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다음달초 강남구 개포동 567-1번지 일대 판자촌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지정·개발 계획 수립 및 경관심의안 심의를 완료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개발구역지정·개발 계획 심의가 완료돼야 1100가구 거주민의 이주 등 후속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서울시와 강남구 모두 구룡마을 거주민의 거주요건이 열악한 만큼 겨울이 오기전 이주를 시켜야한다는 데 이견이 없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지난 19일 열린 도시계획위원회(도계위)에서 개포 구룡마을의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안 심의를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도계위 위원들은 교통대책, 세대수, 높이 등 개별사항에 대해 심도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심의를 보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보류사안에 대한 이견이 크지 않아 다음번 도계위에서는 통과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도계위는 격주 열린다.
서울시 관계자는 "거주민들을 겨울이 오기전 빨리 이주시켜야 한다. 박원순 시장도 앞선 국정감사 때 (도시개발구역지정·개발 계획 심의를) 빨리 해야한다고 밝힌 바 있다"며 "다음번 도계위(11월2일)에서는 안건이 통과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강남구 관계자도 "도계위 심의과정에서 시간이 여의치 않아 보류된 것으로 안다"며 "다음 도계위에 다시 안건을 상정해 통과시켜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룡마을 개발계획은 무허가 판자촌 1100가구가 들어선 구룡마을 일대 26만6304㎡에 공동주택을 짓는 사업이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일대를 전면 수용한 뒤 이곳에 영구·국민임대주택과 일반분양 아파트 등 공동주택 2692가구를 오는 2020년까지 지을 계획이다. 구룡마을 거주민은 영구·국민임대주택에 입주하게 된다.
구룡마을 개발사업은 지난 2011년 서울시(일부 환지)와 강남구(전면 수용) 개발방식을 두고 대립하면서 취소됐다. 이후 사업이 재개됐지만 양기관 사이에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지연됐다.
서울시는 지난 8월에도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된 구룡마을 개발계획안 심의를 보류한데 이어 이번에도 보류했다. 당시 건축마스터플랜 보완 등이 사유로 알려졌지만 강남구는 "서울시 때문에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있다"며 거세게 반발한 바 있다.
구룡마을 거주민들은 조속한 사업진행을 기대하고 있다. 겨울전 이주가 시작돼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영만 구룡마을자치회 회장은 "구룡마을 거주민들이 열악한 환경에 더이상 방치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구룡마을 개발) 사업이 지연되거나 보류되는 일이 없도록 주변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