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che) "日, 이르면 내후년 수륙기동단 창설…센카쿠 충돌 대비" | 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실시간뉴스]

최종업데이트YYYY-mm-dd hh:mm:ss

검색

전체기사

뉴스 홈 > 전체기사

"日, 이르면 내후년 수륙기동단 창설…센카쿠 충돌 대비"

육상자위대-美육군 공동 사령부도 2017년도에 설치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 정부는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를 둘러싼 중국과의 충돌 가능성에 대비해 약 2천 명 규모의 수륙기동단을 2017회계연도(2017년 4월∼2018년 3월)말까지 발족할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8일 보도했다.

일본 방위성은 이 같은 계획 아래 수륙기동단 전문 대원 육성을 위해 2016년도말 '수륙기동교육대'를 만든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교육대에서 대원들은 고무보트, 헬기, 수륙양용차 등을 활용해 낙도에 상륙하는 훈련을 받게 된다.

일본 방위성은 수륙기동단을 발족 시점에 약 2천 명, 장래에는 3천 명 규모로 만들 예정이다. 현재 수륙기동단 역할을 맡는 700명 규모의 '서부방면 보통과 연대'를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또 2017년도말에는 일본 육상자위대와 미국 육군의 운용을 총괄하는 공동 사령부를 가나가와(神奈川)현에 설치할 예정이다. 현재 해상 및 항공 자위대는 각각 주일 미 해군·공군과 같은 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있었지만 육상 자위대에는 미 육군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사령부가 없다.

이 같은 조치들은 중국 정부 선박의 접근이 빈번한 센카쿠에서 중국과의 예기치 못한 충돌에 대비하는 차원이다.

수륙 기동단이 발족하면 센카쿠 유사시 탈환작전에 투입된다.

또 육상 자위대와 미 육군의 공동 사령부가 생기면 중국의 무장한 어민이 센카쿠를 점거하는 등 정규군에 의한 무력충돌과 평시의 중간 단계인 '회색 지대(그레이존)' 사태가 발생한 단계에서부터 자위대와 미군이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도=연합뉴스.자료사진) 미국 해병대와 일본 육상자위대가 지난 2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미군 수륙 양용차 'AAV7'을 활용한 대규모 낙도 탈환 훈련을 실시하는 모습. 수륙양용 장갑차 AAV7이 해변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jhch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5/09/28 13:37 송고

광고
광고
댓글쓰기

댓글쓰기

배너
비주얼뉴스
  • 포토
  • 화보
  • 포토무비
  • 영상
배너

배너

AD(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포토
0/0
AD(광고)
광고
AD(광고)

위키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