 꺼렸던 경험이 월등히 높다는 것이다. 그 조사는 나도 잘 알고 있는 것이었다. 그래서 실제 조사 결과, 출신 지역 밝히기를 꺼렸던 경험이 있는 호남 출신 응답자가 17% 정도로 분명 다른 지역 출신보다는 많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그런 경험이 전혀 없다는 호남 출신 응답자가 83%라는 사실이 아닐까 라는 의견을 말하자 그 친구는 다소 고민스러워 했다. 더 나아가 1970년대 말 조사 결과를 보여 주며, 그때까지는 호남 출신이 영남 출신을 심리적으로 가장 가깝게 느꼈고 반대로 호남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던 것은 충청과 서울 경기, 강원 출신이었다는 사실을 이야기하자 그는 더 당혹스러워 했다. 자세한 내용은 본론에서 이야기하겠지만 아무튼 이런 과정에서 필자는, 누구든 지역주의에 관한 특정의 해석 틀을 받아들이게 되면, 자신의 과거 경험과 주관적 느낌뿐만 아니라 객관적 역사조차 그러한 해석의 틀에 맞게 변형되어 기억된다는 사실을 잘 알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호남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을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내 이야기를 흥미롭게 받아들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거의 정치적 이용’(political use of the past), ‘편견의 동원’(mobilization of bias), ‘전통의 발명’(invention of tradition) 등과 같이 역사학이나 정치학 연구에서 자주 쓰는 개념들을 소개해 주면, 한국의 지역주의 역시 보편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문제임을 금방 이해했다. 실제의 역사보다 역사 해석을 둘러싼 투쟁이 더 중요할 때가 많다는 것, 따라서 역사는 과거의 문제로서가 아니라 특정의 해석을 필요로 하는 현재의 권력관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 그럴 때 특정 방향의 의미 구조를 담고 있는 편향성 내지 편견은 역사 해석을 둘러싼 투쟁에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된다는 것, 그러므로 옛날부터 그랬다는 생각이나 전통이라는 것도 잘 따져 보면 누군가의 필요에 의해 작위적으로 창조되는 일이 허다하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이론들이지만, 한국 지역주의의 사례도 그렇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연장선에서,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영남이나 호남과 같은 옛날식 지역 개념이 왜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지, 충청남도 금산이나 논산처럼 그 가운데 일부가 과거에는 전라도였던 곳에서 왜 더 강렬하게 스스로를 충청이라고 호명하고 싶어 하는지와 같은 문제를 함께 생각해 볼 수도 있었다.

 

 그런데 지역주의를 무조건적으로 비난하면서 그 망국성을 강변하는 사람들과는 대화가 힘들었다. 아무리 뭐라 해도 지역성이라는 게 분명히 작용하고 있다거나, 안 그러면 어떻게 한 지역에서 특정 후보에 90% 이상의 지지율이 나올 수 있냐면서, 어떤 경우든 그런 맹목성은 지역주의 때문이 아니고는 설명이 안 된다는 것이다. 지역주의 때문에 그런 거라고 보면될 이 간단한 문제를 왜 그리 복잡하게 생각하느냐면서 도리어 필자에게 핀잔을 주는 사람도 많았다. “지역주의는 없다는 거냐”라고 되묻거나, “지역주의 극복하지 말자는 거냐”는 비판을 하는 사람도 있었다. 어떤 경우든 지역주의 때문에 나라 망하게 생겼다고 전제하지 않는 한 이들과 대화는 불가능했다.

 

 여기쯤에서 지역주의 망국론이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만들어지고 재생산되었는지를 간략히 살펴보는 게 좋겠다. 망국적 지역주의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은 우리 사회 일반에 워낙 익숙한 주장이다 보니, 필자의 문제 제기로 인해 혼란스러워 할 독자들이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박상훈,『만들어진 현실: 한국의 지역주의,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 후마니타스, 2009, p. 17-21

 

......중략


1. 몇 가지 기초적 논의


-반호남 지역주의

 

  오늘날처럼 영남이니 호남이니 하는, 지역을 둘러싼 갈등의 구조는 언제,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을까? 그때의 지역주의는 대체 어떤 내용을 갖는 것이었나? 옛날부터 있었다는 ‘지역색’ ‘지역 정서’ ‘지역감정’이 계속해서 이어져 온 결과인가, 아니면 근대 이후 새롭게 만들어진 것인가? 1970년대 중후반에 이루어진 고흥화‧김현섭(1976), 김진국(1977)의 조사 연구는 좋은 출발점을 제공한다. 무엇보다도 이들의 연구는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자료와 방법에 의존해 출신 지역을 둘러싼 사회 문화적 갈등의 내용을 조사 분석한 최초의 연구 성과이기 때문이다.

 

 고흥화‧김현섭에 따르면, 이 시기 60%에 가까운 피조사자가 결혼‧친구‧동업 관계에서 호남 출신을 기피 대상으로 꼽았다. 반면 호남 이외의 지역 출신에 대한 기피 의식은 평균 10% 미만에 불과하다. 김진국의 조사 역시 호남 이외 지역 출신 모두가 호남 출신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적어도 1970년대 중후반 시점에 호남 출신에 대한 기피 의식이 다른 지역 출신에 대한 기피 의식과 분명히 구별될 정도로 존재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비호남 출신은 어떤 근거로 호남 출신을 기피했고, 반대로 호남 출신은 지역 차별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다시 이들의 조사를 살펴보자. 이들의 조사에 따르면, 비호남 출신이 호남 출신을 사회적 관계의 대상에서 배제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근거는 주관적 편견을 내용으로 한 것이었다. 다시 말해 비호남 출신이 호남 출신을 기피하는 이유는, 호남 지역이 갖는 정치경제적 특성이나, 호남 출신이 주로 담당하는 사회적 기능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호남 출신은 ‘간사하다’ ‘신뢰성이 없다’ ‘이기적이다’ ‘뒤끝이 나쁘다’와 같이 객관적으로 검증이 불가능한 개성적 특질 내지 행동 양식을 갖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전라도 사람’에 대한 개인적 경험을 과장하는 경우가 많았고, 호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옛날부터 늘 있었다는 식으로 그 기피 의식을 정당화하려 했다. 이에 반해 호남 출신의 대부분은 자신들이 갖는 소외감의 근거를 지역 간 경제적 격차, 특정 지역에 대한 인사상의 차별 등 권위주의 통치의 결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요컨대 지역주의 문제와 관련해, 호남 출신의 경우 ‘사회구조적 차별’에서 그 원인을 찾는다는 점에서 ‘체제’와 비판적으로 마주하고 있는 반면, 비호남 출신의 경우 호남 사람의 타고난 부정적 특질에서 그 원인을 찾는다는 점에서 ‘가해자 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던 것이다(김진국 1988, 236).

 

 -영호남 갈등이 아니었다

 

 앞서 지적했듯이 지역주의에 대한 우리 사회의 지배적 관점은 지역주의 문제를 영호남 갈등 혹은 이들 간의 지역감정 대립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하지만 1977년 자료를 이용, 지역민 상호 간의 호오 정도를 측정한 김진국(1984)의 연구 결과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을 보여 준다. 지역주의 문제가 영호남 간의 지역감정이라면 지역민 상호 간 호오 태도에 있어 영호남 간의 거리가 크게 나타났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사실은 전혀 달랐다. 우선 호남 출신이 가장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 지역민은 영남 출신이었다. 역으로 호남 출신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지역민은 서울과 충청 출신이었다. 호남 출신을 가장 덜 기피한 것은 영남 출신이었다. 이는 1970년대 중후반의 시점에서 볼 때 한국의 지역주의는 영호남 간 지역감정의 대립으로 정의될 수 없는 것이었음을 보여 준다. 호남 출신에 대해 비호남 출신 전반의 사회적 거리감은 크게 나타났지만, 그중에서 영호남 출신 간의 거리감은 가장 작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1970년대 중후반까지 영호남 사이의 거리감이 작았고 오히려 호남에 대한 서울과 충청 출신의 편견이 더 크게 나타난 이유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하고, 우선 문제를 큰 차원에서 제기해 보자. 압축적 근대화의 정점에 달하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는 1970년대 중후반의 시기에, 어떻게 출신 지역과 같은 귀속주의적인 차이와 주관적 편견에 바탕을 둔 반호남 지역주의가 부각될 수 있었을까? 시기적으로 그 기원을 어느 시점에서 찾을 수 있을까? 전통 사회에서부터 있었던 ‘전근대적인 것’ 의 연장인가, 아니면 ‘냉전 반공주의 체제에서의 권위주의 산업화’ 로 요약될 수 있는 한국적 근대화의 특수성 때문에 만들어진 ‘근대적인 것’ 인가?


2. 반호남 지역주의의 역사적 기원

-전통 사회의 유산인가

 

 반호남 지역주의의 역사적 기원을 근대 이전에서 찾는 입장은 크게 두 견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견해는 전통적으로 존재했던 지역주의가 1960~70년대의 ‘근대화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았다고 보는 주장이다. 두번째 견해는 고대 국가 시기부터 강한 반호남주의가 존재했고, 바로 이 ‘반호남 지역주의 때문에’ 한국의 근대화가 호남에 대한 경제적 차별, 엘리트 충원에서의 차별을 동반했다는 주장이다.


 첫 번째 견해는 한마디로 근대화론에 따른 이해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화론이 기초하고 있는 ‘확산 모델’에 따르면, 근대화의 충격은 귀속주의적이고 지방주의적인 가치와 1차적 유대를 특징으로 하는 전통 사회를, 성취주의적이고 보편주의적인 가치와 합리적 유대가 지배하는 사회로 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때 지역주의는 ‘전근대적인 것’, 혹은 근대화에도 불구하고 남아 있는 ‘전근대적 유산’의 하나로 정의되고, 근대적 사회발전과 정치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비판된다(이영일 1971; 홍동식 1991). 두 번째 견해는 근대화론과는 정반대의 ‘시원주의적 접근’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이는 영남에 지역 기반을 둔 권위주의 정권이 근대화를 추진하게 되었을 때, 오랜 역사적 기원을 갖는 ‘반호남 지역주의 때문에’ 경제개발과 엘리트 충원 과정에서 영남이 혜택을 받고 호남이 차별당했다고 보는 것으로, 오랜 역사를 거치는 동안에도 지역주의가 사회 구성원들의 내면세계를 지배해 왔기 때문이라는 것이다(김만흠 1991; 신복룡 1997; 남영신 1991; 남영신 1992).

 

 근대화와 지역 차별의 인과관계를 보는 관점은 다르지만, 두 견해 모두 근대 이전의 전통 사회적 유산에서 지역주의의 기원을 찾는다는 점에서는 같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문제 삼고 있는 지역주의는 근대 이전에서 유래하는 것일까? 전통 사회의 지역주의와, 앞서 살펴본 1970년대 중반의 지역주의는 같은 성격을 갖는 것이었을까? 사실 여부를 따져 보기 위해 이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설명 요소들을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호남 지역주의의 최초 기원은 삼국시대 신라와 백제의 대립, 그리고 백제의 멸망과 통일신라의 등장에 있다. 둘째 후백제와의 치열한 군사적 대립을 통해 고려가 건국됨에 따라 후백제 출신은 지배층의 구성 에서 배제되었다. 셋째, 농업에 기반을 둔 조선시대에 호남 지역은 가혹한 수취의 대상이었으므로 민란과 모반이 잦았고, 그 결과 영남 출신이 중심이 된 지배층에게 차별을 받았다. 넷째, 반호남 지역주의는 옛날부터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구조에 깊이 자리 잡고 있었으며 면면히 이어져 왔다. 맞는 말일까? 하나씩 따져 보자.

 

 -신화로서의 시원주의적 지역주의관

 

  삼국시대와 관련해 ‘백제=호남’의 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백제를 세운 온조(溫祚)는 부여족의 일파로서 고구려로부터 남하한 이주민 세력이었다. 그리고 백제가 존립했던 678년의 기간 중 493년 동안 정치적 중심지는 오늘날의 서울과 경기 지역이었고, 나머지 185년 동안은 오늘날의 충청도 공주와 부여였으며, 그 아래 호남 지역으로 내려가지 않았다. 고려 시대에서도 호남 출신이 지배층의 구성에서 차별되거나 배제된 증거는 찾을 수 없다. 고려 전기 지배층의 배출 지역을 보면 후백제 지역 출신(31성관)과 신라 지역 출신(27성관)이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왕비의 배출 지역 역시 지역적으로 고르게 편재되었다. 특히 고려 말 몽고 침략에 대항하는 장기간의 항쟁을 거치는 과정에서 과거 고대국가를 복원하고자 하는 지역주의적 경향은 사라졌고 그 뒤 지난 1천 년 동안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농업에 기반을 둔 중앙집권적 관료 사회였던 조선시대에, 호남 지역이 특별히 가혹한 수취의 대상이 되거나 이로 인해 민란이 자주 발생했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 경작 가능한 토지의 크기나 단위 면적당 수확량을 기준으로 볼 때, 특별히 호남의 과다 수취를 보여 주는 증거는 없다. 민란의 발생 빈도는 호남이 많은 것이 아니라 정반대로 영남이 압도적으로 많았다(남영신 1991). 조선시대 중앙 관료의 출신지로 볼 때도 특별히 호남이 차별을 받았던 것도 아니다. 만약 조선 시대에 특정 지방이나 그 출신에 대한 ‘제도화된 차별’이 존재했다면 그것은 호남이 아니라 서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 전기에 서북 출신의 경우를 보면, 당상관이라는 중앙의 고급 관리에는 단 한 사람도 임용되지 않았으며, 후기에 와서도 지방관에 한해서 몇 사람의 예외만 있었을 뿐이었다. 중앙정부의 이런 차별 때문에, 임진왜란 당시 경기 이남에서는 의병이 많았던 반면 서북 지역에서는 의병이 없었다. 그뿐만 아니라, 심지어 피난 온 왕자나 대신을 붙잡아 왜군에게 넘겨주기까지 했다(이이화 1983, 121-123).


 특정 지역에 대한 편견이 근대 이전부터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 체계 속에 깊이 뿌리내려 있었고, 지속적으로 재생산되어 근대 이후에 표출되었다고 보는 것은 일종의 ‘시대착오적 오류’다. 무엇보다도 위계적 신분 사회이자 전통적 농업 사회로 규정될 수 있는 전근대 사회는 개인과 집단의 자율적 의식 체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Gellner 1987). 따라서 혈통이라고 하는 귀속주의적인 기준에 의해 절대다수 사회 구성원의 사회적 삶이 사전에 결정되었던 전통적 신분 사회에서, 집단적 정체성을 둘러싼 갈등이 나타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독일의 사회학자 오페‧비젠탈(Offe and Wiesenthal 1980)이 “집단적 정체성을 둘러싸고 벌어진 갈등은 매우 근대적인 현상”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다른 한편, 절대다수의 사회 구성원을 토지에 결속시키는 전통적인 농업 사회는 그 공간적 한계를 넘는 이동의 필요성을 갖지 않으며, 대부분의 사회 구성원들에게 공간적 이동을 허용하지도 않는 사회다. 그것은 대다수 생산 집단의 생활 세계에서 여타 지역의 존재에 대한 인식이 요구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치적 필요나 지배층 내 권력투쟁의 계기로 인해 특정 지역에 대한 편견이 부과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의식되고 재생산되는 것은 지배층 내부에 한정되었을 뿐 지역민의 의식구조에 침투해 자연적으로 계승될 수 있는 토대를 갖지 않는다.

 

-창조된 전통, 발견된 편견

 

  물론 근대 국민국가로의 이행이 서구의 경로처럼,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산재해 있던 다수의 독립된 공동체들을 강제로 통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면, 누군가 지역공동체에 대한 정치적인 충성심과 문화적인 정체성을 동원해 중앙 정부에 대항하려고 했을 수 있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는 그러한 지역공동체가 존재하지 않는 ‘역사적 민족’[1] 을 오랫동안 유지해 왔으며, 전통적 사회구조의 해체가 외부의 제국주의 국가에 의해 이루어졌으므로, 정치적이고 문화적인 정체성을 민족이 아닌 지역에 귀속시키려는 경향이 나타날 여지가 없었다. 실제로도 근대로의 전환기라고 할 수 있는 조선 후기나 일제 강점기 동안 지역이라는 단위와 민족이라는 단위의 갈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 역사적 맥락에서 보면, 오히려 약한 지역성이야말로 한국사의 중요한 특징으로 부각된다.

 

  그렇다면 앞서 살펴보았듯이 1970년대 중반의 시점에서, 부정적 지역 편견이 호남에 집중되면서 전라도 사람은 ‘잘 속이고’, ‘배신을 잘한다’는 등의 편견이, 옛날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인식처럼 받아들여졌던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근대 이후 여러 사회에서 ‘전통’이라고 주장되는 의식과 행태가 대개는 “정치경제적 필요 때문에” 작위적으로 발명, 창조되었다는 사실을 분석하면서 홉스봄‧레인저(Hobsbawm and Ranger 1983, 2)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이들 ‘창조된’ 전통의 특이성은 …… 역사적인 과거와의 연속성이 대체로 인위적이라는 점이다. 간단히 말해 그것은 새로운 상황이 만들어 낸 산물로서, 과거의 맥락과 연관된 형태를 창출하거나 혹은 준강제적 반복을 통해 그 자신의 과거를 새로이 확립한다."

 

 한국의 지역주의와 관련해 이야기되고 있는 전통적 인식 역시 마찬가지의 특징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분명 반호남 지역주의는 그 기원을 근대 이전에서 찾을 수 없다는 점에서 근대적인 것이고 새로운 것이다. ‘충의지향’(忠義之鄕) ‘고국의 풍토를 가진 지역’ 등과 같이 호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나, 호남을 칭송했던 수많은 내용들은 배제되고, 각 지방에 대한 부정적 인식 중에서 오로지 호남에 대해 부정적 편견만이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호남에 대한 옛날부터 내려오는 전통적 인식이란 것은 새롭게 ‘불러들여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분석해야 할 문제는 다음과 같은 것이 된다. ‘호남인이 본래 갖고 있는 특질’을 이유로 호남을 인간적 관계에서 차별과 배제의 대상으로 삼는 지역 편견은 언제, 어떤 사회적 계기에 의해, 누가 불러들였을까?

 

-지역 편견의 변화 과정

 

  해방 이후 1950년대를 통해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지역적 고정관념은 비단 호남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었다. ‘서울깍쟁이’ ‘영남 문둥이’ ‘호남개땅쇠’ ‘함경도 이전투우(泥田鬪牛)’ ‘강원도 감자 바위’ 등은 이 시기에 나타난 대표적인 고정관념 내지 편견들이다. 당시 이런 고정관념과 편견들은 주로 서울에서 나타난 것이었는데, 이는 절대 다수의 사회 구성원이 평생 출생지를 벗어나지 못한 채 그 지역에서 삶을 마감했던 전통 사회에서와는 달리,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이주하게 됨에 따라 지역성의 차이가 부각되고 여기에서 사투리와 지연 관계가 집단적 정체성의 단초가 될 수밖에 없었던 초기 근대사회의 특징을 반영한다. 이 시기 부정적 편견의 집중적인 대상이 된 것은 서울로의 이주가 많았던 지역민들이었다. 북한 지역으로부터 내려온 이주민과, 그중에서도 하층민을 이루고 있던 함경도 출신이 대표적인 예다. 반대로 서울 토박이의 인색함에 대한 이주민들의 부정적 감정도 컸다.

 

 1955년 6월 6일자 『중앙학보』에 실린 글에서는 함경도 출신을 “이전투우”적 특질을 가진 사람들로 묘사하고 있고, “그 자식 함경도 자식인데 더 말해서 뭐해!”라는 편견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음을 보여 준다. 같은 해 10월 22일자를 보면 “내가 시골에서 듣기엔 서울 사람들은 아주 인정 있고 얌전하고 궁한 사람을 도울 줄 …… (안다)던데, 웬걸 내가 와서 겪어 보니 인정 있고 얌전은 고사하고 궁한 사람의 입속 것을 내어 먹을랴 하니 어찌된 일인지 어리벙벙하다”라며 서울 토박이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나타난다(고흥화 1989, 89-92에서 재인용). 1960년 조사된 이진숙(1960)의 연구는 서울 사람에 대해 피응답자의 40% 이상이 ‘인색하다’고 평가했으며, 30% 이상은 ‘간사하다’는 고정관념을 부여했음을 보여 준다. 어떤 자료를 보든 적어도 1960년대 초반까지 호남은 지역과 관련된 부정적 편견이 집약되는 대상이 아니었음이 분명하다. 반호남 지역주의를 자극하는 대표적 정치인으로 알려진 김대중은 1961년 당시 강원도 지역의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963년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는 자신의 고향인 경북에서 61%를 득표했으며, 전남과 전북에서도 각각 62%, 54%를 득표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적어도 다음 두 가지 사실이 분명해졌다. 하나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1970년대 중반의 시점에서 반호남 지역주의를 보여주는 조사 결과가 있다는 사실이고, 다른 하나는 도시화와 대규모 인구 이동 과정에서 이주민들 사이에 지역적 정체성을 둘러싼 편견의 교환이 본격화되었지만, 적어도 1960년대 초까지는 호남 출신을 중심으로 한 배제와 소외의 갈등 구조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결국 문제의 반호남주의는 1960~70년대의 권위주의 산업화와 그것이 가져온 사회 변화의 맥락에서 부각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3. 권위주의 산업화의 공간적 특성과 지역주의


-지방이 아닌 도시에서 시작되었다

 

 잘 알다시피 한국의 근대적 사회 변화가 집중되었던 1960~70년대 경제개발 혜택과 엘리트 충원의 공간적 분배에서 수도권과 영남은 집중적인 혜택을 받았다. 비단 호남만이 아니라 그 밖의 지역 모두가 산업화와 엘리트 충원에서 혜택을 받지 못했다. 따라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다음과 같은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첫째는 왜 영남이 아니었는가 하는 문제다. 즉 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 비해 영남이 경제개발과 엘리트 충원에서 압도적인 수혜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균열의 분획선은 왜 수혜 지역으로서의 영남과 비수혜 지역으로서의 비영남의 갈등으로 나타나지 않았는가 하는 것이다. 둘째는 왜 호남이었는가 하는 문제다. 즉 경제개발과 엘리트 충원에서 호남과 마찬가지로 혜택을 받지 못한 충청권과 강원도 출신 역시 왜 반호남의 편견에 쉽게 반응했는가? 혹은 해방 이후 1950년대를 거치는 동안 경쟁적으로 형성되었던 각 지방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편견 가운데 호남에 대한 부정적 편견만 호명되고 확대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라디오‧텔레비전‧신문 등 대중매체가 생활 세계를 지배하기 전인 1970 년대 중반까지 집단 간 상호 의식이 형성되는 소통 구조의 기술적 조건은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압도되었다. 따라서 우리가 문제로 삼는 지역 혹은 지역성이라는 차이가 만나는 지점은 각 지역 출신들이 모여 있는 도시에서 이루어졌다. 지역과 관련된 편견은 지방이 아니라 중심과 도시에서 만들어졌고, 이것이 역으로 지방으로 확대되는 구조였던 것이다. 박정희 시기, 지역성의 차이가 교차했던 도시는 급격히 성장하는 산업도시였다. 따라서 이 시기에 나타난 지역주의는 산업화, 도시화, 계급 분화라는 시간적 축과 지역성이라는 공간적 축이 교직되는 지점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60~80년 사이, 도시 지역 인구 증가분의 50% 이상은 타 지역으로부터의 이주에 의한 것이었다. 도시로의 이주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른 것이었다. 행정 체계의 정비에 따른 도시의 인구 흡수 능력이 증대된 것이나 더 나은 교육 기회를 얻고자 하는 기대 등은 대부분, 같은 광역 행정 지역 안의 도시로 이주함으로써 실현되었다. 따라서 광역지역 내 도시로의 이주는 지역 갈등의 소재가 되기 어려웠다. 반면 산업 부문의 유인에 의한 이주는 달랐다. 1960년대 산업 생산의 중심지였던 서울과 인천의 인구 증가 요인을 보면 타 지역으로부터의 인구 이동이 기여한 정도가 각각 70%와 114%에 이른다. 1970년대에 새로운 산업도시로 등장한 부천, 안양, 울산, 포항의 경우는 각각 83%, 73%, 69%, 69%에 이른다(전광희 1990, 118-119). 이주민만으로도 거의 두 배 가까이 인구가 늘어난 것이다.

 

 박정희 시대에, 산업도시로의 이주는 두 개의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서울-경인 지역이었고 다른 하나는 영남 지역이었다. 그러나 영남 지역의 경우 산업도시로의 인구 이동은 주로 영남 지역의 농촌퇴출 인구로 채워짐으로써 지역성의 교차 정도는 경인 지역에 비해 훨씬 덜했다. 따라서 박정희 시대에, 출신 지역의 차이로 인한 갈등은 주로 경인지역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서울 외곽의 경인 지역이 개발되기 이전인 1960년대의 경우, 절대적인 수의 농촌 인구가 유입된 지역은 서울이었다.

 

-왜 호남에 대한 편견만 호명되었을까

 

   서울로 유입된 지역민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은 호남과 충청이었다. 서울로 이주한 호남권과 충청권의 인구는 주로 저임금의 불안정 취업자나 일용직 혹은 비공식 부문에 종사하는 산업예비군으로 편입되었다. 1979년 저소득층의 출신 지역별 분포에 대한 서울시의 조사를 보면 호남이 28.3%로 가장 많고 그다음 충청이 17.3%, 서울이 14.2%, 뒤이어 영남은 12.5%에 불과함을 알 수 있다(김만흠 1991, 72). 1980년을 기준으로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의 인구구성 비율이 30.5 : 16.2 : 11.7인 것을 기준으로 보면 충청권과 호남권은 자신들의 인구 비중을 넘는 서울로의 하층 이동이 두드러지는 반면, 영남권의 서울로의 하층 이동은 인구 비중을 훨씬 못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남의 경우 농촌 퇴출 인구의 대부분은 영남 지역의 산업 도시에서 흡수했으며, 서울로 이주한 영남 출신의 상당 부분은 대학 진학, 관료 진출, 사업의 형태를 띤 엘리트나 중산층의 이주였기 때문이다.

 

  당시 저소득층이 밀집해 있는 서울의 빈민가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의 공장에 다니는 불안정한 저임금 노동자, 일용직 노동자, 전통적 상업과 서비스 부문 종사자, 대다수 실업 상태에 있는 빈민 등 공식 부문과 비공식 부문을 유동하는 인구가 뒤섞여 경쟁하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타 지역으로부터 이주한 지 오래되지 않은 사람들로서, 각자의 사회적 관계와 정체성은 출신 지역으로 분리되었다. 이때 도시의 저소득층 이주자들 사이에 호남 출신이 다수를 점한다는 사실과, 이들이 피고용자나 피수혜자의 위치에 설 가능성이 높았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효과를 발휘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실은, 도시에서의 정착과 고용을 둘러싸고 서로 경쟁해야 하는 이주민들 사이에서 비호남 출신들의 반호남 의식을 자극하는 객관적 기초였기 때문이다. 또한 세입자와 피고용인의 위치에 설 확률이 가장 높은 호남 출신이 집주인이나 고용주와 갈등 관계를 갖게 될 때, 호남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은 쉽게 부과될 수 있었다.

 

-하층 이주민 사이의 경쟁

 

 산업화의 초기 단계이자 급격한 도시화의 물결 속에 있었던 당시로서는 사회 하층 내부의 갈등이 좀 더 중요한 계기였다고 할 수 있다. 도시의 과잉인구를 구성하고 있는 이들 사이에서 정착과 고용을 둘러싼 경쟁은 거의 생존의 문제에 가까울 만큼 강렬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김진국(1984)의 조사에서 나타나듯이, 호남에 대한 배타적 거리감은 하층계급의 최다수를 차지하는 호남 출신과, 규모면에서 그 뒤를 잇는 충청 출신 이주민, 그리고 서울의 토박이 하층민 사이의 경쟁 관계에서 비롯된 바 컸다고 하겠다. 그렇다면 이렇게 형성된 반호남주의는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갖는 것이었을까? 객관적인 증거를 들어 말할 수는 없지만 이주민이 집중되었던 서울에서 호남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이 점차적으로 편견과 기피 의식으로 발전했을 것이라는 가정은 현실성이 있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이북 출신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은 더 이상 확대되지 않거나 점차 약해졌을 것이라는 것도 합리적인 가정이다. 그러나 1970년대 이전까지 반호남 편견과 기피 의식이 집단적 갈등이나 정치 경쟁을 자극한 사례를 찾기는 힘들다. 반호남주의가 집단적 갈등과 정치적 경쟁의 소재로 불러들여지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들어서였다. 1971년 대선은 이를 살펴볼 수 있는 더 없이 좋은 소재가 아닐 수 없다. 이 시기 반호남주의의 정치적 호명과 조직화는 어떻게 나타났을까? 그리고 그 효과는 어땠을까?


4. 지역주의의 정치적 동원과 편견의 조직화

 

-박정희 정권, 영호남을 지지 기반으로 출발

 지역주의가 위로부터 조직되고 동원되었다는 증거를 확인하기에 가장 용이한 사례는 선거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선거는, 제도화된 정치 참여가 제한되어 있던 권위주의 체제에서, 사회적 갈등과 균열이 단기간 내에 가장 폭발적으로 동원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박정희 정권 시기 반호남 지역주의가 최초로 동원된 사례는 1971년 대통령 선거였지만, 그 이전 1960년대에도 지역성이 동원된 선거가 있었다. 1960년대 선거에 동원된 지역성은 호남이 아니라 영남이었다. 영남의 지역성이 정치적으로 동원된 이유는 박정희 후보가 영남 출신이었다는 사실도 중요했지만, 무엇보다도 영남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를 상회하는 최대 인구였기 때문이다. 1963년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는, 영남 이외 지역에서는 ‘구악 일소’ 등 개혁주의를 강조한 반면, 영남에서는 연고 의식에 호소하는 차별화 전략을 구사했다. 이 전략은 효과적이어서 서울과 경기, 충청에서는 40% 초반의 지지율로 고전한 반면 경북 61%, 경남 67%, 전북 54%, 전남 62%의 높은 지지를 집중시킴으로써 당선될 수 있었다.

 

 더 전형적인 사례는 1967년 선거였다. 이 선거에서 여당은 전체적으로 경제 발전의 성과를 부각시키면서도 영남 지역의 선거 유세에서는 여전히 지역성을 동원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이 선거에서는 영호남의 개발 격차에 불만을 갖기 시작한 호남을 제외하고 전국 모든 지역에서 지지율의 상승과 함께 경북과 경남에서는 71%와 75%의 지지를 획득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영남 지역의 유권자가 박정희를 지지한 것은 산업화의 혜택이 이 지역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63년의 시점에서 경남의 일인당 지역 주민 소득(GRP)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경북 역시 전북에 비해 13%가 낮았다. 그러나 1963년 이후 영남의 경제 수준은 놀라운 속도로 성장해 1970년의 시점에서 영남은 충청과 호남을 크게 앞질렀으며 경기 지역에 버금가는 정도가 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 영남 유권자가 박정희를 지지했던 것은 산업화의 혜택을 대가로 권위주의를 감수하는 일종의 정치적 교환(political exchange)이었다고 할 수 있다.

 

-권위주의의 위기와 지역주의

 

 그렇다면 왜 그 이전 선거와는 달리 1971년 선거에서는 반호남주의를 동원하는 것이 필요했을까?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일 것이다. 첫째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1960년대를 거치면서 호남에 대한 부정적 편견이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둘째는 1971년 선거에서 박정희의 경쟁 후보가 호남 출신의 김대중이었다는 사실이다. 이 두 사실은 1960년대 박정희의 경쟁 후보가 충남 출신의 윤보선이었으며, 충남의 경우 지역 편견의 대상으로 부각되지 않았다는 것과는 대비되는 변화였다. 그러나 이런 사실은 박정희 정권이 반호남 지역주의를 조직하고 동원하는 데 있어 일종의 필요조건이었을 뿐, 인과관계를 연결해 주는 충분한 설명이 되지는 못한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야당 후보가 충청 출신에서 호남 출신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 아니라, 야당 후보의 도전과 영향력이 매우 강력했다는 사실에 있다.

 

 1971년 선거에서 김대중이 선거 과정을 압도할 만큼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비롯된다. 첫째 1970년을 전후로 해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본격화되었고, 산업화의 비용을 감수했던 사회집단들의 저항이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1969년 3선 개헌에 대한 비판적 분위기를 바탕으로 재야라고 불리는 사회 세력이 등장한 것도, 학생운동이 반독재의 슬로건을 내걸고 사회의 전면에 나선 것도 이 시기다. 또한 ‘전태일 분신 사건’ ‘광주 대단지 사건’ 등 산업화가 만들어 낸 하층계급의 저항이 등장하기 시작한 시기도 이때였다. 둘째 김대중 후보가 권위주의 체제를 뒷받침한 제도와 기구, 불균등한 분배 구조를 정면으로 공격하고 나섰다는 점이다. 당시 그는 중앙정보부의 수사 기능을 축소시키고 국회의 심의 대상으로 만들겠다고 공약했으며, 1968년 창설된 향토예비군제를 폐지하겠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또한 적대적 남북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4대국 보장안’을 제시했고 ‘대중 경제’라는 새로운 경제 운영 원리를 주창하면서 ‘부유세 도입’을 공약하기도 했다.

 

  이처럼 박정희 정권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야당의 대통령 후보로 나선 김대중이 박정희 정권의 권위주의적 근간을 공격하고 나섰을 때 그의 대중적 영향력은 폭발적이었다. 4월 18일 김대중의 장충단공원 유세에 수십만의 군중이 모인 것은 박정희 정권뿐만 아니라 야당 스스로도 놀라게 했다. 이로 인해 권위주의 정권이 갖는 위기감을 보여 주는 증거는 많다. 예컨대 당시 집권당이 사용한 선거 자금이 1971년 국가예산(5천2백억 원)의 10%를 상회하는 6백억 원에 달했다거나,[2] 선거 유세 종반에 박정희 후보의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호소는 대표적인 예이다. 당시 중앙정보부의 고위 관리의 증언을 바탕으로 김충식(1992, 315-318)은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호소는 김대중 후보의 상승세가 예상외로 강력하고 이에 따라 박정희 후보의 당선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을 감지한 중앙정보부의 ‘작품’으로 설명한다. 중앙정보부는 이 과정에서 공화당의 지도부를 설득하고, 마지막으로 박정희와 막역한 관계를 갖는 인사를 내세워 박정희를 설득했다고 한다. 선거 이듬해인 1972년 유신체제의 등장은 이런 상황과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는 설명되지 않는다.

 

-지역주의와 반공주의의 접합

 

  그렇다면 이런 위기 상황에 직면해 박정희 정권이 조직한 반호남 지역주의의 의미 구조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선거 국면에서 박정희 정권이 조직한 반호남 지역주의는 당연히 김대중이 호남 출신이라는 사실에서 출발하지만, 주목해야 할 것은 여기에는 일종의 ‘이데올로기적 접합’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반호남주의와 반공주의의 접합이자, 반호남주의를 일종의 이데올로기적 영역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었다. 반호남주의와 김대중과의 의미 연관을 위해 동원된 언술이 ‘호남 대통령’이었다면, 반공주의와 김대중과의 의미 연관을 위해 동원된 언술은 ‘사상이 의심스런 자’라는 언술이었다. 박정희 후보 측이 제기한 “이런 사람이 호남 대통령은 될 수 있지만 어떻게 대한민국 대통령이 될 수 있느냐”(『동아일보』1971년 4월 23일)라는 주장과, 예비군제 폐지를 둘러싼 ‘안보 논쟁’에서 그를 ‘이적 행위자’ 로 몰아 부친 것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당시 국방장관은 이례적으로 “예비군 폐지는 김일성의 남침을 촉진 유도하는 이적 행위다”라는 내용의 성명까지 발표했다.

 

  그러나 김대중을 전라도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반호남주의의 정치 동원이 효과를 갖기는 어려웠다. 왜냐하면 1960년대를 거치면서 형성, 확산되었던 ‘간사하고 앞뒤가 달라 배신을 잘하는 호남 사람’이라는 지역 편견은 개인들 간의 사적인 관계 영역에서 작용하는 것이었을 뿐 집단적인 갈등이나 정치 경쟁의 분획선으로 작용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제 아무리 반공주의를 불러일으키려 했지만 그럴수록 권위주의에 대한 비판 의식만 커졌다. 이런 이유로 1971년 선거에서 ‘자기들끼리만 똘똘 뭉치는 호남 사람’이라는 고정관념이 등장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야당 후보가 이번 선거를 백제, 신라의 싸움이라고 해서 호남 사람들
이 똘똘 뭉쳤으니, 우리도 똘똘 뭉치자”는 주장이나(『중앙일보』1971년 4월 22일), “호남인이여 단결하라”라는 출처를 알 수 없는 내용의 전단이 영남지역에 뿌려진 것(김상웅 1992, 340)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똘똘 뭉친 호남’이라는 고정관념을 조직화한 것은 반사적으로 다른 지역민의 반호남주의를 결집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런 의도는 박정희의 영남 지역 유세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났다. “영남 대통령을 뽑지 않으면 우리 영남인은 개밥의 도토리 신세가 된다”거나 “쌀밥에 뉘가 섞이듯 영남도에서 반대표가 나오면 안 된다. 영남 사람 쳐놓고 박 대통령 안 찍는 자는 미친놈이다” 라는 주장(『조선일보』1971년 4월 18일), 그리고 “우리 지역이 단합하여 몰표를 몰아주지 않으면 저편에서 쏟아져 나올 상대방의 몰표를 당해 낼 수 없다”는 주장(이상우 1993, 355) 등은, ‘호남이 똘똘 뭉쳐 호남 대통령을 만들려고 하는데’라는 의미 구조에 의해 뒷받침된 것이었다.

 

-지역주의 정치 동원의 제한적 효과

 

   그렇다면 이 시기, 이데올로기적으로 조직되고 정치적으로 동원된 반호남주의에 당시 사회 구성원들은 어느 정도 반응했을까? 이를 구체적으로 밝히기는 어렵겠지만 아마도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은 분명할 것이다. 첫째는 당시 권위주의 지지 세력의 구성원들은 반호남주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상층계급이나 급격한 산업화의 수혜 집단 그리고 엘리트 충원 과정에서 특혜를 얻은 이들 지지 세력 구성원들에게 있어서 권위주의 체제의 위기와 불안은 곧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위기와 불안을 의미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반호남주의의 동원에 반응했을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반호남주의의 자발적인 조직자, 적극적인 동원자 역할을 했다. 둘째, 정권과 그 지지 세력이 동원한 반호남주의에 대해 일반 대중이 보인 반응은 그다지 강렬한 것은 아니었다. 김대중을 호남 대통령으로 상징화하려 했지만 이보다는 권위주의 정권에 투쟁적인 야당 후보라는 이미지가 더욱 강하게 작용했다. 또한 영남과 그 출신이 경제개발과 인사 충원에서 독점적 수혜를 입었다는 사실에 대한 비판도 강했다. 김대중은 지역개발의 불균형은 박정희 정권의 책임이라고 공격했고, “내가 당선되면 나는 자유와 정의를 사랑하는 모든 국민의 대통령이 되는 것이지, 결코 어느 지역을 대표하는 대통령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호남 사람이라서 못 찍어 주겠다고 생각하면 안 찍어도 좋다”고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3]

 

  ‘똘똘 뭉친 호남인’이라는 조작된 이미지를 이용해 비호남 유권자의 반호남주의를 자극하고자 했지만, 그에 상응하는 호남의 집단적이고 강렬한 움직임은 없었다. 따라서 김대중을 ‘호남 대통령’으로 호명했던 것이 야당지지 성향을 가진 도시의 유권자들을 김대중으로부터 분리시키지 못했고, ‘똘똘 뭉친 호남’에 대한 반사적 반호남주의가 영향력을 갖는 것도 아니었다. 아마도 1971년 선거가 반호남 지역주의에 의해 압도되었다면 적어도 영남 지역의 경우 그 이전의 대통령 선거보다 박정희 지지가 늘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예상과는 달리 박정희의 득표는 경남에서 오히려 줄었으며 부산에서는 매우 많이 줄어들었다. 영호남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의 득표 결과만 보면 야성이 강한 도시지역, 특히 서울에서의 지지에 힘입어 김대중이 1만7천여 표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시기에 국한해 본다면 정치적으로 동원된 반호남주의는 대체로 위로부터의 현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박정희 정권과 그 지지 세력에 의해 조직된 반공주의와 반호남주의의 접합은 여전히 불완전한 것이었다고도 할 수 있다.

 

 -경성 권위주의의 등장과 지역주의

 

  1971년 선거에서 가까스로 정권 재창출에 성공한 박정희 정권은 유신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정치 경쟁을 극도로 제한시켰다. 그러나 잠재적 경쟁자이자 반독재 투쟁을 자극하는 김대중의 존재는 여전히 위협적이었다. 따라서 1971년 선거 이후에도 박정희 정권과 권위주의 체제의 수혜자들이 반김대중과 반호남의 이미지와 편견을 지속적으로 확대시키고자 했다는 것은 충분히 예상되는 일이다. 정권은 김대중에 대해 좌경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노력했다. 사적인 생활 세계에서 반호남, 반김대중의 이미지와 편견의 조직자는 지배적인 위치에 있던 권위주의 체제의 수혜자들이었다. 1971년 선거를 전후해 이들이 경험한 반독재 투쟁과 하층계급의 저항에 대한 불안감은 반김대중 혹은 반호남과 직접적인 의미 연관을 갖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유신체제하에서 반호남주의가 ‘지배’와 ‘통치’를 위해 좀 더 적극적으로 조직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은 충분히 합리적이다. 그 전형적인 사례는 1980년 광주항쟁 시기에 나타났다. 비슷한 시기(1979년)에 일어났고 반독재 민주화의 열망이 표출되었다는 점에서 유사한 사례였던 부마항쟁과는 달리, 유독 광주항쟁에 대해서는 호남의 지역 정서를 불러들여 해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정부는 ‘외부 세력’과 ‘과격 세력’, ‘폭도’가 주도했고 소외 의식과 ‘한’을 가진 지역민이 이에 동조했다고 설명했으며, 주류 언론은 이에 맞춰 기사를 작성했다. 반공주의와 지역주의의 접합은 하나의 공식처럼 이루어졌다. “상당수의 타 지역 불순 인물 및 고정간첩들이 사태를 극한적인 상태로 유도하기 위하여 …… 계획적으로 지역감정을 자극, 선동하고 난동 행위를 선도한데 기인한 것”이라는 정부의 발표[4] 나 4백 대 가까이 파손된 차량 가운데 유독 경상도 번호판을 단 두 대만을 부각시키는 등 이미지 조작을 통해 지역감정을 동원하려 했던 관제 언론의 보도 태도는 대표적이다(이남재 1993, 47). 이런 해석이 작위적으로 동원되었을 때 권위주의 체제의 수혜자들이 수용적인 태도를 보였으리라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권위주의에 대한 저항을 지역주의 때문으로 치환하려는 이들의 해석이 큰 효과를 가졌다고는 볼 수 없다. 광주에서의 비극을 통해 집권했던 5공화국 정부는 반호남 지역주의의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추구했지만 반권위주의 저항 연합의 전국적 확대를 막지는 못했다. 지역주의가 사회적 갈등의 분획선이나, 정치 갈등의 분획선으로 표출된 사례도 없었다. 반호남주의가 권위주의 정권이나 그 지지 세력에 의해 광범하게 조직화되고 동원되었으며 반공 이데올로기와의 접합이 계속 시도되었지만, 그것은 여전히 지배의 욕구를 공유하는 집단 사이의 문제였을 뿐, 사회 대다수의 의식 세계를 지배하는 정도의 효과를 가졌던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1980년대 이후, 특히 1987년 민주화 이행기에서는 어떠했을까? 이 문제는 3부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고 일단은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해 보자.


5. 2차적 균열로서의 한국 지역주의


-작위적으로 만들어진 지역주의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정희 정권 시기 권위주의 산업화를 거치면서 사회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관계 형성에서 인격적 특질 운운하는 편견에 기초해 호남 출신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이런 반호남 지역주의는 급격한 ‘근대화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잔존한 전근대적인 유산이 아니라, 지역적 정체성의 차이가 중첩되었던 급격한 도시화와 계급 분화, 그리고 영남의 지지를 바탕으로 정권을 재생산하고자 했던 권위주의 정권과 그 지지자들에 의해 작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셋째, 이 과정에서 근대 이전의 중앙과 지방의 균열을 반영하는 호남에 대한 편견은 ‘발견’되었고, ‘동원’되었으며 오랜 역사적 기원을 갖는 것으로 ‘창조’되었다.

 

 반호남 지역주의는 호남이라는 지역적 특성으로부터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우리는 이를 ‘2차적 균열’혹은 냉전 반공주의의 기초 위에서 이루어진 권위주의 산업화가 만들어 낸 ‘파생적 균열’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언어‧종교‧인종‧문화‧전통‧역사적 차이를 가진 다수의 지역공동체가 존재하는 나라들에서 발견되는 지역주의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유형의 지역주의이다. 이들 나라의 경우 지역주의는 근대 이전에 역사적 기원을 갖는 원형적 지역성(proto-regionalities)에 토대를 두고 있으며 다른 지역 집단과 객관적으로 구분되는 문화적 특성을 갖는다. 그 표출 형태는 정치적 충성심을 지역공동체로 회귀시키고자 하는 지방적(local) 현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역주의의 정치적 동원 역시 분리나 자치를 지향하는 운동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매우 동질적인 언어‧인종‧혈연적 기초 위에서 일찍이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가 확립된 한국의 경우 원형적 지역성은 매우 미약했다. 적어도 고려 시대 이후에는 분권화된 통치 공간을 갖춘 어떤 지역공동체도 존재하지 않았다.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지역 갈등이 불거졌다 해도 그것이 원형적 지역성이나 지역공동체의 존재 때문에 나타난 것도 아니고, 그러한 분획선이 호남과 비호남 사이에 그어질 객관적‧논리적 필연성도 존재하지 않았다. 그리고 바로 이런 이유에서 호남 출신을 기피하고 차별하는 근거로 제시되는 ‘호남민의 타고난 인격적 특질’이란 편견이자 허위의식이며, 작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지역성이 아니라 권위주의가 기원

 

  또한 호남의 지역성이 반호남 지역주의의 형성에 있어 전제적 조건이거나 필수적 조건이 아니었다는 사실은, 소외 의식에 기반을 둔 호남의 지역주의 역시 호남이 갖는 지역성의 문제가 아님을 의미한다. 오히려 호남의 소외 의식에 앞서 반호남 의식이 먼저 형성되었고, 이런 반호남 의식이 지배와 통치의 계기와 결합된 편견과 이데올로기의 문제라면,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형성된 호남의 지역주의가 비호남의 반호남주의와 같은 차원으로 대비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한국의 지역주의를 비지역적 차원에서 파생된 균열로 보는 것은 지역주의 현상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도 의미를 갖는다. 3장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지역주의 이슈의 초점은 계속해서 변해 왔다. 예컨대 영남 지역의 투표 행태는 끊임없이 대구-경북과 부산-경남으로 분할과 통합을 반복해 왔을 뿐 아니라, 특정 지역에서 한 정당의 득표 독점성도 끊임없이 유동해 왔다. 지난 2000년 선거 이후 충청권은 대체로 3당 체제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호남권 역시 2004년 총선 이후, 특히 2006년 지방선거에서 양당 체제적 경향을 발전시켰다. 아마도 가장 극적인 변화는 2004년 총선에서 호남 지역의 선거 시장을 독점했던 열린우리당이 그 이후 지배력을 상실한 사례일 것이다. 한국의 지역주의가 갖는 2차적인 균열의 성격을 이해하지 않는 한 이런 변화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앞으로도 지역주의의 정치적 표현은 권력관계적 계기가 변화함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새로운 내용으로 재구성될 것이다.


 한국의 지역주의를 2차적 균열로 정의하는 것은 규범적 차원에서도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민주화 이후 한국 정치를 지역주의라는 틀 속에서 해석하고 다른 차원의 문제를 지역주의로 용해시키는 접근이 왜 잘못인가를 효과적으로 지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지역주의 문제를 파생시킨 우리 사회의 정치경제적 구조의 문제를 개선하는 데 있지,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몹쓸 지역주의를 없애겠다고 흥분할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주석

 

[1] ‘역사적 민족’(historical nation)의 개념에 대해서는 E. J. Hobsbawm(1990) 참조.
[2] 김종필의 증언에 따른 액수인데 강창성은 이보다 많은 7백억 원이었다고 주장했다(김충식 1992, 295).
[3] 각각은『조선일보』(1971년 4월 3일 3월 28일 4월 9일) 참조.
[4] 계엄사령부, “담화문,” 1980년 5월 21일.

 

박상훈,『만들어진 현실: 한국의 지역주의,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문제가 아닌가』, 후마니타스, 2009, p. 34-59

 

 

 

 

 

 

 

 

-

 

역사를 왜곡하는 행위가 아직도 계속 되고 있습니다.
전라도는 왕조의 기반이 된다하여 풍패지향이라 불렸습니다. 
수많은 국란에서 국난극복의 본거지 역할을 했습니다.
훈요십조8항은 인문적 소양이 부족한 일제 이니마시와 이병도가 잘못 해석한 것입니다.

 

훈요십조(訓要十條) 제8항의 차현이남 (車峴以南) 공주강외(公州江外) 위치

http://blog.chosun.com/casy/3220308

 

 

훈요십조 8항 원문을 보면:
원문 : 其八曰, 車峴以南, 公州江外, 山形地勢  趨背逆, 人心亦然, 彼下州郡人, 參與朝廷, 與王侯國戚婚姻, 得秉國政, 則或變亂國家, 或銜統合之怨, 犯 生亂, 且其僧屬官寺奴婢, 津驛雜尺, 或投勢移免, 或附王侯宮院, 奸巧言語, 弄權亂政, 以致 變者, 必有之矣, 雖其良民, 不宜使在位用事
 
여기서 문제가 되는 車峴以南, 公州江外의 지역은 어디인가?.
한자를 보면 車峴의 峴은 볼見에 뫼山이 옆에 붙어있는 고개/재 峴자로 산이 눈높이에 보이는 높지않은 지역를 뜻하는 글자다. 嶺이란 거느릴領에 뫼山을 머리에 이고있는 글자로 산들을 거느리고 있는 높은 지역을 뜻하는 글자다. 낄夾에 뫼山이 옆에 붙어있는 峽[협]은 높은 산과 산사이에 있는 낮은 지역을 뜻한다. 구릉지와 산이 많은 우리나라는 고개나 재가 많으며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가는 종적개념으로 지역의 높낮이에 따라서 峴,嶺,峽를 선택하여 사용했다.
峴을 사용한 예를 보면, 서울 강북에 있는 大峴/阿峴/車峴/梨峴/紅峴/雲峴/藥峴/葛峴/餠市峴/瓦署峴/西學峴/綠礬峴, 서울 강남의 論峴/上峴/南峴/栗峴, 개성의 泥峴/銅峴/不朝峴/朱雀峴, 성남의 葛峴/金峴/走川峴/陽峴/書峴, 용인의 上峴/葛峴, 인천의 葛峴/橘峴/三呼峴, 다산 정약용의 고향 남양주 馬峴처럼 지역내에서 마을과 마을을 연결해주는 구릉지같이 높이가 낮은 고개에서 사용되었다. 嶺을 사용한 예를 보면 鐵嶺,寒溪嶺,陳富嶺,彌矢嶺,大關嶺,花折嶺,鳥嶺,秋風嶺,車嶺,六十嶺처럼 높이 솟은 산봉우리와 그에 연결된 험준한 산마루가 있는 高峯峻嶺[고봉준령]지역에 사용되었으며 높고 험준한 백두대간을 넘나드는 지역에 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까지 사용예가 남아있는 서울의 갈현동,송현동,대현동,아현동,논현동,남현동,율현동,녹번동의 녹번현,상도동의 상현처럼 야트막한 산이나 구릉지가 있는 지역에 峴을 써서 표기했다. 높은 산과 험준산 산마루가 있는 조령[鳥嶺]은 충북과 경북을 가르는 백두대간에 있지만 전국 여러 곳에 있는 조현[鳥峴]이란 지명은 높이가 낮은 고개들이다. 峴은 마을이 형성될수 있는 구릉지대지만 嶺은 높고 험준한 지역에 쓰였다. 峴는 전국 방방곳곳에 매우 많이 있지만 嶺은 제한적이어서 손에 꼽을 정도이다.
 
훈요십조를 원문 그대로 해석하지 않고 원문의 峴이란 글자를 嶺으로 바꿔치기하여 해석하는 사람이 있다. 峴자를 嶺자로 바꿔치기하는 것도 모자랐는지 한술 더떠서 종적개념인 峴자를 산맥처럼 길다란 횡적개념인 산맥으로 왜곡하여 원문의 車峴以南을 車嶺山脈以南으로 조작 왜곡함으로써 원문의 뜻이 완전히 달라지도록 만드는 사람이 있다.
車嶺山脈 명칭은 1903년 일본의 지질학자 고토분지로(小藤文次郞)가 처음 만들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 일제시대 이전의 산경도나 지리서에는 없는 명칭이다.
고토분지로가 명명한 車嶺山脈은 백두대간이 강원도 중남부 오대산 부근에서 분기하여 남서로 뻗어 충청북도와 경기도의 도계를 이루고 충북과 충남 경계지역에서 끊겼다가 다시 충남 북부지역에 나타나 서해까지 뻗은 산맥이다. 따라서 훈요십조의 차현이남을 차령산맥이남으로 왜곡하여 해석하면 차령산맥이 지나는 지역 아래지방인 강원도 남부이남과 충청도이남 전체가 된다. 훈요십조의 峴을 嶺으로 왜곡 변형하여 해석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다.
 
고문서/기록들을 보면 車峴 지명이 있는 곳은 평북 정주시,평양시 순안구역,황해도 은율군, 漢城府 車峴大路,충북 음성군,충남 연기군,경남 산청군 등이고 車嶺 지명이 있는 곳은 충남 천안시,강원도 정선군,평북 초산군이다.
그중 충북 음성군의 차현고개, 수레티 고개(한자로 표기하면 車峴고개)는 지금도 사용하는 지명으로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과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사이에 있다. 강원도 중부 오대산에서 뻗어나온 차령산맥의 중간지점인 충북 음성군 삼성면과 생극면 지역에는 차현고개, 차곡리,차평리, 車의 순 우리말인 수레의산, 수레티고개, 수레울등 車에 관련된 지명이 유달리 많다. 수레티의 티나 수레울의 울은 모두 지역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강원도 중남부부터 충남북부 서해안까지 이어지는 차령산맥의 충남 천안 차령지역은 실제로 산이 높고 험준한 高峯峻嶺지역이고 충북 음성의 車峴지역은 산이 낮은 지역으로 삼국시대부터 교통의 요지이며 두 지역은 지리적,역사적으로 다른 지역이다. 훈요십조 8항의 차현은 충북 음성의 차현과 지리적,역사적으로 일치한다.
 
음성군 북쪽의 중부고속도로가 지나는 차현고개주변 차령산맥지역은 삼국시대에 매우 중요한 지리적, 군사적 요충지로, 특히 동남쪽에 치우친 신라가 경상도와 충북의 경계인 이화령을 지나 한강 및 경기도로 진출하여 당나라와 교역하고 한강 경기지역의 풍부한 물자를 수도인 서라벌로 가져오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통일신라는 차현고개 이남인 청주지역에 5소경의 하나인 서원경을 두었고 차현고개 북동지역에 중원경을 두었다. 5소경은 작은 서울이란 뜻으로 중앙정부를 대신하여 통치하고 지방세력을 감시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차현고개 주변 차령산맥을 경계로 북쪽과 남쪽에 전체 5소경중 두개의 소경을 둔 것은 그만큼 이지역이 정치적,군사적,지리적으로 중요하였다는 뜻이다.
당나라와의 교역물품들과 경기,한강지역에서 생산된 생산물품들을 실은 수많은 마차와 인력들이 차현고개, 이화령을 거쳐 경상도 서라벌로 가고 다시 경상도 서라벌에서 출발하여 이화령 차현고개를 거쳐 경기, 한강지역으로 갔으며 수레(車)와 관련된 지명이 자연스레 생겨났을 것이다. 고지도, 고문서 및 금석문에 차현고개 및 차에 관련된 표기가 많이 남아있고 현재도 차/수레와 관련된 지명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비해 충남 천안은 차령말고는 차에 관련된 지명이 안보인다. (그림1,그림2,그림3)
 
다음으로 훈요십조 8항 車峴以南, 公州江外의 公州江外는 어디이고 公州江內는 어디인가. 錦江과 公州江은 같은 개념인가.
고지도와 조선시대 山經表등을 보면 白頭大幹의 北正脈과 南正脈사이에 있는 강을 淸川江이라 하고, 北正脈과 南正脈사이에 있는 강을 漢江이라 하고, 北正脈과 南正脈사이에 있는 강을 錦江이라 하며, 洛東正脈에 있는 강을 洛東江이라 했다.
동국여지승람 등에 보면 금강은 지나가는 지역에 따라 옥천지역은 赤登津江, 청주지역은 淸州江, 연기지역은 芙江, 웅진지역은 熊津江, 부여지역은 白馬江, 하류지역은 古城津江으로 불렀으며 강 전체를 뜻하는 금강과는 다른 개념이다. 웅진이란 지명이 통일신라 경덕왕때 웅주로 바뀌었고 태조 왕건이 웅주를 公州로 개칭하였으며 공주현지역을 흐르는 강 이름도 지명에 따라 공주강으로 개칭되었다.(그림4)
 
한강이 지역에 따라 홍천강,평창강,주천강,동강,소양강,북한강,섬강,남한강,임진강으로 불리지만 강 전체를 뜻하는 한강과 개념이 다르고, 낙동강이 지나가는 지역에 따라 안동강,밀양강,영강,금호강,남강이라 불리지만 강 전체를 뜻하는 낙동강과 다른 개념이며, 영산강이 지역에 따라 남포강,목포강,사호강,곡강,오례강,황룡강이라 불리지만 강 전체를 뜻하는 영산강과 다른 개념이고, 만경강이 고산천,소양천,탑천,삼천과 전주시를 지나는 전주천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처럼 北正脈과 南正脈사이에 퍼져있는 강 전체를 뜻하는 錦江과 公州고을을 흐르는 公州江은 다른 개념이다.
 
公州江外의 外자가 사용햇던 예를 보자. 왕이 있는 도성안[都城內] 도성밖[都城外], 왕이 있는 본주내[本州內] 본주외[本州外], 서울市內/市外 부산市內/市外, 공주市內/市外처럼 행정구역이나 성벽, 강과 같은 인공물이나 자연물이 경계를 이루는 안쪽과 바깥을 구분하기 위해 內/外를 사용한다. 왕이 있는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을 가리킬때는 內/外를 쓸수 없으므로 왕이 있는 지역에서의 방위를 따져 東西南北을 붙여서 사용하였다.
고려초 수도 개경이 있었던 관내도(關內道), 평안도 지역인 패서도, 충청도 지역인 중원도,하남도 전라도 지역인 강남도, 해양도, 경상도 지역인 영남도, 영동도, 산남도 모두 이런 방식으로 지어진 명칭이다. 따라서 왕이 있는 도성이나 왕이 있는 본주와 멀리 떨어진 지역은 왕이 있는 곳에서 봤을때의 동서남북 방위개념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이러한 표기법은 중국과 한국등 한자문화권에서 수천년간 표기해온 표기법이고 지금도 널리 사용하는 방식이다. 왕성이나 도성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을 동서남북 방위 대신에 外를 써서 표기한 예는 없다. 外를 以南으로 조작 왜곡하여 해석하는 것은 근거를 찾아볼수 없는 잘못된 해석이다.
 
公州江內/外식으로 표기해보면 한강을 경계로 한성쪽은 한강내라 하고 강건너편은 한강외라 하고 공주강을 경계로 공주성쪽은 공주강내라 하고 강건너편은 공주강외라 하고 전주천을 경계로 전주성쪽은 전주천내라 하고 건너편을 전주천외라 하며 달구벌강을 경계로 대구성쪽을 달구벌강내라 하고 대구성 강건너편을 달구벌강외라 한다. 아직도 그런 표기 흔적이 남아있는데 신라말에 서원경성이 있었던 지역인 청주시 쪽을 강내[]라 하고 강건너 지역을 강외[江外]라 하였는데 지금도 금강을 경계로 청주시 쪽이 청원군 강내면[面], 강 건너편이 청원군 강외면[江外面]이다. 따라서 훈요십조 公州江外는 公州城에서 봤을때 공주강을 경계로 안쪽은 公州江內이고 강건너편이 公州江外이다.
 
위와같은 내용들을 가지고 훈요십조 8항의 車峴以南 公州江外을 해석하면 車峴은 충북 북쪽에 있고 公州城은 공주강 아래에 있으므로, 차현고개에서부터 남쪽(車峴以南)으로 내려오다 만나는 공주강바깥(公州江外)지역까지이다. 즉 車峴以南지역과 公州江外지역이 서로 겹치는 교집합 지역을 말한다. 이지역은 신라말 西原京지역으로 오늘날의 음성,진천,청주,연기지역이 될것이다 (그림5).  - 훈요십조 8항 車峴以南 公州江外 해석의 결론.
 
만약 훈요십조 8항식으로 개성과 서울 사이의 파주지역을 표현하면 開京以南 漢城府外가 되며 이것은 개성이남과 서울시 바깥 경계 사이에 있는 지역인 파주를 뜻하지 서울시 남쪽인 강남이나 수원을 뜻하지 않고, 漢江以南 水原市外라고 하면 한강이남과 수원시 경계 바깥사이인 과천,성남을 뜻하지 수원시 남쪽인 천안을 뜻하지 않는 것과 같다.
송악산[松岳山]은 개성의 북쪽에 있고 평양강[平壤江]은 평양성[平壤城] 남쪽에 있으므로 松岳以北 平壤江外라하면 개성 북쪽지역으로 올라가서 평양강까지로 양쪽 사이에 있는 황해북도 지역을 뜻하지 평양강[平壤江] 북쪽지역 평안도를 뜻하는 것이 아니다. 
鳥嶺以南  安東江外라 하면 조령이남과 안동강 사이에 위치한 문경지역을 비정한 것이고, 달구벌(대구의 고지명)강은 오늘날 대구시 금호강으로 공주강이 公州縣을 감싸고 흐르듯 達句伐縣를 감싸고 흐르는데 鳥嶺以南 達句伐江外라 하면 조령이남과 達句伐縣(대구시) 경계 사이에 있는 지역을 뜻하지 達句伐江(금호강) 남쪽인 대구시와 경남을 뜻하지 않는 것과 같다.
 
훈요십조가 기록된 고려사를 보면 936년 태조 왕건 19년에 후백제를 평정하고 후백제 지역을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라 하였는데 安은 長安의 뜻으로 왕이 있는 개경을 뜻하며 安南은 개경의 남쪽 지역이란 뜻이다. 또한 경주(慶州)를 개경의 동쪽지역이라 하여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 개경의 서쪽지역 해주(海州)를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라 하였다. 또한 거란의 침입으로 훈요십조 원본이 불타기전인 고려 6대왕 성종 995년에 지방 행정구역을 공주,대전지역의 공주강 남쪽지역을 하남도(河南道), 전북지역을 강남도(江南道), 전남지역을 해남도(海南道)라 하였다. 개경에서 봤을 때 공주강 남쪽에 있으면 河南道, 江南道라 하였고 개경에서 봤을 때 백두대간 남쪽에 있으면 嶺南道, 동쪽에 있으면 嶺東道라 하였다. 왕이 있는 개경에서 봤을때 명칭이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한양에서 봤을때 전라도는 금강 남쪽이란 뜻의 湖南, 경상도는 백두대간 남쪽지역이라하여 嶺南, 강릉지역은 嶺東, 원주지역은 嶺西라 하였다. 위의 경우처럼 고려 태조 왕건부터 조선말까지 公州江以南 지역은 개경과 한양에서 봤을때 남쪽이므로 南이란 단어를 넣어서 기록하였다. 태조 왕건이 생전에 公州江以南을 개경에서 봤을 때 남쪽이라 하여 南을 써서 표기했고 고려사,고려사절요,조선왕조실록 등 우리 조상들이 기록한 정사에 公州江以南 지역을 개경이나 한양에서 봤을때 南으로 표기했지 外라는 희한한 표기는 없다.
 
車峴以南을 빼고 公州江外을 錦江以南으로 왜곡 변형하면 公州江은 크게 전북과 충북에서 발원한 지류(몇몇 고지도는 충북에서 발원한 금강지류를 더 굵고 길게 표시했고 신라말에 청주를 금강 명칭을 따서 청천현이라 했고 고려,조선시대 기록에도 청주강이라 표기된 예가 있음)가 公州縣에서 만나 公州江이 형성되므로 전북에서 발원한 지류로 보면 충청도 중부/남부와  전라도, 충북에서 발원한 지류로 보면 충청도 동부와 경상도로 삼남지방 대부분이 해당된다. 그러나 훈요십조8항에서 차현이남을 빼고 공주강외를 금강이남으로 해석하는 것은 원문을 왜곡 조작하는 해석이며 그리 할 이유가 없다. 만약 태조 왕건이 오늘날의 충청도 중부/남부와 전라도를 지칭하고 싶었다면 복잡하게 車峴以南 公州江外라 하지않고 간단히 公州江以南이나 또는 당시 충남, 전북을 가리키는 河南以南지역 또는 江南以南지역이라고 했을 것이다.
 
지역주의자들 방식대로 훈요십조의 차현이남이 차령산맥이남이라면 강원도 중남부 오대산에서 내려와 경기도와 충청도의 경계인 차령산맥이남 지역은 강원도 남부, 충청도이남 전체가 된다. 충북 음성의 차현을 충남 천안의 차령과 혼동하여 차현을 차령으로 변형하고 공주강외를 공주강이남으로 왜곡 변형하여 해석하여도 공주강 남쪽에 있는 공주,부여,대전,청주 등 삼국시대부터 충청도 지역의 정치,경제,문화 및 교통의 중심지역이 모두 들어간다. 그럼에도 직접 해당지역인 충청도는 빼고 멀리 떨어진 전라도설을 주장하는 이유가 뭔가. 지리적,인문적 소양 부족이나 사악한 정치적 목적이 아니면 주장할수 없는 비학문적이고 비양심적인 주장이다.
  
궁예는 변란을 피해 차현고개 인근의 칠장사에서 유아때부터 10여세까지 보냈다 (http://blog.chosun.com/casy/3585459). 그런 연유로 칠장사에서 가까운 5소경중 하나인 서원경이 있었던 청주지방 일대는 궁예의 정치적 기반이 되었으며 궁예가 청주출신 사람들을 각별히 신임하여 중용하였고 왕권강화를 위해 청주사람들을 철원으로 이주시켜 왕조의 기반으로 삼았다.
그러나 하루아침에 왕건일파의 반란으로 나라를 빼앗긴 궁예의 추종세력들은 크나큰 분노와 반감을 가졌고 궁예의 정치적 고향이자 왕조의 기반이었던 청주지방을 중심으로  임춘길,이흔암,선장형제 등의 반란이 끊이지 않아서 왕건이 그지방 호족들에게 동물의 성씨를 내리면서까지 탄압하였고 일부 세력은 후백제에 투항했다고 기록되어있다. 왕건은 청주인들의 반란이 계속되자 청주인들이 집단이주한 철원지역을 피해 자기의 고향인 송악으로 수도를 옮긴다. 고려중기 청주 남쪽에 있었던 천민주거지역 명학소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차현이남 공주현 외곽지역은 적극 호응하였다.
왕조를 찬탈하면 이전 왕조의 기반이 되었던 지역은 새왕조에서 경계하게되고 이전 왕조의 기반이 되었던 지역은 옛 영화를 되찾고자 틈만나면 도발함으로 왕건이 궁예의 기반이었던 청주지방을 경계하라는 유훈을 남긴 것으로 보여진다.
태조 이성계가 고려왕조의 기반인 개성사람들을 많이 살상하고 과거를 못보게 했던 기록이 있는데 같은 맥락이다.

   

후삼국시대 말에 풍수도참설을 완성시키고 고려,조선의 정책과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주었던 풍수의 宗師이자 고려초 國師였던 도선은 왕건의 아버지 왕융에게 태조 왕건의 탄생을 예지시켰고 송악산에 솔나무를 심고 왕성의 기반을 다지도록 하였다. 또한 전라북도 성수산(聖壽山)이 산세가 천자가 조례를 받는 천자봉조지상(天子奉朝之像)으로 왕기가 서린 지역이라 하여 초야에 묻혀있던 왕건을 데려다 성수산에서 107일간 기도하게하고 고려를 건국하도록 훈육하였다. 
스승인 도선에게서 풍수의 영향을 크게 받은 왕건은 청주인들의 반란으로 죽을 고비를 넘기기도 하였고 쿠데타로 몰아낸 궁예의 정치적 기반이자 고구려를 계승한 고려를 건국한 입장에서 보면 고구려를 멸망시킨 김유신의 출생지역이기도 한 차현이남 공주강외 지역이 풍수적으로 꺼려졌을 것이다.
스승 도선의 고향이자 청년시절 개국의 기반을 닦았던 전라도에 대해 왕건이 다른 지역보다 호감을 가졌다는 증거가 있는데 말년을 함께 보낸 부인들이 전남 승주출신이고, 전남 나주에서 태어나고 장성한 큰 아들 왕무에게 왕위를 물려준 점이 그렇다. 또한 개국후에 스승 도선의 의견에 따라 여러 곳에 비보 사찰을 세우고 불교 숭양을 훈요로 남기고 국교로 삼았다.
태조 왕건의 권력 핵심중에 핵심이 모두 전라도출신이며 마음과 권력을 모두 전라도에 주었다고 보여진다. 전혀 그렇지 못한 지역이 태조 왕건이 전라도 차별하는 훈요8조를 남겼다고 왜곡하는 것은 빈한한 자가 부귀한 자를 시기하는 꼴인가!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이방원등도 성수산에 와서 조선 건국을 위한 기도를 올리거나 근처에서 사냥을 한 기록이 곳곳에 남아있고 성수산 上耳庵에 친필유적이 남아있다. (http://blog.chosun.com/casy/3623108)
 
고려초 기록을 보면 풍수적으로 本州인 개성/경기도와 배류하는 강으로 낙동강,섬진강을 지목했는데 그 이유는 본주를 등지고 남쪽으로 흐른다는 이유에서였다. 청주강은 충북 음성군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충남 연기군에서 전북쪽에서 오는 지류와 합류하여 부강을 이루고 공주지역으로 흘러가서 공주강을 이룬다. 고려초 풍수에 따르면 차현이남 공주강외 지역에 위치한 청주강은 본주와 배류한다.
  
훈요십조 車峴以南은 車嶺山脈以南이고 公州江은 錦江이라고 왜곡 조작하면서도 차령산맥이남, 금강유역에 직접 속하는 충청도 지역은 훈요십조가 가리키는 지역이 아니고 차령산맥과 공주강에서 멀리 떨어진 전라도지역이 훈요십조가 가리키는 지역이라며 훈요십조 전라도설을 주장한 사람이 누구인가. 자료에 의하면 일제강압기에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 편수관 이마니시(今西龍)에 의해 그 해석이 근본적으로 잘못되기 시작하였다. 이마니시는 구한말까지도 우리의 역사로 가르쳤던 단군조선을 신화로 규정하여 우리 역사의 기원을 일본보다 아래로 만들고 임나일본부설을 주입시켰으며 한사군의 위치를 조작하려 점제현비를 조작하고 식민지배에 장애가 되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의 일부 내용을 부정하는 등 일제 식민지배를 위해 한민족의 역사를 왜곡 조작했던 핵심인물이다.
차현이남 공주강외 뜻를 왜곡 변형한 이마니시는 그러나 전라도는 차별받지 않았으므로 훈요십조는 조작됐다고 주장하였으나 이마니시의 수제자 이병도는 이마니시 해석은 계승하고 조작설은 부인하였다. 해방후 이병도는 국사학계를 장악하고 이마니시의 식민지사관에 입각한 주장들을 그대로 계승하여 우리 역사를 가르쳤으며 훈요십조 8항 해석도 이마니시의 주장 그대로 1948년에 발표된 자신의 논문에 넣으면서 유포됐다.
 
연세대 설성경 교수는 전라도지역은 전혀 차별받지도 않았고 왕건은 삼한 통합에 매진했으며 公州江外를 公州江以南으로 해석한 것은 잘못(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_donga/9805/nd98050100.html)이라 하였다.
건국대 신복룡 명예 교수는 "일찍이 ‘고려사’ 태조 편이 편찬되어 있었지만 현종 시대(1010-1011)에 거란군 40만 명이 쳐들어 왔을 때 모두 불타고 없어졌다. 그래서 태조가 죽은 지 80년이 지나서 ‘고려사’를 다시 편찬했다. 이때 최제안(崔齊安)이라는 인물이 최항(崔沆)의 집에 있는 문서를 가지고 와서 왕건의 유서라고 하며 실록에 끼워 넣었다.(‘고려사’ 열전 최승노·제안 조) 최항은 경주 황룡사(黃龍寺)의 중창(重創)을 주장하고 이를 수행한 인물로서 신라의 후예였다. 최제안은 고려 초기의 중신이었던 최승노(崔承老)의 손자이며, 최승노는 경주 출신으로 신라에서 고위 벼슬을 지낸 최은함(崔殷含)의 아들이다. 이미 불타고 없었던 훈요십조가 80년의 세월이 지난 뒤에 복원되었고 이를 주도한 사람들이 신라 구신(舊臣)의 후손이라는 점에서 훈요십조의 진위가 의심스럽다. 왕실의 그토록 중요한 문서가 어떻게 사가(私家)에 보관되어 있었을까?" 라며 훈요십조 진위에 의문을 제기했다.
 
옛 신라지역 출신인 정몽주는 백제지역 왕조출현에 강한 거부감을 표했고(http://blog.chosun.com/casy/3651498), 영남출신으로 부관참시당한 김종직과 영남 남인과 같은 남인계열로 당시 전라도 광산김씨가 주도했던 권력싸움에 패해 가문이 큰 고초를 겪었고 자신을 훈육한 부모같은 친형이 장살당한 아픈 기억으로 평생 야인생활을 했던 이익과 이익의 종친, 제자들 중 이중환,안정복 등이 개인 저서에서 훈요십조 전라도설을 주장했으나 고려/조선왕조 인사정책과 관련없는 개인적인 주장일뿐이다. 조선초기 전라도 반남박씨에게 권력싸움에서 패한 경상도 청송심씨는 가훈으로 반남박씨와 통혼을 하지말것을 가훈으로 남겼는데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나올수 있는 개인적 주장이나 가문간의 다툼이 반영된 주장을 지역주의로 왜곡 악용해서는 안된다.
 
현지 실사를 하지않아서 오는 지리적 개념의 무지나 사료들을 충분히 연구하지 않아서 오는 인문적 소양의 부족 또는 잘못된 식민사학자의 주장을 분별없이 인용했던간에 훈요십조 8항의 전라도설 주장은 잘못됐으므로 학설을 올바르게 정립하여야하며 훈요십조 8항을 왜곡 변형하여 호남지역을 음해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1. 고려초기에 백제지역 호족,귀족들이 중앙에 대거 진출하여 권력의 핵심이 되었고, 8대왕 현종은 공주강이남에서 태어난 공주의 김은부 세딸과 전주 박온의 딸을 왕후와 후궁으로 삼아 김은부의 딸이 낳은 왕자에게 왕위를 물려주었고, 고려중기 17대왕 인종의 비 공예왕후 임씨가 전라도 장흥에서 출생하여 왕비가 되면서 이후 고려가 멸망할때까지 공예왕후계열에서 왕들을 배출했다. 또한 고려후기 26대왕 충선왕이 왕실과 통혼이 가능한 '누대의 공신이요 재상의 우두머리'인 당대 1급 가문들을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는데:
언양김(彦陽金), 정안임(定安(장흥)任, 시조 임호), 경원이(慶源李), 파평윤(坡平尹), 안산김(安山金), 철원최(鐵原崔), 해주최(海州崔), 공암허(孔岩許), 평강채(平康蔡), 청주이(淸州李), 당성홍(唐城洪), 황려민(黃驪閔 ), 횡천조(橫川趙), 평양조(平壤趙), 전주김(全州金, 시조 完山君 김태서)"
위의 15개 본관들을 보면 경기도 7개, 황해도 2개, 강원도 2개, 전라도 2개(정안임,전주김), 충청도 1개, 경상도 1개이다. 충청/전라/경상의 하삼도중에서 전라도가 충청도/경상도보다 많다.
또한 불교국가인 고려에서 국사는 왕을 계승할 권한이 있는 태자가 왕위를 버리고 승려가 되어 국사가 될 정도로 고귀한 지위이자 왕에 버금가는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기도 하는 자리였으며, 사대부들의 나라인 조선이 세도정치와 서원의 폐단으로 국력이 약화된것 처럼 불교의 나라인 고려는 승려들의 횡포와 사원의 폐단으로 국력이 약화되어 조선에서 억불숭유정책을 채택하는 부작용을 겪기도 한다. 최상류층인 승려들을 통솔하는 국사가 사찰이 전라도보다 훨씬 많은 경상도,충청도 지역보다 전라도지역에서 대거 배출된 것은 개성/서경 세력에 이어 전라도지역이 제2의 권세를 누렸다고 보아야 할것이다.
 
2. 이병도는 조선을 팔아먹은 우봉 이씨 이완용의 종친으로 조선사편수회를 조직하여 일제의 조선통치를 정당화하는 식민사관이론을 만들고 주입시킨 인물이다. 이병도는 종친인 이완용이 팔아먹은 조선에 대해 부정적일수밖에 없었고 구한말 및 일제강압기 광주학생운동같은 전라도지역의 조직적이고 극렬한 반일운동과 서재필,김성수,송진우,김병로등 정계와 재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전라도출신들의 항일투쟁으로 신상의 위협과 자신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던 식민정책 시행에 가장 큰 걸림돌인 전라도지역에 반감을 가졌을 것이다.
일제시대에는 공신이었으나 해방후 역적이 된 친일파 이완용의 종친 이병도는 시대가 바뀌자 종친인 이완용의 매국행위를 지우려 원광대에 있던 이완용의 자료를 훼손하였으며 친일파들을 배척하지 않은 이승만/박정희정권에서 문교부장관 및 대한민국 학술원 회장으로 국사학계를 장악한 이병도는 고조선,삼한시대부터 일제시대까지 일본의 식민사학자 이마니시와 자신의 이론들을 국사책에 넣었으며 이병도의 제자들 및 일부 사학자들이 이러한 이론들을 인용하고 있다. 
 
3. 조선왕조에서 전라도는 조선왕조 스스로 왕조의 본향이라 하였으며 풍패지향이라 불렸고 전라도 감영이 있던 전주성은 풍패를 따서 남문은 풍남문,서문은 패서문,귀빈들이 머무는 객사인 풍패지관과 조선왕조의 시조묘인 조경단,역대 성군들을 모신 경기전등이 있다. 왕조의 본향이라는 자부심은 왜란/호란같은 국난시에 가장 많은 군사들과 의병들을 배출했고 구한말 일본의 침략에 대항하여 궐기한 의병의 40%를 차지했다. 호란때 조선왕조에 반감이 심했던 지역에서 모병활동을 하지 않았던 예만 보아도 왕조의 지역적 기반 및 자부심, 충성심의 지역적 차이를 알수있다.
 
4. 전라도 지역은 고려초부터 고려말에 이르기까지 가장 영향력이 큰 왕후장상 및 권력가들을 상대적으로 많이 배출하였고 훈요십조에 따라 전라도가 차별받았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으며 오히려 경기도빼고 권세를 가장 많이 누린 지역이 전라도지역이다. 또한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조실록 첫장 태조실록에 보면 조선왕조의 朝家가 전주에서 나왔다 하였고 영남유학의 시조 점필제 김종직은 그의 문헌 점필제집에서 조선왕조는 전주에서 나왔다 하였다. 실학의 거두 성호 이익도 성호사설에서 聖朝가 전주에서 나왔다며 신성시 하였다.  
 
훈요십조를 악의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으로 위의 기록들을 해석하면 고려,조선왕조 일천년은 전라도가 여당이었고 가히 전라도 정권이라고 할만하다.
역사를 왜곡 폄훼하여 전라도 차별 운운하는 것은 마치 거지가 부자 걱정하는 것처럼 어이가 없다. 또는 추악한 정치적 의도로 보여진다 (http://blog.chosun.com/casy/5662301).
 

그림1. 조선중기 전국지도인 팔도군현지도(八道郡縣地圖)에 표시된 차현고개 위치.(음성군 차현고개 주변에는 수레의산(車依山,679m),수레울,車谷,車坪,車坪川 등 車관련 지명이 많다)

 

 

그림2. 차현고개 주변 등산로(한남금북 02구간: 차현 (수레티고개) 마이산 (△472m) - 8번군도 (윗두리실) - 583지방도 (쌍봉1리) - 583지방도 (내송2리) - 82번지방도 (방아다리) - 21번국도)

 

 

 

그림3. 차현고개 주변에 있는 화봉육교

 

 

그림4. 공주강이 감싸고 있는 안쪽의 공주목과 공주강 바깥(公州江外)을 표시한 고지도  

 

그림5. 차현고개와 공주강 사이 지역

  

 

 

 

 

이익이 26세때에 이익에게 학문을 가르친 둘째형 이잠이 역적혐의로 장살되었고 종친인 
이중환도 역적 가담혐의로 벼슬이 막히고 고초를 겪게되지요. 
불우한 남인 집안인 이익이나 그의 제자, 종친들이 조선왕조에 반감을 가지면서 
조선왕조 본향인 전라도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졌을 겁니다. 
전라도 산세에 대해 이익이 풍수지리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도선과 다른 의견을 개진한 
것은 오늘날 폴리페서들이 자기들 정치적 성향에 따라 주관적이고 편향적인 논조를 보인 
것과 같습니다 

 

 

훈요십조에 왕실은 반역지역과는 결혼하지 말라고 했는데 고려초인 왕건,현종에 이어 고려 중기이후에도 전라도가 권력의 핵심으로 고려왕실과 긴밀한 관계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료.
http://blog.naver.com/jh753320/110015578799
http://travel.jangheung.go.kr/contents/people/contentsList.jsp?categoryCd=12
전남의 장흥임씨와 전북의 전주김씨는 고려왕실이 고려후기까지 전라도에서 출생한 여자들과 인척관계를 맺음으로써 경기도빼고 전라도는 고려의 개국과 존립에 가장 깊이 관여한 지역이 되었는데 전라도만큼의 권세도 없었고 고려 왕실과 인척관계도 없었던 지역에서 전라도가 차별받았다고 말할수 있을까!!
또한 전라도 송광사는 고려시대 최상류 지배층들인 승려를 대표하는 국사를 16명이나 배출했다. 국사의 영향력은 때로는 왕을 능가했다.
통합의 한을 품기는 궁예가 온갖 역경을 딪고서 나라를 건국하여 20여년이 지나 어느정도 나라의 기틀이 잡혀가는데, 왕건이 몇몇 측근들과 공모하여 하루 아침에 반란으로 나라를 빼앗긴 궁예와 추종세력이 제일 클 것이다. 그래서 궁예의 추종세력들은 1980년 12.12 전두환 반란을 진압하고자 의분에 찬 군인들이 궐기했던 것처럼 청주지방을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켰을 것이다. 쿠데타에 성공한 전두환이 자기에게 반항한 군인들을 모두 옷을 벗기거나 죽여버린 것처럼 왕건은 자기와 가까이 있는 궁예 추종세력이 제일 두려웠을 것이다.
두번째의 통합의 한을 품은 세력은 9백년 사직을 잃어버린 신라의 유신들과 백성들일 것이다. 신라에 대한 자부심이 강했던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귀순을 거부한 것이나 신라의 유신 김사미/효심이 신라회복을 기치로 수년간에 걸친 대규모 반란을 일으킨 것을 보면 그렇다. 후백제는 견훤이 왕건을 도와서 적극적인 동화정책을 했으므로 궁예의 태봉이나 신라보다 반란이 덜 했다 

 

 

 

 

 

 

 

 

 

 

훈요십조 배역의 땅은 호남이 아니다 

 

 

 

 

 

 

 

 

지역별 범죄율 통계 (전국 범죄 발생률)

http://blog.naver.com/c879166/110188622720

 

 

전라도에만 섬노예가 있다?

http://blog.naver.com/c879166/110188192075

 

 

 

SNS로 공유하기 더보기 닫기
URL로 공유시 전체 선택하여 복사하세요. 닫기


맨위로
통합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