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일본

일본 정부 “한·중·일 정상회의 내년에”

등록 :2016-12-13 11:48수정 :2016-12-13 14:14

크게 작게

기시다 외무상, 13일 공식적으로 밝혀
연기 결정으로 일본 외교 일정에도 영향
일본 정부가 애초 올해 안에 열겠다고 했던 한·중·일 정상회의를 내년으로 미루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13일 각의(한국의 국무회의)가 끝난 뒤 총리관저에서 기자들과 만나 “제반 사정에 의해 (한·중·일) 정상회의의 일정을 재조정해, 내년 적당한 때에 일본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일·중·한 3국간 대화의 틀은 매우 중요하다. 꼭 가능한 한 빨리 중국, 한국과 조정을 해 개최하고 싶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가 지난 8월 한·중·일 외무장관 회의를 통해 “올해 도쿄 개최”에 합의했던 3개국 정상회의를 내년으로 미루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언론의 보도를 보면, 일본 정부는 ‘이달 19~20일 도쿄 개최’ 안을 한·중 양국에 제시해왔다.

기시다 외상이 이번 정상회의의 연기 이유로 지목한 “제반 사정”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등 한국의 내정의 급격한 변동으로 해석된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한국의 내정 상황을 불안한 눈으로 지켜보며 회의의 연기 가능성에 대해선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는 원칙론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회의 연기로 인한 주변국의 따가운 시선을 인식한 때문인지 “관계국(중국)이 회의 개최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여온 것으로 안다”는 등의 설명을 하고 있다.

이번 연기 결정은 일본의 외교 일정을 살펴볼 때 악재로 해석된다. 애초 일정대로라면 내년 의장국은 중국이 되기 때문이다. 일본은 중-일 국교정상화 45주년이 되는 2017년을 맞아 아베 신조 총리가 3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여는 시나리오를 구상해 왔다. 박 대통령의 탄핵에 애먼 일본의 외교 일정에도 영향을 준 셈이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과학
오피니언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스페셜+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커뮤니티
매거진
사업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