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우산 펴고 식당 들어온 절도범들
우산 펴고 식당 들어온 절도범들
절도범의 새로운 필수 아이템이 등장한 것일까요? 부산과 울산 등지에서 영업을 마친 식당에 우산으로 얼굴을 가리고 들어가 금품을 훔쳐 온 10대 일당...
“이거 얼마예요?” 목걸이 흥정하다 말고 ‘줄행랑’
“얼마예요?” 목걸이 흥정하다 ‘줄행랑’
앳된 얼굴의 한 남성이 금은방에 들어섭니다. 이것저것 귀금속들을 골라보며 여유롭게 둘러보는데요. 어느새 금목걸이를 목에 건 채 금은방 주인과 가격...

이슈

프로그램

TV엔 없다

최신뉴스 정지 최신뉴스 재생 최신뉴스 이전기사 최신뉴스 다음기사
기상·재해
기상·재해 뉴스 멈춤 기상·재해 뉴스 시작
뉴스 검색
  • 기사인쇄
  • 기사본문 글자 크게
  • 기사본문 글자 작게
갑상선암 ‘미스터리’…진짜 과잉 진료였나?
입력 2014.11.25 (10:15) | 수정 2014.11.25 (14:16) 인터넷 뉴스
갑상선암 ‘미스터리’…진짜 과잉 진료였나?
LiveRe Widzet
  • .
  • .
정말 과잉 치료 였을까.

해마다 크게 늘어나던 갑상선암의 진단과 수술 건수가 최근 급감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이런 저런 해석이 나오고 있다.

갑상선암은 가장 빠르게 늘고 있는 암으로, 진단과 수술로 국내 종합병원들은 적지 않은 돈을 벌어왔다. 반면 국내 보험사들은 암 손해율이 치솟으면서 실적을 갉어먹었다. 하지만 올 봄을 기점으로 갑상선암 치료가 확 줄면서 보험사의 순익마저 개선되고 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지난 3월 19일 의사연대(갑상선암 과다 진단 저지를 위한 의사연대)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증상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갑상선암 검진은 불필요한 수술을 유발한다”며 “과잉검진은 중단돼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해외에서는 갑상선암에 대한 치료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예 하지 않거나 최대한 늦추는 현실에서 우리만 잘못된 방향으로 간다는 주장이었다.

이 소식이 언론을 타고 전해진 이후 주목할만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2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갑상선 시술은 1~2월만해도 4000건 넘게 이뤄졌지만, 3월(3814건)→4월(3101건)→5월(2647건)→6월(2734건) 으로 지난해 동기대비 30% 가량 줄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올해는 4년만에 갑상선 시술이 4만건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 미친 갑상선암

우리나라의 갑상선암 증가 추세는 폭발적이었다.

1999년 2866명에서 지난해 5만3737명으로 약 19배 증가했다. 2011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96.8명에 달한다.

의문은 한국의 갑상선암 환자수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점이다. 이웃나라 일본(6.5명)과 비교하면 15배나 된다. 과잉진료라는 의문이 나올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의사들의 도발적 문제제기와 해외의 가이드라인이 알려지면서 갑상선암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사연대 서홍관 박사(국립암센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는 “최근의 갑상선암 수술 감소는 비정상적이었던 게 정상으로 정상으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라면서 “정상 범주가 되려면 수술 건수를 지금보다 더 많이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만간 나올 미국의 갑상선암 가이드라인에도 관심이 쏠린다. 우리나라 갑산성암 가이드라인의 초안은 혹 크기가 1cm가 될 때까지 관찰(observe)할 것을 권하고 있다. 반면 조만간 나올 미국의 가이드라인은 갑상선암 크기가 1cm이하면 아예 검사조차 필요없다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갑상선에서 만져지는 웬만한 혹은 그냥 잊어버려도 된다는 얘기다.



◆ 웃고 있는 생보사

갑상선암의 진단과 치료 건수가 줄면서 웃고 있는 쪽은 생명보험사들이다.

올 3분기 생보사들의 실적은 당초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시장 금리가 사상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장기 저축성 상품을 파는 생보사들은 자산운용 부분에서 수익이 떨어지면서 역마진이 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삼성생명 등 주요 생보사들의 3분기 실적은 예상치를 웃돌았다. 과거 90%까지 올랐던 위험 손해율(거둬들인 보험료에서 지급된 보험금 비율)이 올 3분기에는 80%정도 까지 떨어지면서 수익을 확 끌어올렸다.

이처럼 위험손해율이 크게 떨어진 것은 올 봄 이후 갑상선 관련 보험급 지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통상 생보사들이 파는 암보험과 질병보험 등은 갑상선암으로 진단만 받아도 수천만원에 달하는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 갑상선암 수술이 줄면서 실손보험의 손해율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

유안타증권 원재웅 연구원은 “생보사들의 당기순이익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것은 갑상선암 과잉진료 논란 이후 위험손해율이 개선되고 있는 것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갑상선암은 여전히 논란 중

갑상선암 과잉 진료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논란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갑상선암을 수술하는 의사들이 주로 소속된 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는 여전히 수술을 권하고 있다. 한 대학병원 일반외과 전문의는 “0.5cm이상은 수술을 우선 고려해야 하고, 0.5cm이하라도 위치에 따라 수술을 검토해야 한다”며 “일괄적으로 수술을 하지 말라는 말은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의사연대 관계자들은 “국제적인 의학 추세와 맞지 않는다”며 공개 토론을 제안해 놓은 상태다. 누가 말을 믿어야할지, 갑상선 환자들의 고민은 여전하다.
  • 갑상선암 ‘미스터리’…진짜 과잉 진료였나?
    • 입력 2014.11.25 (10:15)
    • 수정 2014.11.25 (14:16)
    인터넷 뉴스
갑상선암 ‘미스터리’…진짜 과잉 진료였나?
정말 과잉 치료 였을까.

해마다 크게 늘어나던 갑상선암의 진단과 수술 건수가 최근 급감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이런 저런 해석이 나오고 있다.

갑상선암은 가장 빠르게 늘고 있는 암으로, 진단과 수술로 국내 종합병원들은 적지 않은 돈을 벌어왔다. 반면 국내 보험사들은 암 손해율이 치솟으면서 실적을 갉어먹었다. 하지만 올 봄을 기점으로 갑상선암 치료가 확 줄면서 보험사의 순익마저 개선되고 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지난 3월 19일 의사연대(갑상선암 과다 진단 저지를 위한 의사연대)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증상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갑상선암 검진은 불필요한 수술을 유발한다”며 “과잉검진은 중단돼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해외에서는 갑상선암에 대한 치료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예 하지 않거나 최대한 늦추는 현실에서 우리만 잘못된 방향으로 간다는 주장이었다.

이 소식이 언론을 타고 전해진 이후 주목할만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2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갑상선 시술은 1~2월만해도 4000건 넘게 이뤄졌지만, 3월(3814건)→4월(3101건)→5월(2647건)→6월(2734건) 으로 지난해 동기대비 30% 가량 줄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올해는 4년만에 갑상선 시술이 4만건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 미친 갑상선암

우리나라의 갑상선암 증가 추세는 폭발적이었다.

1999년 2866명에서 지난해 5만3737명으로 약 19배 증가했다. 2011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96.8명에 달한다.

의문은 한국의 갑상선암 환자수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점이다. 이웃나라 일본(6.5명)과 비교하면 15배나 된다. 과잉진료라는 의문이 나올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의사들의 도발적 문제제기와 해외의 가이드라인이 알려지면서 갑상선암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사연대 서홍관 박사(국립암센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는 “최근의 갑상선암 수술 감소는 비정상적이었던 게 정상으로 정상으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라면서 “정상 범주가 되려면 수술 건수를 지금보다 더 많이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만간 나올 미국의 갑상선암 가이드라인에도 관심이 쏠린다. 우리나라 갑산성암 가이드라인의 초안은 혹 크기가 1cm가 될 때까지 관찰(observe)할 것을 권하고 있다. 반면 조만간 나올 미국의 가이드라인은 갑상선암 크기가 1cm이하면 아예 검사조차 필요없다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갑상선에서 만져지는 웬만한 혹은 그냥 잊어버려도 된다는 얘기다.



◆ 웃고 있는 생보사

갑상선암의 진단과 치료 건수가 줄면서 웃고 있는 쪽은 생명보험사들이다.

올 3분기 생보사들의 실적은 당초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시장 금리가 사상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장기 저축성 상품을 파는 생보사들은 자산운용 부분에서 수익이 떨어지면서 역마진이 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삼성생명 등 주요 생보사들의 3분기 실적은 예상치를 웃돌았다. 과거 90%까지 올랐던 위험 손해율(거둬들인 보험료에서 지급된 보험금 비율)이 올 3분기에는 80%정도 까지 떨어지면서 수익을 확 끌어올렸다.

이처럼 위험손해율이 크게 떨어진 것은 올 봄 이후 갑상선 관련 보험급 지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통상 생보사들이 파는 암보험과 질병보험 등은 갑상선암으로 진단만 받아도 수천만원에 달하는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 갑상선암 수술이 줄면서 실손보험의 손해율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

유안타증권 원재웅 연구원은 “생보사들의 당기순이익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것은 갑상선암 과잉진료 논란 이후 위험손해율이 개선되고 있는 것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갑상선암은 여전히 논란 중

갑상선암 과잉 진료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논란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갑상선암을 수술하는 의사들이 주로 소속된 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는 여전히 수술을 권하고 있다. 한 대학병원 일반외과 전문의는 “0.5cm이상은 수술을 우선 고려해야 하고, 0.5cm이하라도 위치에 따라 수술을 검토해야 한다”며 “일괄적으로 수술을 하지 말라는 말은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의사연대 관계자들은 “국제적인 의학 추세와 맞지 않는다”며 공개 토론을 제안해 놓은 상태다. 누가 말을 믿어야할지, 갑상선 환자들의 고민은 여전하다.

당신을 위한 추천뉴스 빅데이터를 분석해 자동 추천합니다.

1/3 
Powered by Dable
  • 윤창희
    • 윤창희 기자
    • 이메일:theplay@kb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소셜댓글 라이브리 영역. SNS 계정으로 로그인해 댓글을 작성하고 SNS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공유할 SNS
.
.
소셜로그인
    .
  • .
.
.
  • 로그인 전 프로필 이미지
  • .
.
  • 소셜계정으로 작성하세요
    • 0/250
    • .
  • .
.
.
.
전체댓글수 6
  • .
.
  • 2014-12-18 00:19:52
  • .
한국의 원전 관리는 약간의 방사능 누출이 있어도 원자로를 정지시키지 않는 것을 우선시켜 운영하고 왔습니다.
일본이나 프랑스에 비해 매우 높은 원전 가동 상황은 오염 된 물이나 가스가 대량으로 배출되는 것 사이의 균형입니다.
한국 기준으로는 해양에 배출되는 오염 된 물은 일본의 10 배 고농도 것까지 허용되는 것입니다.
또한 그 느슨한 기준조차 지키지 않고 불법 배출 한 것을 은폐하고 있습니다.
  • .
  • .
.
.
.
  • 2014-12-18 00:03:16
  • .
한국인의 갑상선 암이 많은 것은 방사선 피폭이 원인입니다.
핵 개발을 미국과 IAEA에 비밀리에하고 그것을 지적되면 한국 정부는 방사성 폐기물을 도로 포장에 섞어 은폐 폐기했습니다.
지금도 서울 시내에는 일본의 후쿠시마 출입 금지 지역보다 방사선 량이 높은 오염 지역이 방치되어 있습니다.
  • .
  • .
.
.
.
  • 2014-11-26 06:41:59
  • .
단순 염증일수도있는데 하여간 의사잘만나야한다니까...
  • .
  • .
.
.
.
  • 2014-11-25 14:41:52
  • .
이럴수가...ㅠ
공유된 SNS
Facebook
Twitter
.
  • .
  • .
.
.
.
  • 2014-11-25 14:00:32
  • .
정말 몰랐단 말인가? 공포가 너희 지갑을 텅비게 하리라... 몸이 견딜만 하면 칼 안대고 견디는 게 최선. 감기도 겨닐만 정도면 자연적으로 낫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일 병원 다니며 주사 맞고 약 먹어봐야 더 잘 낫는 것도 아니고 결국은 건강에 도움이 안됩니다.
공유된 SNS
Twitter
.
  • .
  • .
.
.
.
.
  • .
.
고봉순
뉴스픽 배너 이미지
Q (질문)
“바람 피운 배우자
이혼 청구할 수 없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투표 하러 가기

개인화 뉴스

1/2 
Powered by Dable
방송프로그램보기
뉴스
시사다큐
스포츠
인터넷스페셜
24시간 뉴스
라디오
KBS 뉴스는 http://news.kbs.co.kr에서만 보실 수 있으며, 뉴스 기사는 KBS의 지적 재산으로 무단 전재-재배포를 금지합니다.
Copyright © 2015 KBS all rights reserved.
WA(WEB ACCESSIBILITY) 미래창조과학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