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일본

아베 “강제성 없었다”는 2007년 위안부발언, 수정할까?

등록 :2015-11-02 11:52

크게 작게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오전 청와대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안내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오전 청와대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안내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위안부 강제동원 인정하고 사과한 고노 담화 부정 발언 외교적 파장
오늘 한일 정상회담서 위안부 강제성 어느 정도 인정할지 주목

 

2일 3년반만에 재개된 한-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종군위안부 문제 해결과 관련해 어떤 발언을 할지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종군위안부 문제는 아베 총리가 정계에 입문한 90년대부터 줄곧 관심을 갖고 종종 자신의 신념을 표현했던 사안이다.

 아베 총리의 위안부 관련 발언중 외교적 파장을 가장 크게 불러 일으킨 것이 8년전인 2007년 3월5일 종군위안부 동원과정과 관련해 “강제성이 없었다”는 발언이다.

 아베 총리는 당시 참의원 예산위 답변 과정에서 “이른바 (위안부 동원과정의) 강제성이라는 것에 대해 무엇을 강제성이라고 할지에 대해서 말하자면 이른바 관헌이 집에 강제로 들어가 강제로 끌어간 것과 같은 강제성은 없었다고 할 수 있다”라고 발언했다. 위안부의 강제동원과정에 일본 관헌의 개입을 인정하고 이에 대해 일본정부의 공식사과를 담은 고노 담화(1993년 8월)를 사실상 부정한 것이다. 이 발언 이후 미 하원은 그해 7월30일 규탄결의문을 채택함으로써 아베 정권에 큰 타격을 주었다.

 그해 신병을 이유로 총리직에서 자진 사퇴한 아베 총리는 2012년 8월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고노 담화 등 역대 일본 정부의 3대 담화를 수정해야 한다”며 다시 위안부 문제를 정치 전면에 꺼내놓았다. 그러나 실제 자신의 두번째 총리에 오른 뒤인 2014년 3월14일 국회 답변에서는 “역사 문제는 정치·외교 문제화하면 안된다”면서 고노 담화를 수정할 뜻이 없음을 밝혔다. 그러나 종군위안부에 대한 아베 총리의 입장이 바뀐 게 아니라, 전략적인 측면을 고려해 숨고르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아베 총리가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 협의의 강제성은 없었다는 자신의 2007년 발언을 수정할지가 주목된다.

 

 

 

 다음은 아베 총리의 종군위안부 관련 발언 일지

 

 

 “실제 한국에선 기생 하우스라는 게 있어 그런 곳에 많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자주 간다. 그래서 그것(매춘이란 것은) 말도 안되는 행위가 아니라 상당히 생활에 용해되어 있는 것이다”(<역사교과서에 대한 의문> 1997년 12월) ▶총리 취임 전 위안부 문제에 대한 문답 과정에서

 

 “이른바 (위안부 동원과정의) 강제성에 대해 협의의 의미에서 강제성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라는 게 중요한 게 아니냐는 사실 확인을 할 필요가 있다. 이 협의의 강제성에 대해서는 사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나오지 않은 게 아니냐.”(1차 정권 시절인 2006년 10월6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시이 가즈로 의원과의 문답 과정에서)

 

 “이른바 (위안부 동원과정의) 강제성이라는 것에 대해 무엇을 강제성이라고 할지에 대해서 말하자면 이른바 관헌이 집에 강제로 들어가 강제로 끌어간 것과 같은 강제성은 없었다고 할 수 있다” (2007년 3월5일 참의원 예산위원회 질의 과정)

  

 “고노 담화 등 역대 일본 정부의 3대 역사 담화를 수정해야 한다”(2012년 8월 자민당 총재 선거)

 

“역사 인식과 관련해선 전후 50년에 나온 무라야마 담화, 60년에 나온 고이즈미 담화가 있다. 아베 내각에선 이 담화를 포함해 역사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담화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선 필설로 다할 수 없는 고통을 당한 분들을 생각하면 매우 마음이 아프다. 이 점에 대해선 역대 총리와 변함이 없다.

 이 문제에 대해선 이른바 고노 담화가 있다. 이 담화는 내각관방의 담화이지만 총리로서 이를 수정할 생각은 없다. 역사에 대해 우리는 겸허해지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역사 문제는 정치 외교문제화 하면 안된다. 역사의 연구는 전문가들의 손에 맡겨야 한다.”(2차 내각이 발족한 뒤 2014년 3월14일 일본 국회 내 답변 과정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선 이(아사히신문의) 오보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상처를 받고, 슬퍼하고, 고통받고 그리고 분노를 느낀 것은 사실이다. 일본의 이미지에 크게 상처를 준 것이다. 일본이 국가적으로 (여성들을) 성노예로 만들었다는 말할 수 없는 중상이 현재 세계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에 의해 그런 상황이 만들어졌다는 것은 사실이다.“ (2014년 10월3일 중의원 예산위원회. ▶할머니들이 고통을 받은 것은 인정하지만, 일본이 국가적으로 이들을 성노예로 만들었다, 즉 일본에게 법적 책임이 있다는 것은 부정한다는 취지의 발언)

 

“인신매매(human trafficking)에 의해 괴롭힘을 당하고 헤아릴 수 없는 고통과 형언할 수 없는 아픔을 겪은 이들을 생각할 때 가슴이 아프다” (3월27일 <워싱턴 포스트>의 칼럼니스트인 데이비드 이그네이셔스와의 인터뷰. 위안부와 관련해 범죄임을 뜻하는 인신매매란 표현 사용)

 

 “인신매매로 희생돼 필설로 다할 수 없는 고통을 겪은 분들을 생각하면 지금도 내 마음이 아프다. 이 생각은 역대 총리들과 다름이 없다” (4월27일 하버드대 강연)

 

 “고노 담화를 계승하고 수정할 생각이 없다”(4월28일 미·일 정상회담 이후 기자회견. 고노 담화의 계승에 ‘전체적으로’ 라는 표현이 빠짐)

 

“20세기 전시 하 수많은 여성들의 존엄과 명예가 크게 손상된 과거를 우리 가슴에 계속 새기겠다”(8월14일 아베 담화. 위안부라는 직접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아베 담화 안에 위안부 문제를 명시적으로 언급)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광고

광고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과학
오피니언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스페셜
스페셜+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커뮤니티
매거진
사업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