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子番号113番の命名権を、理研が獲得した――。
新元素を認定する国際純正・応用化学連合(ICUPAC)は12月30日、4つの新しい元素が発見され、新元素113番については理研が元素の命名権を獲得すると発表した。日本による元素の発見は初めて。
![riken](http://megalodon.jp/get_contents/255199215)
元素は発見後、その存在が確定すると発見者に命名権が与えられる。113番元素をめぐっては、海外の研究チームのほうが発見が早かったが、その後に発見した理研の方がデータの確実性が高く、理研の命名権獲得が有利と見られていた。
FNNニュースによると、選考委員の一人、東京大学の山崎敏光名誉教授は、理研が命名権を勝ち取った要因を「信頼度の違い」だとして次のように話した。
「数からいうと、ロシアの方がたくさん発見したということになっているが、その信頼度。理研は、結局3個発見したが、その3個とも非常に確かであると」。
元素の名前は、「元素の周期表」に記載され日本発の名前が歴史に残る。関係者によると、ジャポニウムなどの名前が候補に挙がっている。
【関連記事】
▼クリックするとスライドショーが開きます▼
Close
-
딱따구리의 등에 업혀 하늘을 나는 새끼 족제비의 사진. 동런던 혼처치 컨트리 파크에서 마틴 르메이(Martin Le-May)가 촬영. 2015년 3월 2일.
-
나사의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해 천문학자들이 우주의 팽창을 찍을 사진. 허블 망원경의 25년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사진이다. 2014년 2월 3일.
-
우주정거장(ISS) 밖에서 우주보행을 마친 마이크 홉킨스가 찍은 세계 최초의 우주 셀카. 2013년 크리스마스이브.
-
희귀종인 마스카렌 슴새가 뱃속에 알을 품고 날아가는 사진. 이 사진은 공식적으로 '알을 밴 나는 새'를 최초로 촬영한 것이다. 2012년 날짜 미상.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의 암컷 검정짧은꼬리원숭이가 영국의 사진가 데이비드 슬레이터의 카메라를 들고 찍은 셀카. 2011년 날짜 미상.
-
건강한 사람의 T 림프구를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 201년 5월 24일.
-
지름이 고작 2마이크로미터 밖에 안되는 폴리스티렌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 마치 머리카락처럼 중합체들이 뻗어있다. 2009년 국제과학공학비주얼 챌린지에서 우승.
-
허리케인 아이크가 쿠바의 절반이 넘는 지역을 덮고 있는 걸 354Km 상공의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찍은 사진. 2008년 9월 9일.
-
18.5일밖에 안된 형질 전환(인간의 유전형질을 섞은 배아)을 한 쥐의 사진. 2007년 니콘이 주최한 포토마이크로그라피 경연 우승.
-
프랑스 노르망디에서 태양과 지구 사이를 순환 중인 국제우주정거장과 아틀란티스호를 찍은 사진. 2006년 9월 17일.
-
집파리의 자화상. 니콘의 스몰 월드 포토마이크로그라피 우승작.
ハフィントンポスト日本版はTwitterでも情報発信していま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