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에너지· 화학

삼성SDI, 삼원계 배터리 전기버스 화재 실험 결과 中 당국에 설명

  •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 입력 : 2016.04.12 13:59 | 수정 : 2016.04.12 16:08

    “배터리 타는데 30분 걸려 승객 대피 시간 충분...폭발로 이어지지도 않아”
    삼성SDI∙LG화학 중국서 보조금 재개 기대 … 주중대사관 “빠르면 상반기 결정”

    “전기 버스에 탑재한 배터리가 타는데 30분이나 걸려 승객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한데다 배터리 화재가 폭발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습니다.”

    삼성SDI가 지난 8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정부 주재 전기버스용 삼원계 방식 니켈카드뮴망간(NCM) 배터리 안정성 평가 회의에 보고한 자체 실험 결과 중 일부다.

    이날 회의는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3월 중순 베이징을 방문 먀오웨이(苗圩) 공업정보화부 부장 등과 만나 중국에서 한국기업이 참여하는 삼원계 방식 배터리 안전성 평가를 4월중에 끝내고 이를 토대로 중국 당국이 보조금 지급 재개 여부를 결정한다는 합의를 이끌어낸 이후 처음 열린 평가회의였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최근 방중, 먀오웨이 공업정보화 부장과 만나 전기차용 배터리 문제를 협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최근 방중, 먀오웨이 공업정보화 부장과 만나 전기차용 배터리 문제를 협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12일 박은하 주중 한국대사관 경제공사는 지난 8일의 평가회의 사실을 이 같이 전하고 “삼성SDI와 LG화학등이 생산하는 삼원계방식 배터리를 답재한 전기버스에 중국 당국이 보조금 제공을 재개할 지 여부를 당초 연말은 돼야 결정하려는 분위기였지만 빠르면 상반기중 결론을 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중 한국대사관의 또 다른 관계자도 “주형환 장관이 방문하기 전 열린 안전성 평가회의에서는 삼원계 배터리의 문제를 지적하는 분위기 일색이었지만 지난 8일 회의에서는 삼원계 배터리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중국 전문가의 의견도 개진되는 등 분위기가 좋아졌다”고 전했다.

    실제 8일 평가회의도 당초 중국 당국은 한국 기업이 실시한 실험결과를 서면으로 제출하는 형식으로 진행할 방침이었지만 한국측에서 양국 장관의 합의 사실을 들어 한국 기업이 실험결과를 직접 설명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해 이를 관철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12월 중국산 삼원계 방식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버스가 홍콩에서 화재 사고를 낸 후 안전성 검증을 이유로 지난 1월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삼원계 방식 배터리 탑재 전기버스를 제외했다.

    중국은 그러나 자국업체가 주로 생산하는 리튬인산철(LFP) 방식 배터리 탑재 전기버스에는 보조금을 계속 주면서 보호주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중국 난징의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공장(위)과 중국 시안의 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공장. /각사 제공
    중국 난징의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공장(위)과 중국 시안의 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공장. /각사 제공

    이 같은 정책 변화로 지난해 11월 시안(西安)과 난징(南京)에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을 가동하기 시작한 삼성SDI와 LG화학은 타격을 입었다. 삼성SDI는 시안공장을 확충한다는 계획을 보류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주중 한국대사관의 한 관계자는 “삼성SDI 시안공장은 주로 전기버스용 배터리를 생산해와 승용차용 배터리도 많이 생산하는 LG화학 난징공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타격이 컸다”고 전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3월 25일 하이난에서 보아오포럼 일정을 마친 뒤 베이징까지 날아가 왕양(汪洋) 부총리와 만나 자동차용 배터리 사업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도 이 같은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주형환 장관은 지난 달 먀오웨이 공업정보화부 장관과의 회의에서 “삼원계 배터리는 지난 10년간 단 한 차례의 화재 및 폭발사고가 없었고,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도 삼원계 배터리를 장착한 버스를 제작하고 있는 등 안전에 문제가 없다”며 “보조금 지급 제외 조치는 외국인투자기업의 합리적 기대와 정책 신뢰를 침해하는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SDI와 LG화학의 중국 배터리공장은 모두 합작 공장으로 가동 당시 한중 양국 기업간의 첨단산업 윈윈 협력 사례로 평가를 받았다. 박은하 경제공사는 “중국 정부가 자국민의 안전성 보장을 위한 정책을 취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외자유치 정책 등의 예측 가능성과 일관성 측면에서 절차상 문제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삼원계 방식의 배터리는 밀도가 높아 오래 시간 쓸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발화점(發火點)이 낮다는 이유로 안전성 문제가 중국에서 제기돼왔다. 중국 당국이 삼원계 방식의 배터리를 보조금 지급대상에 제외한 걸 두고 자국 배터리 업계가 삼원계 배터리를 자체 개발 생산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을 벌어주기 위한 ‘보호주의 조치’라는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중국은 전기차 육성 방안의 하나로 배터리 독자개발 능력 확대에 힘쓰고 있다. 지난 2월24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확정한 전기차 육성 방안에도 배터리 기업 지원 내용이 담겨있다. (기사참조) 중국, 공공기관 신차 절반 이상 전기車 의무화

    ‘전기차용 배터리(기술)의 혁명적 돌파를 가속화 한다’는 게 그것이다. 리 총리는 이를 위해 기업 대학 연구소등이 협력해 배터리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산학연 협력 체제로 핵심 소재는 물론 배터리 시스템 개발 등 기초 연구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은 또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은 점차 줄이는 대신 배터리 기업들에 대한 보조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재정을 통해 배터리 성능과 판매량을 기준으로 (배터리)기업들에게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 기사보내기
    • facebook
    • twitter
    • google
    • e-mail
  • Copyrights © 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