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NEWS

뉴스

[155회] 80% 할인 쿠폰, 나는 받고  너는 못 받는 이유 있었네!
80% 할인 쿠폰 나는 받고 너는 못 받는다?
웹과 모바일을 통한 쇼핑이 일상화되면서 사람들의 생활 패턴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는 ‘O2O’(오투오) 서비스가 더해지면서...
[동영상 애니] 이별을 준비하는 남편의 특별한 선물
이별을 준비하는 남편의 특별한 선물
아내의 생일은 겨울입니다. 하지만 남편은 아내의 생일을 반년이나 앞당겨 챙겨줍니다. 간암 말기인 남편에게는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이슈

프로그램

TV엔 없다

최신뉴스 정지 최신뉴스 재생 최신뉴스 이전기사 최신뉴스 다음기사
기상·재해
기상·재해 뉴스 멈춤 기상·재해 뉴스 시작
뉴스 검색
1,400억 특수침투기 레이더 이상 성능검사 불합격
입력 2015.09.17 (21:21) | 수정 2015.09.17 (21:52) 뉴스 9
키보드 컨트롤 안내
센스리더 사용자는 가상커서를 해제한 후 동영상플레이어 단추키를 이용하세요.
(가상커서 해제 단추키 : 컨트롤 + 쉬프트+ F11)
좌/우 방향키는 시간이 -5/+5로 이동되며, 상/하 방향키는 음량이 +5/-5로 조절됩니다. 스페이스 바를 누르시면 영상이 재생/중단 됩니다.
동영상영역 시작
1,400억 특수침투기 레이더 이상 성능검사 불합격 저작권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우리 군이 1,400억 원을 들여 침투용 특수수송기 개량사업을 하고 있는데요.

이번에도 불량 부품을 장착한데다 대상 기종을 잘못 선정해 아예 사업 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서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군의 특수작전 침투용으로 사용되는 MC-130 수송기입니다.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저공으로 비행할 수 있어 특수부대 병력과 물자를 적진 깊숙이 침투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 군도 2007년부터 천억원을 들여 C-130 일반 수송기 4대를 특전요원 침투용으로 개량하는 사업에 착수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공군의 수락 검사에서 지형을 탐지하는 역할을 하는 다기능 레이더가 꺼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런 결함이 생기면 비행 고도를 인식할 수 없어 야간에 추락할 위험이 높습니다.

이어 올 5월에는 레이더가 리셋되는 현상까지 생겼습니다.

더 큰 문제는 비행안전 규정상 창정비에 들어가야할 수송기를 개량 대상으로 선정했다는 점입니다.

창정비를 하면 6개월에 걸쳐 주요 부위를 전면 해체해야 하는 만큼 개량 부품 장착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사업이 지연되면서 추가 비용도 4백억원이 더 늘어났습니다.

<녹취> 정미경(국회 국방위 위원) : "창정비까지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니 사업이 언제 재개될 지 알 수 없습니다. 방위사업청의 주먹구구식 업무시스템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합니다."

특수침투용 수송기가 없으면 유사시 특전사 요원들은 북한의 대공화기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일반 수송기로 적진에 침투해야 합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1,400억 특수침투기 레이더 이상 성능검사 불합격
    • 입력 2015.09.17 (21:21)
    • 수정 2015.09.17 (21:52)
    뉴스 9
1,400억 특수침투기 레이더 이상 성능검사 불합격
<앵커 멘트>

우리 군이 1,400억 원을 들여 침투용 특수수송기 개량사업을 하고 있는데요.

이번에도 불량 부품을 장착한데다 대상 기종을 잘못 선정해 아예 사업 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서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군의 특수작전 침투용으로 사용되는 MC-130 수송기입니다.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저공으로 비행할 수 있어 특수부대 병력과 물자를 적진 깊숙이 침투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 군도 2007년부터 천억원을 들여 C-130 일반 수송기 4대를 특전요원 침투용으로 개량하는 사업에 착수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공군의 수락 검사에서 지형을 탐지하는 역할을 하는 다기능 레이더가 꺼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런 결함이 생기면 비행 고도를 인식할 수 없어 야간에 추락할 위험이 높습니다.

이어 올 5월에는 레이더가 리셋되는 현상까지 생겼습니다.

더 큰 문제는 비행안전 규정상 창정비에 들어가야할 수송기를 개량 대상으로 선정했다는 점입니다.

창정비를 하면 6개월에 걸쳐 주요 부위를 전면 해체해야 하는 만큼 개량 부품 장착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사업이 지연되면서 추가 비용도 4백억원이 더 늘어났습니다.

<녹취> 정미경(국회 국방위 위원) : "창정비까지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니 사업이 언제 재개될 지 알 수 없습니다. 방위사업청의 주먹구구식 업무시스템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합니다."

특수침투용 수송기가 없으면 유사시 특전사 요원들은 북한의 대공화기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일반 수송기로 적진에 침투해야 합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고봉순
뉴스픽 배너 이미지
Q (질문)
“바람 피운 배우자
이혼 청구할 수 없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투표 하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