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반도 지배는 근대문명의 이식과정이었다”
뉴라이트 이영훈 서울대 교수 ‘한국경제사Ⅰ·Ⅱ’에서 주장
입력 : 2016-12-29 10:59 ㅣ 수정 : 2016-12-29 10:59
▲ 2016. 12. 23.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해 온 뉴라이트 계열 대표적인 경제학자 이영훈 서울대 교수가 최근 기원전 3세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 ‘한국경제사’를 펴냈다.
adad
 

이번 책에서도 일본의 식민통치가 한국의 근대화에 결과적으로 기여했다는 소위 ‘식민지 근대화론’을 펼치고 있다. 2권으로 구성된 이번 책의 1권 머릿말에서 이 교수는 “일본의 한반도 지배는 서유럽에서 발생한 근대문명이 이식되는 대전환의 과정이었다. 대한민국은 일본이 이식한 근대 문명을 계수해 건립된 국가”라고 명기했다. 

친일사관이라는 비판을 의식해 2권 머릿말에서는 “경박하게 제국주의의 시혜라고 해선 곤란하다”며 “일본이 그런 변화를 일으킨 것은 한반도를 그의 영토로 영구합병하기 위한 엄청나게 큰 도둑의 심보였다”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책의 전반에서 나타나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탈색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교수는 이 책에서 일본을 중심으로 조선, 대만, 관동주(뤼순, 다롄에 설정된 일제시대 조차지역), 만주를 동아시아 자본주의 권역으로 설명하고 있다. 동아시아자본주의가 자족적 경제권으로 통합되면서 급속하게 성장해 조선도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확산됐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일본이 동화의 목적으로 실행한 제도의 변혁은 조선에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온전하게 이식했다”며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거대한 경제적 순환은 조선에서 자본주의의 급속한 발전을 견인했다”고 주장했다.

또 일제 강점기에 ‘한국인들은 노예상태였다’는 통설에 대해서도 한국인을 노골적으로 차별하는 법과 정책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한국인의 생활 수준이 개선됐기 때문에 ‘사실이 아니라’고 부정했다.
 

이번에 펴낸 책에서 그는 ‘일제’라는 단어 대신 제국주의적 성격이 탈색된 ‘일본’이라는 용어를 쓰고 1910~1945년 일제강점기도 단순히 ‘일본이 통치한 시기’라는 의미의 ‘일정기’로 표현하고 있다. 

또 최근 정부의 역사 국정교과서 발간을 둘러싸고 논란이 됐던 건국절 논란에 대해서 이 교수는 “조선왕조의 역사와 대한민국의 역사는 이승만을 매개로 해 연속성을 가진다. 1948년 대한민국 건국은 조선왕조 개창 이래 오랫동안 한국인을 포섭해 온 성리학을 대신해 자유민주주의라는 외래 이념이 한국인의 정치 사회생활을 통합하는 새로운 원리로 자리 잡는 문명사적 대전환이었다”며 뉴라이트에서 주장하는 ‘1948년 대한민국 건국’을 지지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소셜댓글 라이브리 영역. SNS 계정으로 로그인해 댓글을 작성하고 SNS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소셜로그인
    .
  • .
.
.
  • 로그인 전 프로필 이미지
  • .
.
  • .
    • 0/250
    • .
  • .
.
.
.
나우뉴스 최신 뉴스
adad
가장 많이 본 뉴스
서울Eye - 포토
사냥개에게 헤드록 건 캥거루의 최후‘미녀의 나라’ 러시아 톱10한파도 녹이는 여배우들볼수록 놀라운 사진 12선야생동물  ‘2016 화제의 순간’
    ‘미녀의 나라’ 러시아 톱10
주소 :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편집인 : 김영만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
  • 기획/연재
  • 라이프
  • 스포츠
  • 연예
  • 피플
  • 웰메이드 N
  • 카드뉴스
  • 만화
  • 운세
  • 날씨
  • 주요기사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블로그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