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che) 인천로봇랜드 날지도 못하고 추락 위기…법인해산 검토 | 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실시간뉴스]

최종업데이트YYYY-mm-dd hh:mm:ss

검색

산업/경제(IT/과학)

뉴스 홈 > 산업/경제 > IT/과학

인천로봇랜드 날지도 못하고 추락 위기…법인해산 검토

민간투자 '0'…시행기관 자본 잠식 임박

(인천=연합뉴스) 강종구 기자 = 로봇테마파크 등 복합 로봇단지를 표방한 인천로봇랜드가 사업 부진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인천로봇랜드㈜는 2009년 자본금 160억원으로 출범했지만 자본 잠식이 임박한 상태다.

법인 설립 이후 7년간 민간투자자 유치에 실패하고 인건비ㆍ용역비 등 운영비 지출은 계속돼 작년 말 기준 자본금이 8억원도 채 남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진행되는 사업은 23층짜리 로봇산업지원센터, 5층짜리 로봇연구소 등 로봇산업진흥시설 공공사업뿐이다.

이들 시설은 그나마 국비 매칭 사업으로 진행돼 착공이 가능했다.

서구 원창동 로봇랜드 부지에서 2014년 9월 착공된 로봇산업지원센터와 로봇연구소는 국비와 시비 595억원씩 1천190억의 예산을 들여 내년 3∼4월 완공 예정이다.

그러나 로봇테마파크ㆍ호텔ㆍ상업시설 등 5천514억원 규모로 계획된 민간투자사업에는 전혀 진전이 없다.

로봇랜드 토지가격이 3.3㎡당 236만원으로 비싼 편이어서 민간 투자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20m 높이의 로봇태권브이 타워를 중심으로 한 테마파크 건설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는 사업 시행기관인 인천로봇랜드가 별다른 성과 없이 자본 잠식상태에 이르자 청산 방식의 해체를 검토하고 있다.

시는 인천로봇랜드를 청산하고 토지소유기관인 인천도시공사에 사업을 맡기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로봇랜드 법인 청산은 전체 지분의 약 절반을 보유한 가까운 건설 투자사와 전략적 투자자 반발 때문에 시가 독단적으로 강행할 순 없다.

아울러 전체 지분의 약 절반을 보유한 인천시도 법인 청산 땐 초기 출자금 80억원을 날려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인천도시공사도 공사의 재정난이 악화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로봇랜드 사업 인수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다.

각 기관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며 인천로봇랜드 건설사업은 더욱 난항을 겪고 있다.

25일 홍순만 경제부시장, 인천도시공사 사장, 인천정보산업진흥원장, 인천로봇랜드 대표 등이 참석한 회의에서도 법인 청산 여부와 사업 주체 변경안 등 주요 핵심쟁점은 별다른 결론을 보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민간투자사업에 전혀 진척이 없는데 자본금 잠식 상태가 지속하면 법인을 청산하고 새로운 시행기관을 찾는 방법 외에는 다른 해법이 마땅치 않다"며 "관계기관과 계속 협의하며 돌파구를 마련할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inyo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6/02/27 14:00 송고

광고
광고

댓글쓰기

배너
비주얼뉴스
  • 포토
  • 화보
  • 포토무비
  • 영상
배너
AD(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포토
0/0
AD(광고)
광고
AD(광고)

위키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