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일 자동차 명장은 23일 <경향신문>이 보도한 ‘현대·기아차 리콜 은폐’ 논란과 관련해 “내부고발자인 현대차 K부장과 지난해 8월부터 1년 간 현대차 기술결함 문제를 논의해 왔다”며 “이 같은 사실을 변호사를 통해 현대차 모 부회장에 알리고 문제 해결을 요구했지만 철저하게 무시당했다”고 밝혔다.
박 명장은 23일 본지와 인터뷰를 갖고 K부장과 인연과 그가 내부고발에 나선 계기 등을 설명했다. 또 K부장이 왜 한국이 아닌 미국 기관에 의혹을 제기할 수밖에 없었고, K부장이 보유한 현대차 결함의혹 자료에 어떤 내용들이 담겼는지 대해 구체적으로 증언했다.
박 명장은 현대차가 감사실을 이용해 K씨의 내부고발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K씨가 결함 의심차량을 리콜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출하자, 현대차가 감사실로 K씨를 불러 결함 문제를 외부로 알리지 않는다는 각서를 쓰게 했다는 것이다. 박 명장은 K씨가 이 같은 사실을 토로하며 미국에서 현대차 리콜은폐 의혹을 폭로하자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박 명장은 현대차가 리콜은폐 의혹을 누군가의 폭로에 의해서가 아닌 자발적으로 풀어내기를 바랐다고 했다. 고발 탓에 이뤄지는 수동적인 반성과 개선으로는 같은 문제가 재발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박 명장은 또 국익 측면에서도 미국보다는 한국에서 문제를 풀어가는 게 맞다고 믿었다.
박 명장은 지난달 변호사를 통해 현대차 모 부회장에게 내부고발로 인한 리콜결함 의혹이 대외적으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을 수차례 경고했지만, 현대차가 자신과의 ‘악연’을 이유로 아무런 대처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박 명장이 언론을 통해 현대차 기술결함 의혹을 제기하자 2014년 12월 업무방해와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박 명장을 고소했지만 패소한 바 있다.
그는 현대차 기술결함 의혹이 앞으로 계속 확대될 수 있다고 했다. K부장이 보유한 내부문건에는 언론을 통해 보도된 내용보다 더 많은 자료가 담겨있다는 것이다. 문건에는 MDPS 문제를 비롯해 특정시기에 생산된 모델 및 특정 협력업체에서 생산된 부품 결함 등이 상세하게 기술돼 있다는 게 박 명장 주장이다.
“국정원, 대량 해직 피해자 해결 문서로 약속해 놓고 안 지켰다”
안성모 기자 asm@sisapress.com
[기회불평등 보고서] 세 살 ‘가난’이 여든까지 가는 세상
박준용 기자 juneyong@sisapress.com
[박관용 회고록] ‘아집·독선 vs 소신·용기’ ‘마구잡이 vs 솔직·담백’
박관용│前 국회의장 정리=김현일 대기자 sisa@sisapress.com
노진섭 기자 no@sisapress.com
조유빈 기자 you@sisapress.com
[권상집 교수의 시사유감] 시대정신과 국책 과제는 다르다
권상집 동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sisa@sisapress.com
노진섭 기자 no@sisapress.com
조유빈 기자 you@sisapress.com
[응답하라 20년 전 오늘] 20년 새 한국 남성 평균수명 10년이 늘어
감명국 기자 kham@sisapress.com
김회권 기자 khg@sisapress.com
트럼프의 초강경 이민 정책, “집토끼만 잘 관리해도 승리한다”
김원식 국제문제 칼럼니스트 sisa@sisapress.com
김회권 기자 khg@sisapress.com
박준용 기자 juneyong@sisapress.com
시사저널 sisa@sisapress.com
[올어바웃 아프리카] 아프리카연합 본부 앞에는 중국 깃발이 펄럭인다
이형은 팟캐스트 ‘올어바웃아프리카’ 진행자 sisa@sisapress.com
김유진 푸드 칼럼니스트 sisa@sisapress.com
노진섭 기자 no@sisapress.com
[이민우 기자의 IF] ④ 서울대를 만약 사관학교처럼 바꾼다면?
이민우 기자 mwlee@sisapress.com
임수택 편집위원 sisa@sisapress.com
김철수 킴스패밀리의원·한의원 원장 sisa@sisapres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