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중국 군함 첫 센카쿠 진입…일본, 새벽 2시에 중 대사 불러

중국과 러시아 군함이 약속이나 한 듯 중국과 일본의 영유권 분쟁지역인 센카쿠(尖閣, 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 접속수역에 연이어 진입했다고 일본 정부가 9일 밝혔다. 접속수역은 연안에서 12~24해리(22~44㎞)로 연안국은 출입국 관리 등 분야에서 일정 권한을 갖지만 3국 선박의 항행 자유는 보장된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중국 해군 소속 ‘장카이(江凱) 1’ 급 프리깃함 1척이 이날 오전 0시50분쯤 센카쿠 열도 구바지마(久場島, 중국명 황웨이위) 북동쪽 접속수역에 진입한 것을 일본 해상자위대 호위함이 확인했다. 중국 해군 함정은 2시간20분 동안 접속수역 안에서 항행한 뒤 빠져나갔다. 그동안 센카쿠 열도 접속주변에는 중국의 해경선이 수차례 진입한 적이 있지만 군함이 항행한 것은 처음이다.
 
기사 이미지

앞서 8일 오후 9시50분쯤 러시아 해군 구축함 등 3척이 센카쿠 접속수역에 진입했다가 9일 오전 3시5분쯤 빠져 나갔다고 일본 방위성이 밝혔다. 러시아 해군 함정은 이전에도 센카쿠 접속수역에 진입한 적이 있지만 중국 군함과 비슷한 시간에 항행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일본 정부는 이에 따라 총리 관저의 위기관리센터에 정보연락실을 설치하고, 중·러 군함의 동시 진입 배경에 대한 분석에 착수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보고를 받은 후 예측하지 못한 사태에 대비하고 미국 등과 긴밀히 협력을 도모하면서 경계·감시에 만전을 기할 것을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사이키 아키타카(齊木昭隆) 외무성 사무차관은 중국 해군 함정이 센카쿠 접속수역을 항행하던 이날 새벽 2시 청융화(程永華) 주일 중국대사를 외무성 청사로 불러 “일본은 중국이 일방적으로 긴장을 높이는 행위를 수용할 수 없다”고 항의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해군 함정을 처음으로 접속수역에 진입시켜 긴장을 일방적으로 높이는 행위를 심각하게 우려한다. 센카쿠 열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상으로도 일본 고유의 영토로 영토와 영해를 단호히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에도 외교 채널을 통해 “주의를 환기시켰다”고 설명했다.

중국 해군 함정의 센카쿠 접속수역 진입은 지난달 일본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등 국제무대에서 일본이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 거점화를 강하게 견제하는 데 대한 반발 조치일 가능성이 있다. G7 정상회의는 당시 중국의 해양 진출을 겨냥해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의 상황을 우려하며, 평화적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내용의 정상 선언을 채택했다.

중국은 이날 자국 군함의 항행이 합법적인 행위라고 강조했다. 중국 국방부 신문국은 일본 매체의 보도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댜오위다오 및 부속 도서는 중국의 고유 영토로서 중국 군함이 본국 관할 해역에서 항행하는 것은 합리적이고 합법적이다. 다른 나라는 멋대로 지껄일 권리가 없다”고 밝혔다.

일부 중국 언론은 중·러 양국의 군함 항행에 대해 센카쿠에 대한 중·러의 공동 군사 훈련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도하고 있다고 일본 지지통신은 전했다.

그러나 NHK는 인터넷판에서 러시아 군사전문가를 인용해 “중국 해군 함정이 러시아 함정을 경계·감시하는 와중에 접수수역에 들어간 것 같다”며 “적어도 중·러가 함께 군사작전이나 훈련은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익명의 이 전문가는 러시아 함정 3척은 러시아 해군 태평양함대 소속으로 지난 3월 말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항을 출발해 4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앞바다에서 군사훈련을 한 뒤 브루네이를 들렀다 돌아오는 길에 센카쿠 해역에 진입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도쿄·베이징=오영환·신경진 특파원 hwasan@joongang.co.kr
AD

중앙일보 핫 클릭

PHOTO & VIDEO

shpping&life

뉴스레터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