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인천공항에서 중국으로 떠나는 중국 관광객들이 항공권 발권을 위해 줄을 서 있다. 인천/연합뉴스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으로 인해 중국의 경제 보복이 가시화되면서 2012년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 조처 이후 같은 상황에 놓였던 당시 일본의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12년 9월 일본 정부가 센카쿠 열도에 대한 국유화 조처를 선언하자, 중국 전역에서 일어난 반일 데모가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 국유화 결정 3일만인 15일 수천명의 시위대가 베이징의 일본대사관을 둘러쌌고, 16일에는 반일 데모가 전국 80개 지역으로 확대됐다. 칭다오 등 일부 지역에선 시위대가 파나소닉과 도요타 자동차, 슈퍼체인 이온 등 일본 기업의 공장이나 영업장에 침입해 기물을 부수고 불을 지르는 등 폭도화되기도 했다. 상하이에서는 길을 걷다 일본인이라는 이유로 폭행 당하는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당시 일본 언론들의 보도를 보면, 중국 데모대의 폭력으로 일본 기업들이 입은 직접 피해액만 ‘수십억~100억엔’ 수준인 것으로 집계된다.
다이와종합연구소는 그해 12월 내놓은 보고서에서 중국의 일본차 불매 운동과 관련해 “10월 무역통계를 보면, (중국 내 일본차 판매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82% 감소하고, 일본의 대중국 수출도 11.6% 떨어졌다”고 전했다.
중국 당국과 관영 매체들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를 강력히 비난하고 나선 가운데, 2일 베이징의 한 식당에 ‘한국 손님 거부’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당시 일본은 소리없는 반격에 나섰다. 일본 기업들이 반일 데모를 계기로 ‘차이나 리스크’를 재평가하면서 이후 대중 직접투자가 급감했다. 2012년 이후 일본의 대중 직접투자는 20~30%씩 급감해 2015년에는 전성기 때의 절반 수준인 32억1000만달러로 떨어졌다. 중국을 찾는 일본인 관광객 수도 급감했다. 중국과 일본의 상호 관광객이 줄면서, 대체지로 한국이 급부상해 중국·일본 관광객들로 한국이 관광특수를 누리던 때가 이 무렵부터였다.
관계 악화가 양국 경제 모두에 적잖은 피해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인식한 중-일은 관계 회복을 시도했다. 양국은 2014년 11월 ‘4개항목 합의’를 발표했다. 이 합의에서 양국은 “센카쿠열도 등 동중국해 해역에서 발생중인 긴장 상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가 있다”며 영토 갈등을 봉합한 뒤, “정치적 상호신뢰 관계의 구축을 위해 노력하자”고 선언했다.
그러나 여파는 여전히 이어지는 중이다.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2012년에 견줘 5배나 폭증(637만3000명)했지만, 중국을 방문한 일본인 관광객은 여전히 2012년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 일본만큼 중국의 공세를 버텨낼 체력과 규모, 반격 수단, 그리고 외교력 등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더욱이 북한 문제라는 또다른 약점도 지니고 있어 이번 사태를 당시 일본만큼 헤쳐나갈 수 있을지 미지수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