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진 기자
2014.07.17
padi484979@hellodd.com
▲국제우주정거장에서의 ISS-CREAM 탑재체의 위치. ISS-CREAM 탑재체 그림에서 오른쪽 위에 주황색으로 표시한 것이 국내 연구진이 제작한 우주선 성분검출기 SCD이다. <출처 : ISS-CREAM 그룹>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박일홍 성균관대 교수팀이 개발한 최첨단 실리콘 전하량 검출기가 미 항공우주국(NASA)의 대형우주실험에 쓰이기 위해 케네디 우주센터로 떠났다고 17일 밝혔다.
실리콘 전하량 검출기(SCD)는 우주선(線)의 성분을 정밀 측정하는 실험장비로, 크기 1㎡, 무게 150㎏에 달한다.
연구팀이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와 공동 소유한 반도체센서 기술을 이용해 제작했으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지난 1월부터 6개월간 수행된 우주인증시험 결과 NASA가 요구하는 까다로운 조건을 모두 통과했다.
▲(위)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우주선 성분검출기 SCD(실리콘전하량검출기)의 조립 모습. 붉은색으로 보이는 사각형 하나하나가 4인치 크기의 16 채널 실리콘 센서로, 각 층에는 약 200장의 센서가 있으며, ISSCREAM 실험용 SCD는 총 네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사진은 네 번 째 층을 올리는 장면이다. (아래)한국연구진이 개발한 우주선 성분검출기 SCD의 진동시험 장면. <출처 : 성균관대>
연구팀은 "순수 국내기술로 제작한 것으로 우주에서 사용되는 검출기로는 최대 크기"라며 "4개 층으로 배치된 실리콘 센서들이 우주선의 성분을 세계 최고 수준인 99% 정확도로 측정한다. NASA의 고에너지우주선 측정실험의 주 실험기기로 탑재된다"고 설명했다.
NASA는 2011년 'ISS-CREAM 프로젝트' 승인과 함께 한국 연구진에게 두 개의 주 실험기기 중 하나를 담당해 줄 것을 요청한 바 있으며, 국내 연구진에 의해 2012년 7월 기본설계 검토보고와 2013년 10월 상세설계 검토 보고 등이 차례로 수행됐다.
검출기 개발과 제작은 ETRI 및 중소기업 협조 아래 성균관대가, 우주환경시험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맡는 등 모든 과정을 국내에서 진행했다.
검출기 개발과 제작을 진두지휘한 박일흥 교수는 "국제우주정거장의 대형 우주실험에 국산 최첨단 기기를 설치하는 것은 처음"이라며 "NASA의 주요 우주프로젝트에서 주 탑재기기를 담당해 실질적, 핵심적, 동반자적 지위로 참여한 첫 사례"라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