去る 3日から一週間アメリカニューヨークタイムススクエア屋外電光板を通じて上映された ‘軍艦も(正式人なさるよ・端島)の真実’と言う(のは) 15秒の広報映像で一部写真が過ち使われたことで確認されて論難がおこっている. 日本極右勢力が国際社会で強制徴用自体を否定するための根拠に悪用す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抜いても出る. もう日本では韓国側が ‘印象操作’を通じて ‘フェイクニュース(にせ物ニュース)’を量産しているという主張が拡散している.
該当の写真は炭鉱の中で横になって弾を掘る鉱夫を撮影したのだ. 映像物では ‘軍艦島の本当に名前は地獄島’と言う(のは)内容の前に “120人が死亡した”と言う文具とともに配置された. ところで写真の中人物は強制徴用された朝鮮人ではない日本人に把握された. 場所も軍艦も海底炭鉱ではない.
映像物製作と広報を主導した徐敬徳聖信女子大学校教授も見てから取材過程で “徹底的に検証ができなくて不本意ながらあやまちをした”と関連事実を自認めた.
先立って産経新聞は該当の写真と係わって “ハシマではない福岡(福岡)現ジクホ(筑豊) 炭鉱で取ったことで, 時期も明治時代(1868‾1912年) 中期で朝鮮人徴用と距離(通り)がある”と伝えた. それとともに根拠で写真が載せられた 『目で見るジクホ 100年』と言う(のは)郷土写真資料集を提示した.
が写真が国内に初めて紹介されたことは 1990年代初盤と見える. 日本京都(京都)にある曹渓宗在日本総本山高麗史(高麗寺)で 1990年発行した国文写真資料集 『強制徴用 “朝鮮人はこんなにつかまって行った”』に写真が積まれた以後ずっと引用されて来た.
で教授もこの写真資料集を才人用した 『軍艦も, 終わらない戦争』と言う(のは)本を参考したと明らかにした.
しかしこの本の該当の写真説明には ‘なさるよ’ ‘朝鮮人’ などと係わった言及がない. ただ “ギャング中で横になって弾を掘る姿”とだけ説明されている. 出処である高麗史写真資料集の該当の面を確認した結果写真の中人物や場所に対する説明なく “弾あかす作業は 15分だけしても腰が切れるように痛い”と言うなど状況だけ短く描写されていた.
で教授は “軍艦島と係わった放送と記事で一番代表的に登場するこの写真の中人物が日本人鉱夫というのに私も今度分かった”と “タイムススクエア広告はもう下がったから仕方ないがユティユブにあげた映像は該当の写真を抜いて再編してあげる”と言った.
専門家たちは出処が明確ではない資料を使う場合本来主旨と違い日本極右勢力によって悪用される素地があると指摘した.
ギムミンチォル民族問題研究所責任研究員は “日本右翼はこんな事例を活用して韓国側主張が民族感情を基盤で捏造したことだというイメージを作っている”と言った. 実際インターネットで活動する極右勢力である日本のネッウイックの間では関連内容が広く膾炙されている.
しかし金研究員は “日製による強制動員資料写真はほとんど残っていない”と “それにもかかわらず被害生存者の証言と文献資料など否定することができない明白な証拠が多い”と強調した.
지난 3일부터 일주일간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옥외 전광판을 통해 상영된 ‘군함도(정식명 하시마·端島)의 진실’이란 15초짜리 홍보영상에서 일부 사진이 잘못 사용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일본 극우 세력이 국제사회에서 강제징용 자체를 부정하기 위한 근거로 악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미 일본에선 한국 측이 ‘인상 조작’을 통해 ‘페이크 뉴스(가짜 뉴스)’를 양산하고 있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해당 사진은 탄광 안에서 옆으로 누워 탄을 캐는 광부를 촬영한 것이다. 영상물에선 ‘군함도의 진짜 이름은 지옥섬’이란 내용 앞에 “120명이 사망했다”는 문구와 함께 배치됐다. 그런데 사진 속 인물은 강제징용된 한국인이 아닌 일본인으로 파악됐다. 장소도 군함도 해저 탄광이 아니다.
영상물 제작과 홍보를 주도했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도 본지 취재 과정에서 “철저하게 검증을 못해 본의 아니게 실수했다”고 관련 사실을 시인했다.
앞서 산케이신문은 해당 사진과 관련해 “하시마가 아닌 후쿠오카(福岡)현 지쿠호(筑豊) 탄광에서 찍은 것이고, 시기도 메이지시대(1868~1912년) 중기로 한국인 징용과 거리가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근거로 사진이 게재된 『눈으로 보는 지쿠호 100년』이란 향토 사진자료집을 제시했다.
이 사진이 국내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90년대 초반으로 보인다. 일본 교토(京都)에 있는 조계종 재일본총본산 고려사(高麗寺)에서 1990년 펴낸 국문 사진자료집 『강제징용 “조선 사람은 이렇게 잡혀갔다”』에 사진이 실린 이후 줄곧 인용돼왔다.
서 교수 역시 이 사진자료집을 재인용한 『군함도, 끝나지 않은 전쟁』이란 책을 참고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책의 해당 사진 설명에는 ‘하시마’ ‘한국인’ 등과 관련한 언급이 없다. 다만 “갱 안에서 누워서 탄을 캐는 모습”이라고만 설명돼 있다. 출처인 고려사 사진자료집의 해당 면을 확인한 결과 사진 속 인물이나 장소에 대한 설명 없이 “탄 캐는 작업은 15분만 해도 허리가 끊어질 듯 아프다”는 등 상황만 짧게 묘사돼 있었다.
서 교수는 “군함도와 관련한 방송과 기사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이 사진 속 인물이 일본인 광부라는 것을 나도 이번에 알았다”면서 “타임스스퀘어 광고는 이미 내려갔기 때문에 어쩔 수 없지만 유튜브에 올린 영상은 해당 사진을 빼고 재편집해 올리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자료를 사용할 경우 본래 취지와 달리 일본 극우 세력에 의해 악용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민철 민족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일본 우익은 이런 사례를 활용해 한국 측 주장이 민족 감정을 기반으로 날조한 것이라는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인터넷에서 활동하는 극우 세력인 일본의 넷우익 사이에선 관련 내용이 널리 회자되고 있다.
그러나 김 연구원은 “일제에 의한 강제동원 자료사진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 생존자의 증언과 문헌자료 등 부정할 수 없는 명백한 증거가 많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