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DA 300

DA 300

DA 300

검색
[단독] “한반도에 한사군” 왜곡된 고대사 자료 미 의회에 보냈다

[단독] “한반도에 한사군” 왜곡된 고대사 자료 미 의회에 보냈다

[중앙일보] 입력 2015.10.05 03:00 수정 2015.10.05 03:00 | 종합 10면 지면보기
PDF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
기자
유지혜 기자 사진 유지혜 기자 .
.
.
.
SNS 공유 및 댓글
SNS 클릭 수 2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댓글 수 7
기사 이미지
.
정부가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은 자료와 지도 등을 2012년 미국 의회에 보냈다고 새누리당 이상일 의원이 4일 밝혔다.

2012년 자료서 동북공정 인정 의혹
고조선 경계 축소해 지도에 표시
고구려 옆에 중국 ‘고구려현’ 병기
미 의회는 자료 그대로 보고서 발간
이상일 의원 “국익훼손 수정해야”
이 의원이 교육부 산하 동북아역사재단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외교부의 의뢰를 받은 재단은 2012년 8월 미 의회조사국(CRS)에 ‘한·중 경계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한국의 시각’이란 검토자료를 제출했다.

하지만 자료엔 동북공정(중국 국경 안에서 전개된 역사를 자국사에 편입하려는 프로젝트)을 받아들이는 내용이 다수 포함됐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주변국의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만든 기구인데, 오히려 국내 학계의 시각과는 다른 부분이 담겼다는 게 이 의원의 지적이다.

당시 미 상원외교위원회는 북한 급변 상황 시 중국의 개입 가능성 등을 분석하기 위한 보고서를 만드는 과정에서 한국의 역사적 입장을 제출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정재정 당시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이 미국에 가서 CRS 관계자를 만나 한국 입장을 담은 자료를 전달했다.

 그러나 자료와 지도 곳곳에서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 의원에 따르면 우선 고조선의 영토를 보여주는 지도가 현재의 랴오닝(遼寧)성 일부로 경계를 한정했다. 실제 고조선의 영토는 이보다 훨씬 북동쪽인 남만주 일대 및 지린(吉林)성과 헤이룽장(黑龍江)성, 연해주까지 이르렀다. 또 고조선의 건국 연도는 기원전 2333년인데, 이에 대한 설명 없이 지도엔 “기원전 3세기 무렵의 고조선 영토”라고만 돼 있었다.

 기원전 108년 중국 한무제가 설치했다는 한사군(진번·낙랑·임둔·현도)이 과거 한반도 일부 지역을 통치했다는 것이 동북공정과 일제 식민사학의 핵심적 주장인데 이를 인정하는 듯한 지도도 보냈다. 기원전 3세기와 196년 황해도 부근에 진번군이 있었던 것처럼 표시해놨다. 기원전 108년 지도엔 아예 한사군 네 곳을 한반도 북부 지역에 표시해놨다.

 기원전 37년 건국한 고구려를 기원전 196년 지도에 등장시키면서 고구려 국명 옆에 ‘고구려현’이라는 한나라의 지역명을 표기하기도 했다. 이 밖에 서기 676년 지도에 신라와 당나라의 영역을 표기하면서 독도는 그리지 않았다.

 인하대 복기대(융합고고학) 교수는 “지도대로라면 고려의 수도 개성에 낙랑이 있었다는 얘기인데, 그런 사료나 학설은 들어본 적이 없다”며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었다는 이야기는 일제시대 때 식민사학자들이 ‘한국은 다른 나라의 속국’이라고 날조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미 의회는 이를 ‘한국 정부의 입장’으로 그대로 첨부해 2012년 12월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과 상원의 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의원은 “미 의회 보고서는 미국의 정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자료인데 그런 자료에 우리 역사를 왜곡하는 지도를 재단과 정부가 보낸 것은 국익을 훼손하는 행동”이라며 “잘못된 부분들을 빨리 수정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단은 2008년부터 46억원을 들여 만든 ‘동북아 역사지도’의 신라시대 부분에 독도를 누락하는 등 일제 식민사관 등을 드러내 역사왜곡 논란을 일으켰다.

 정재정 당시 이사장도 논란 속에 2012년 9월 물러났 다. 하지만 이미 문제 자료가 미 의회로 건너간 상태였다. 재단에서 근무했던 한 관계자는 “일제 식민사관 등을 계승하고 있는 이들이 내부에 있다”고 말했다.

DA 300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

#단독  관련 태그 뉴스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
페이스북, 트위터로 간편하게 로그인하세요
.
소셜댓글이란?
소셜댓글이란?
회원님이 사용중인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
작성하신 댓글은 로그인을 선택한 계정에 해당하는
서비스로도 동시에 제목과 링크가 포함되어 전송 됩니다.
.
댓글쓰기
0/250
  • 947885928602766
    댓글쓰기
    0/250
  • auntrng
    auntrng 2015-10-05 12:07:24 신고하기
    이것 모두 먹고 사는 문제에 너무 집착하여 문사철 학문분야를 도외시한 결과이다. 고대 사학을 하려면 전한 이전의 古한문을 알아야 한다.한데 우리나라 고한문 해득이 가능한자가 몇년전에 다섯손가락 안이었다. 지금 작고하고 더 줄었을 것이다. 인간 문화재 대우처럼 이들도 보호해야 한다. 그래야 옛 역사 해석할 수 있다. 중국에는 30명 정도이고 일본에 50명 된다더라. 그래서 중국애들 고한문 해석에 부딪히면 일본학자들 눈치를 본다더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7 댓글 반대하기0
    댓글쓰기
    0/250
  • 205648709
    kim yang-cheol 2015-10-05 10:58:48 신고하기
    중국이 고구려가 지내 역사라 우기는것은 라당 연합군이 고구려를 멸 하고 고구려 영토 대부분을 당이 쓱싹 해 버리면서 발단이 된 것이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8 댓글 반대하기0
    댓글쓰기
    0/250
  • gncinema
    gncinema 2015-10-05 07:56:27 신고하기
    잘못 또는 실수 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사실이 드러났는데도 인정을 하지 않거나 수정을 하지 않(으려)는 복지부동의 오만한 근무자세와 태도가 더 문제이죠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6 댓글 반대하기0
    댓글쓰기
    0/250
  • dogtooth53
    dogtooth53 2015-10-05 07:49:20 신고하기
    동북아 역사재단 해체하라. 세금 아낍시다. 차라리 식민사관 없애는 논문에 1000만원씩 포상하자.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0 댓글 반대하기0
    댓글쓰기
    0/250
  • NEWDDOLITE
    NEWDDOLITE 2015-10-05 06:53:59 신고하기
    미국의 부하 노릇을 자청하더니 이젠 중국이 하자는 대로 하겠구나. 친미친중 박근혜의 꼬락서니가 보이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0 댓글 반대하기13
    댓글쓰기
    0/250
    • dogtooth53 2015-10-05 07:50:37 신고하기
      박근혜와 뭔 관련... 모든 게 대통령책임이란다. 동북아재단문제는 문교부(?) 소관이거든..
  • solpee334
    solpee334 2015-10-05 05:35:31 신고하기
    관련자 모두 모든 직을 파면시키고 자료를 회수하여 다시 보내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7 댓글 반대하기1
    댓글쓰기
    0/250

DA 300

DA 300

.

DA 30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댓글 많은 기사

DA 300

DA 300

DA 300

네티즌 이슈

DA 300

.

뉴스레터 신청하기

뉴스레터 신청서 작성 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이용자 동의사항
* 수신동의 전 이메일 주소를 확인 후 신청해주세요!
E-Mail
수정하기

사이트맵

중앙일보를 펼치면 세상이 펼쳐집니다.
서비스전체보기

광고

  • 대한항공
  • 삼성전자
  • 래미안

정책 및 약관

주소 : 서울시 중구 서소문로 100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 아 01013등록일자 : 2009.11.2발행인 : 송필호편집인 : 김교준.
JoongAng Ilbo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콘텐트 문의]
Copyright by JoongAng Ilbo Co.,Ltd. All Rights Reserved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트렌드뉴스

현재 트렌드가 되고 있는 뉴스를 읽어 보세요

신규 & 추천 뉴스

오피니언 온에어

DA 300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