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임기에 맞춰 내년 12월로 앞당겼던 ‘한국형 발사체 시험발사’ 일정이 2018년 10월로 연기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제11회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해 이런 내용을 포함한 ‘한국형 발사체 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한국형 발사체의 기본 엔진인 75t 엔진의 연소기와 추진체 탱크를 독자 개발하는 과정에서 연소 불안정과 용접 불량 등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다”며 “이런 상황에서 2017년 12월 시험발사를 강행하면 실패 가능성과 사고 위험이 크므로 충분한 시험을 통해 기술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22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미래부 회의실에서 열린 '제11회 국가우주위원회' 를 주재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
한국형 발사체 개발은 1.5t급 실용위성을 600∼800㎞ 고도의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3단 발사체를 개발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으로, 총사업비가 1조9572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설계·제작·시험·조립·발사 등 모든 과정이 독자기술로 개발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가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한국형 발사체는 3단 로켓인데 1·2단의 핵심 요소인 75t급 액체엔진에서 연소 불안정 등 문제가 발견돼 이를 해결하느라 지난해 7월로 예정됐던 첫 연소시험이 올해 4월에야 이뤄졌다. 또 시험발사체 1단 추진체 탱크 제작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고 추가로 시험해야 할 항목이 뒤늦게 파악되는 바람에 지난해 8월로 예정됐던 탱크 제작이 올해 7월에야 이뤄졌다. 75t 엔진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발사체 발사 일정이 10개월 미뤄짐에 따라 3단형 발사체 본 발사 시기도 당초 2020년 6월에서 2021년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다.
김수미 기자 leolo@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