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DA 300

DA 300

DA 300

충동조절장애의 특징…"충동조절장애 환자 증가세" 이유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2015.04.16 17:23 수정 2015.04.16 18:10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
SNS 공유 및 댓글
SNS 클릭 수 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댓글 수 0
충동조절장애의 특징. 사진은 영화 `분노의 질주 더 세븐` 스틸컷.


충동조절쟁애의 특징, 죄책감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

충동조절장애의 특징이 화제다.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에 의하면 충동조절장애란 충동으로 인해 긴장감이 증가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해가 되는 행동을 하는 것이 특징인 정신질환이다. 충동조절장애는 여러 종류의 장애가 뒤따르며, 이런 장애는 한편으로는 강박증과 또 다른 한편으로는 중독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충동조절장애의 특징으로는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가 되는 행동을 반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충동과 욕구를 스스로 억제하거나 조절하지 못하고, 충동적 행동을 하기 전 긴장이나 각성이 고조되고, 행동으로 옮긴 후에는 일시적인 쾌감이나 다행감, 또는 긴장의 해소를 경험하기도 한다.

또 다른 정신질환에서와 달리 이들 충동적인 행동은 자아동질적(egosyntonic), 즉 자아의 목표나 필요, 또는 자아상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느끼게 되는데, 이는 달리 말하자면,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스스로 이상하다고 느끼지 않는 것을 말하며, 대개 행위 후 자책, 후회, 죄책감이 없는 편이다.

충동조절장애의 특징, 환자 수 점점 늘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09년 3720명이던 충동조절장애 환자 수는 2010년 4375명, 2011년 4470명, 2012년 4937명, 2013년 4934명으로 5년 새 1214명 즉, 32.6%이 늘었다.

성별, 연령별 환자 수는 2013년 기준 10대 남성이 1106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20대 남성 986명, 30대 남성 745명, 40대 남성 454명, 10대 여성 366명 등 순이다.

충동조절장애 환자들 대부분 '무시당했다'는 자신만의 기분에 사로잡혀 쉽게 분노하는 등감정을 조절하지 못한다는 것것이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날이 갈수록 커지는 개인주의와 과도한 자기애가 깔려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 절반 이상이 분노조절 장애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 성인의 절반 이상이 분노조절에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대한정신건강의학회 조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절반이상이 분노조절에 어려움을 느끼며 10명 중 1명은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고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DA 300


분노조절장애는 외상 후 격분장애는 정신적 고통이나 충격 이후에 부당함, 모멸감, 좌절감, 무력감 등이 지속적으로 빈번히 나타나는 부적응 반응의 한 형태이다. 격분 또는 울분이란 인간이 가진 독특한 감정 중 하나이다.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는 믿음에 근거한 증오와 분노의 감정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장애를 말한다.

이는 실제 범죄로 이어지기도 한다. 최근 한 남성은 자신의 여자친구의 이별통보에 자동차로 돌진했다. 사소한 다툼이 살인까지 이어진 것이다. 또국물이 짜다는 말에서 비롯된 말다툼 끝에 식당 주인이 손님에게 흉기를 휘두르는가 하면, 이웃간 주차 시비로, 30대 자매가 숨지기도 하는 등 지난해 '홧김'에 우발적으로 벌어진 폭력 범죄는 15만건. 전체의 40%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중앙일보
'충동조절장애의 특징' .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
페이스북, 트위터로 간편하게 로그인하세요
.
소셜댓글이란?
소셜댓글이란?
회원님이 사용중인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
작성하신 댓글은 로그인을 선택한 계정에 해당하는
서비스로도 동시에 제목과 링크가 포함되어 전송 됩니다.
.
댓글쓰기
0/500

DA 300

DA 300

.

DA 300

DA 30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댓글 많은 기사

DA 300

ad

DA 300

DA 300

네티즌 이슈

DA 300

.

뉴스레터 신청하기

뉴스레터 신청서 작성 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이용자 동의사항
* 수신동의 전 이메일 주소를 확인 후 신청해주세요!
E-Mail
수정하기

사이트맵

중앙일보를 펼치면 세상이 펼쳐집니다.
서비스전체보기

광고

  • 대한항공
  • 삼성전자
  • 래미안

정책 및 약관

주소 : 서울시 중구 서소문로 100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 아 01013등록일자 : 2009.11.2발행인 : 송필호편집인 : 김교준.
JoongAng Ilbo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콘텐트 문의]
Copyright by JoongAng Ilbo Co.,Ltd. All Rights Reserved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트렌드뉴스

현재 트렌드가 되고 있는 뉴스를 읽어 보세요

신규 & 추천 뉴스

오피니언 온에어

DA 300

지면보다 빠른 뉴스

디지털에서만 만날 수 있는 중앙일보 뉴스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