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NEWS

뉴스

한국인 유전체 거의 완전 해독…“가장 완벽한 유전체 지도”
한국인 유전체 거의 해독…“질병·신약 개발 기대”
국내 연구진이 약 30억 개 염기쌍으로 이뤄진 한국인의 유전체, 이른바 '게놈' 서열을 거의 완...
특별재난지역 검토…“5명 사망·5명 실종”
특별재난지역 검토…“5명 사망·5명 실종”
  정부는 오늘, 태풍으로 인한 피해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해당 지역의 특별재난지역 선포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국민안전처는 제주와 부산...

TV엔 없다

프로그램

최신뉴스 정지 최신뉴스 재생 최신뉴스 이전기사 최신뉴스 다음기사
기상·재해
기상·재해 뉴스 멈춤 기상·재해 뉴스 시작
뉴스 검색
[단독] 한국 첫 ‘달 궤도선’ 발사…다시 러시아와?
입력 2016.10.01 (06:41) | 수정 2016.10.04 (11:06) 뉴스광장 1부
동영상영역 시작
[단독] 한국 첫 ‘달 궤도선’ 발사…다시 러시아와? 저작권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오는 2018년에 우리 손으로 제작한 첫 달 궤도선을 외국 로켓에 실어 발사할 예정인데요,

발사체 공모에서 해외 각국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특히 나로호 제작에 협력한 러시아가 유력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신방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형 발사체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엔진 연소시험이 한창입니다.

2020년쯤 자력 개발한 발사체로 달 탐사선을 쏘아올릴 예정인데, 이에 앞선 2018년에 우리 기술로 만든 달 궤도선을 외국 로켓에 실어 보내게 됩니다.

궤도선은 달 지형 관측 등 정보 수집뿐 아니라 심우주 통신과 추적기술 등을 검증해 2년 뒤 달 착륙 성공의 주춧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발사체 정보 제안서 공모에 미국과 유럽, 러시아, 인도 등 해외의 관심이 집중됐는데, 400억 규모로 발사체 예산이 적은 점이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인터뷰> 김경민(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궤도선 발사 비용이) 미국이나 유럽은 비싼 편입니다. 가격 대비 성공률로 볼 때는 가장 유력한 후보가 러시아고요."

저렴한 비용으로 상업 발사 시장을 장악한 미국 '스페이스 X'의 경우 폭발 사고가 최대 걸림돌입니다.

나로호 발사 때 1단 로켓을 제작한 러시아의 경우는 연방우주국까지 적극 나서는 분위깁니다.

<녹취> 최기혁(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이번에도 러시아랑 한 번 더?" "러시아 발사체도 많이 들어와있어요. 그럼요. 러시아도 상관 없습니다."

한국 첫 달 궤도선을 발사할 로켓은 내년 초 정식 입찰을 거쳐 상반기 안에 확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단독] 한국 첫 ‘달 궤도선’ 발사…다시 러시아와?
    • 입력 2016.10.01 (06:41)
    • 수정 2016.10.04 (11:06)
    뉴스광장 1부
[단독] 한국 첫 ‘달 궤도선’ 발사…다시 러시아와?
<앵커 멘트>

오는 2018년에 우리 손으로 제작한 첫 달 궤도선을 외국 로켓에 실어 발사할 예정인데요,

발사체 공모에서 해외 각국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특히 나로호 제작에 협력한 러시아가 유력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신방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형 발사체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엔진 연소시험이 한창입니다.

2020년쯤 자력 개발한 발사체로 달 탐사선을 쏘아올릴 예정인데, 이에 앞선 2018년에 우리 기술로 만든 달 궤도선을 외국 로켓에 실어 보내게 됩니다.

궤도선은 달 지형 관측 등 정보 수집뿐 아니라 심우주 통신과 추적기술 등을 검증해 2년 뒤 달 착륙 성공의 주춧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발사체 정보 제안서 공모에 미국과 유럽, 러시아, 인도 등 해외의 관심이 집중됐는데, 400억 규모로 발사체 예산이 적은 점이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인터뷰> 김경민(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궤도선 발사 비용이) 미국이나 유럽은 비싼 편입니다. 가격 대비 성공률로 볼 때는 가장 유력한 후보가 러시아고요."

저렴한 비용으로 상업 발사 시장을 장악한 미국 '스페이스 X'의 경우 폭발 사고가 최대 걸림돌입니다.

나로호 발사 때 1단 로켓을 제작한 러시아의 경우는 연방우주국까지 적극 나서는 분위깁니다.

<녹취> 최기혁(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이번에도 러시아랑 한 번 더?" "러시아 발사체도 많이 들어와있어요. 그럼요. 러시아도 상관 없습니다."

한국 첫 달 궤도선을 발사할 로켓은 내년 초 정식 입찰을 거쳐 상반기 안에 확정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카카오친구
아이러브베이스볼
뉴스플러스
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