あいうえお経済
FC2 Analyzer

태그

미군기지 (2)반일데모 (2)일본경찰 (3)류큐/오키나와 (5)아동포르노 (1)군사정권 (1)양심적일본인 (1)재해 (1)러시아 (1)일왕 (1)일본군위안부 (7)의병운동 (1)덧니 (1)엽기사건 (1)동영상 (7)명예훼손 (1)성진국 (12)동남아시아 (4)서울올림픽 (1)정조관념 (1)범죄율 (2)한국군 (1)재일한국인 (5)황민화정책 (4)일본언론 (1)일본학교 (2)말레이시아 (1)혐한 (16)동성애포르노 (1)영토문제 (1)민족차별 (9)단일민족신화 (1)네덜란드 (3)단교 (1)만화 (2)인도네시아 (4)치열 (1)필리핀 (1)리덩훼이 (1)호주 (1)식민지근대화론 (3)성형 (3)한국독립운동 (3)일본녀 (3)소년범죄 (2)성범죄신고 (5)일본기원론 (2)구한말 (3)일제강점기 (4)스포츠 (1)유언비어 (6)중국 (9)아베신조 (1)북한 (1)뉴라이트 (2)통계 (5)성노예 (6)이토히로부미 (1)싱가포르 (1)청일전쟁 (1)베트남전쟁 (1)해외TV프로그램 (2)한국요리 (1)공식사과 (1)한국역사 (6)밀입국 (1)제2차세계대전 (8)김대중 (1)소수민족 (7)노예제도 (2)재특회 (1)일제만행 (23)러일전쟁 (2)위안부결의 (3)유엔 (1)관동대학살 (2)김연아 (1)F.A.매켄지 (1)대만 (7)베트남 (1)성범죄 (9)류큐독립운동 (3)역사교과서왜곡 (4)2ch (3)애니메이션 (1)인신매매 (2)조선일보 (1)성매매원정 (2)한일병합조약 (1)아동학대 (3)아이누 (3)외국인차별 (3)고종 (2)미국 (3)숙칭대학살 (1)혐한전사 (1)위장공작 (2)로리콘 (2)한류 (2)혐한공작 (5)노무현 (1)한국기원론 (4)유럽 (1)진주만공습 (1)한일월드컵 (1)일본 (44)

일본 만행

- 출처



일본군위안부 [日本軍慰安婦]
일본 제국주의 점령기에 여성들이 일본에 의해 군위안소로 끌려가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함

난징대학살 [南京大虐殺(남경대학살)]
1937년 12월∼1938년 1월 당시 중국의 수도 난징과 그 주변에서 일본의 중지파견군 사령관 마쓰이 이와네[松井石根] 휘하의 일본군이 자행한 중국인 포로·일반시민 대학살 사건이다.

731부대
중국 헤이룽장성[黑龍江省] 하얼빈에 있던 일제 관동군 산하 세균전 부대이다. 1936년에서 1945년 여름까지 전쟁포로 및 기타 구속된 사람 3,000여 명을 대상으로 각종 세균실험과 약물실험 등을 자행했다. 516부대(치치하얼 시, 齊齊哈爾), 543부대(하이라얼 시, 海拉尔), 773부대(Songo), 100부대(창춘, 長春), 1644부대(난징, 南京), 1855부대(베이징, 北京), 8604부대(광저우, 廣州), 200부대(만주), 9420부대(싱가포르) 등 동아시아 각지에 세워진 기관도 731부대와 유사하거나 731부대의 생체실험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였다.

100인 참수 경쟁
100인 참수 경쟁(100人斬首競爭, 일본어: 百人斬 (ひゃくにんぎ)り競争 (きょうそう), 중국어 간체: 百人斩, 정체: 百人斬)은 중일전쟁 시기의 중국에서 일본의 두 군인들이 누가 먼저 100인을 군도로 살해하는지를 겨뤘다는 사건이다.

우키시마호 폭침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을 전쟁에 패한 후 고국으로 돌려보낸다고 하여 승선 엉뚱한 곳으로 향해하여 폭침. 사망자 5천500명 이상.

-라하 대학살(Laha massacre)
-알렉산드라 병원 대학살(Alexandra Hospital massacre)

-숙칭 대학살(Sook Ching Massacre, 肅清大虐殺) 1942년에,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싱가포르를 점령한 일본군이 2월 18일에서 3월 4일 사이에 싱가포르에 거주하던 중국인 화교들을 조직적으로 학살한 사건을 말한다. 숙칭대학살 사건 이후에는 말레이시아계 중국인 화교들로 확대됐다. 전후 학계에서는 약 2만5천 명에서 5만 명 사이의 중국인 화교들 및 싱가포르인들이 학살된 것으로 추정된다. '숙칭'이란 용어의 의미는 '화교 숙청'을 의미한다.

-바탄 죽음의 행진(Bataan Death March) 전쟁포로 7만 명이 행진과정 중 구타, 굶주림 등을 당했고 낙오자는 총검으로 찔려 죽임을 당했다. 결국 7000명~1만 명의 전쟁포로들이 행진도중 사망

-마닐라 대학살(Manila Massacre)
1945년 2월에 필리핀에서 퇴각하던 일본군이 필리핀 마닐라의 민간인에게 자행한 약탈, 강간 및 학살 사건이다. 많은 동서방의 신빙성 있는 자료[1]에 따르면, 이 학살에 따른 희생자 수는 약 10만 명에 달한다

-죽음의 철도(Death Railway)
일본군이 인도네시아를 점령하기 위해 만들어진 철도로서 군인과 전쟁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연합군 전쟁 포로와 징용된 민간인들의 피와 땀으로 건설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이 철도 건설을 위하여 많은 사상자가 났었고, 이 철도의 길이는 약 400km로, 미얀마와 연결돼있다. 사망자 11만 6천여명

-관동대학살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關東大地震 朝鮮人 虐殺事件, 간단히 관동 대학살)은 간토 대지진(1923년) 당시 혼란의 와중에서 일본 민간인과 군경에 의하여 무차별적으로 자행된 조선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대대적인 학살 사건이다. 희생자 수는 약 6,000명[1] 혹은 6,600명[2]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말 일본어민의 제주침탈
구한말 일본 어민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대를 침탈한 사건

문제는 이런 만행을 저지르고도 반성하고 속죄하지 않는 것

일본 돌고래 학살
'더 코브-슬픈 돌고래의 진실’ - 영화

일본의 타이지라는 작은 어촌
돌고래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곳이고 많은 사람들이 돌고래 때문에 찾아오는 관광지
타이지의 한쪽에 있는 만 매년 9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은밀하게 돌고래 사냥
일본에서는 매년 2만 3천마리 가량의 야생 돌고래가 무분별하게 포획
수은 축적, 미나마타병

독도 강치 멸종(위기 라고 쓰고 싶다 아직 멸종된 건 아니겠지...)
일본 나카이 요사부로는 어느날 독도 강치 잡이가 큰 돈이 된다는 사실을 알고 독도 강치 잡이
그가 잡아들인 강치는 8년동안 14천마리에 달했으며 사체 썩는 냄새가 울릉도까지 퍼졌다. 이에 일본 정부도 자제할것을 권유했지만 그는 멈출 생각을 하지 않았고 결국 강치는 독도는 물론 일본 해역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서프라이즈(TV)를 보면 이런 독도강치를 어부들이 먹어서 멸종위기라고 한다. 해양 동물은 대부분 번식력이 좋아 환경 오염등으로 환경(수질, 먹이, 온도등)이 크게 변하지 않는 이상 멸종되기 힘든것으로 알고 있는데 세계적으로 자기들이 무식함을 알리고 이런 만행을 스스로 알리는 꼴이다.
여기에 추가로 이 때 독도강치(조선시대 가재어, 가재)를 무자비한 포획을 하기위해 자기들 마음대로 독도를 무인도로 간주 일본령으로 문서화 하여 독도를 자기 땅이라 거짓을 주장하는데...이런(모든 일본인이 아님) 왜놈들 머리속에는 무슨 생각이 가슴속에는 무슨 마음이 있는지 궁금하다...정신과적으로 분석해봐야 하지 않을까?
2012-07-31 : 일본의 만행 :
« next 

검색 메뉴

블로그친구 신청 메뉴

블로그친구신청.

카운터

FC2無料カウンターFC2無料カウンターFC2無料カウンターFC2無料カウンターFC2無料カウンターFC2無料カウンターFC2無料カウンターFC2無料カウンター

FC2無料カウンターFC2無料カウンターFC2無料カウンター

QR코드

Q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