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시사저널

[단독] “현대차 수뇌부, 리콜은폐 의혹 이미 알고 있었다”

지난해 8월 현대차 K부장, 박병일 명장 찾아와 문건 전달…현대차에 알리자 “공갈협박마라” 무시

박성의 기자 ㅣ sincerity@sisajournal-e.com | 승인 2016.09.23(金) 13:27:5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link

23일 박병일 명장은 현대차 K부장이 폭로한 리콜은폐 의혹과 관련, 현대차 수뇌부가 이 같은 한달 전부터 알았지만 대처하지 않았으며 K부장이 언론에 보도된 내용보다 더 많은 결함자료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 사진=박성의 기자

 

박병일 자동차 명장은 23일 <경향신문>이 보도한 ‘현대·기아차 리콜 은폐’ 논란과 관련해 “내부고발자인 현대차 K부장과 지난해 8월부터 1년 간 현대차 기술결함 문제를 논의해 왔다”며 “이 같은 사실을 변호사를 통해 현대차 모 부회장에 알리고 문제 해결을 요구했지만 철저하게 무시당했다”고 밝혔다.


박 명장은 23일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K부장과 인연과 그가 내부고발에 나선 계기 등을 설명했다. 또 K부장이 왜 한국이 아닌 미국 기관에 의혹을 제기할 수밖에 없었고, K부장이 보유한 현대차 결함의혹 자료에 어떤 내용들이 담겼는지 대해 구체적으로 증언했다.

박 명장은 현대차가 감사실을 이용해 K씨의 내부고발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K씨가 결함 의심차량을 리콜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출하자, 현대차가 감사실로 K씨를 불러 결함 문제를 외부로 알리지 않는다는 각서를 쓰게 했다는 것이다. 박 명장은 K씨가 이 같은 사실을 토로하며 미국에서 현대차 리콜은폐 의혹을 폭로하자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박 명장은 현대차가 리콜은폐 의혹을 누군가의 폭로에 의해서가 아닌 자발적으로 풀어내기를 바랐다고 했다. 고발 탓에 이뤄지는 수동적인 반성과 개선으로는 같은 문제가 재발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박 명장은 또 국익 측면에서도 미국보다는 한국에서 문제를 풀어가는 게 맞다고 믿었다.

박 명장은 지난달 변호사를 통해 현대차 모 부회장에게 내부고발로 인한 리콜결함 의혹이 대외적으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을 수차례 경고했지만, 현대차가 자신과의 ‘악연’을 이유로 아무런 대처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박 명장이 언론을 통해 현대차 기술결함 의혹을 제기하자 2014년 12월 업무방해와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박 명장을 고소했지만 패소한 바 있다.

그는 현대차 기술결함 의혹이 앞으로 계속 확대될 수 있다고 했다. K부장이 보유한 내부문건에는 언론을 통해 보도된 내용보다 더 많은 자료가 담겨있다는 것이다. 문건에는 MDPS 문제를 비롯해 특정시기에 생산된 모델 및 특정 협력업체에서 생산된 부품 결함 등이 상세하게 기술돼 있다는 게 박 명장 주장이다.

23일 현대차 리콜결함 의혹을 내부고발한 K부장이 지난해 8월 29일 박병일 명장에게 먼저 사내 불법적인 관행을 알려주겠다는 문자를 보내왔다. / 사진=박병일 명장

현대차 K부장과의 인연은 언제부터인가.

지난해 8월 K부장이 먼저 문자를 보내와 나에게 도움을 주겠다고 했다. 기술자로서 내가 결함의혹 등을 제기한 게 고맙고 또 현대차 직원으로서는 미안하다더라. 전화통화 뒤 K 집 근처로 찾아갔더니 현대차 결함이 적시된 문건을 건넸다.

문건에 어떤 내용이 담겨있었나.

언론에 보도된 내용이 다가 아니다. 복사 할 수는 없다 해서 열심히 메모 했다. MDPS 토크 센서에서 휨 현상이 발생한다던가, 싼타페 고압펌프 및 아반떼 전방 스프링에 결함이 있다는 내용이 있었다. 또 D협력사에서 생산한 에어백에 문제가 있다는 내용도 있었다. 매우 구체적이었다. 분량도 가방 하나를 꽉 채우더라.

현대차는 K가 가진 자료가 실험 중 소수에서 발생한 문제를 적은 것으로 결함은 과장됐다는 입장이다.

에어백이나 MDPS 문제는 생명과 직결된다. 소수 차량에서 일어난다고 해서 간과할 문제가 아니다. 언론을 통해 수차례 경고했지만 같은 제품을 쓰는 차량이 국가에 따라 다르게 리콜될 수는 없다. K도 현대차가 거짓말을 많이 하고 있다고 고백했다.

K가 결함문건을 입수한 지 1년이 지났다. 이제야 내부고발에 나선 이유가 무엇인가.

내부고발자 자격이란 게 있다. 고발자 지위를 얻으려면 우선 조직 내부에서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K가 상사들에게 수차례 리콜건의 했지만 다 무시당했다고 했다. 결국 품질전략팀에서 구매부문 부서로 자리를 옮긴 뒤 내부고발에 나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현대차 감사팀 압박도 있었다고 했다.

압박이라 하면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말하는 것인가.

K가 현대차에서 근무한 기간만 올해로 25년째다. 25년을 근속하면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는데, 기술결함 의혹을 외부로 유출하면 이 같은 기회가 상실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사팀에서 K에게 결함 사실을 외부로 알리지 않겠다는 각서를 쓰게 했다고 하더라.

K가 한국에서 소송을 벌이든지 국토교통부에 관련 자료를 넘길 수도 있었다. 왜 미국을 택했나.

국내법보다 미국법이 더 강력하다. 보상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미국은 안전과 관련된 내부고발을 한 사람에게, 잘못을 저지른 회사가 물게 되는 벌금의 30%를 준다. 회사가 3000억 벌금을 내면 900억 가까운 보상을 해주는 식이다.

결국 K와 같이 내부고발에 나서지 않았는데.

결함 문제는 안전과 직결된다. 현대차가 분명 고쳐야한다. 다만 방법론의 차이다. 자동차시장을 두고 한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미국에서 일을 벌이면 자칫 나라를 팔아먹는 꼴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가장 좋은 것은 현대차가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거였다.

현대차에 이 같은 결함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한 적이 있나.

지난 8월이었다. 결함 문건을 두고 고민하다가 현대차 수뇌부와 연이 닿는 변호사를 통해 이 문제를 알렸다. 해결책을 모색하고 대처하라는 뜻이었다. 하지만 모 부회장이 내 뜻을 오해했다. 마치 공갈협박 하냐는 식이었다. 그러더니 한 달 뒤 이렇게 (내부고발에 따른 리콜은폐 의혹이) 터진 것이다.

향후 K와 이 같은 문제를 두고 협력할 계획이 있나.

K가 아직 현직에 있어 구체적인 결함 자료를 내게 주지는 않았다. K는 합법적이고 공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풀어가겠다고 밝혀왔다. 지금은 K와 연락이 되지 않는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밴드 link

TOP STORIES

사회 2016.09.23 金
“국정원, 대량 해직 피해자 해결 문서로 약속해 놓고 안 지켰다”
사회 2016.09.23 金
[기회불평등 보고서] 세 살 ‘가난’이 여든까지 가는 세상
정치 > 연재 > 박관용 회고록 2016.09.23 金
[박관용 회고록] ‘아집·독선 vs 소신·용기’  ‘마구잡이 vs 솔직·담백’
건강 2016.09.23 金
지금은  얼굴경영 시대
사회 2016.09.23 金
범죄자들은 전자발찌가 우습다
OPINION 2016.09.22 木
[권상집 교수의 시사유감] 시대정신과 국책 과제는 다르다
건강 2016.09.22 木
미인과 추녀의 차이 ‘2mm’를 아십니까?
사회 2016.09.22 木
지진운 전조현상? 구름이 지진을 예고할 수 있을까
연재 > 사회 > 응답하라 20년 전 오늘 2016.09.23 금
[응답하라 20년 전 오늘] 20년 새 한국 남성 평균수명 10년이 늘어
문화 2016.09.22 목
돌고 돌아 앙갚음 당한 브래드 피트
국제 2016.09.22 목
트럼프의 초강경 이민 정책, “집토끼만 잘 관리해도 승리한다”
정치 2016.09.21 수
'박근혜 대통령의 벗' 최순실, 수면 위로 올라오다
사회 2016.09.21 수
“국정원이 발표하는 정보는 거의 여론몰이용이다”
사회 2016.09.21 수
제5회 시사저널 대학언론상에 도전하세요
연재 > 국제 > 올어바웃 아프리카 2016.09.21 수
[올어바웃 아프리카] 아프리카연합 본부 앞에는 중국 깃발이 펄럭인다
사회 2016.09.21 수
“김영란법용 메뉴는 어떻게 짜면 좋을까요?”
건강 2016.09.21 수
연재 > 사회 > 이민우의 if 2016.09.21 수
[이민우 기자의 IF] ④ 서울대를 만약 사관학교처럼 바꾼다면?
국제 2016.09.20 화
아베, 저녁에 정권 반대자까지 만나 소통한다
건강 2016.09.20 화
[건강 Q&A] 같은 독감, 다른 증상 보이는 이유
리스트 더보기
Welcome

SNS 로그인

facebook 로그인 naver 로그인
기존 회원 비밀번호 재발급
비밀번호 재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