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리포트] 워싱턴의 잔인한 4월을 맞으며

아베의 美의회 연설은 복잡한 외교지형 결과
자학적 과잉반응은 日논리 홍보하는 셈
큰 틀의 국제정세 살펴 냉정한 대응전략 짜야

관련이슈 : 특파원 리포트
워싱턴 시내에 벚꽃이 활짝 피기 시작했다. 지난달 잦은 폭설 탓에 예년보다 조금 늦다. 조만간 워싱턴 곳곳에서 주미 일본대사관이 준비한 벚꽃 관련 행사가 다양하게 펼쳐질 것이다. 교묘하게 일정을 맞춘 듯 오는 29일에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미국을 국빈방문한다. 일본 총리로서 첫 미 의회 합동연설이 예정돼 있다. 잔인하다. 워싱턴의 4월이 바야흐로 일본을 위한 달이 되는 셈이다.

잔인하다 못해 자학적이다. 우리 외교가 일본 외교에 밀리고 있다는 탄식이 쏟아지고 있다. 마치 우리 축구 대표팀이 일본 대표팀에 대패라도 한 듯하다. 한·일 경기가 그런 식으로 끝나면 늘 그렇듯 ‘외교 선수들’에 대한 질타가 이어진다. 일본에 합동연설의 트로피를 내준 데 대한 책임 추궁이다. ‘전술 부재다’, ‘용인술의 문제다’ 등등. 외교 당국자들은 어느 해보다 잔인한 4월을 맞고 있다.

박희준 워싱턴 특파원
조급해진 탓인지 우리 스스로 ‘한국 피로증’(Korea Fatigue)을 거론하기도 한다. 한국이 역사 문제를 놓고 끊임없이 요구하면서 미국 내에 피로감이 누적돼 있다는 우려다. 인터넷을 통해 ‘Korea Fatigue’를 검색해 봤다. 네이버에서는 관련 글이 수두룩하게 검색된다. 하지만 구글이나 야후를 통해서는 별다른 글이 보이지 않는다.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사이트에서 검색 결과도 마찬가지다.

최근 벌어진 상황을 곰곰이 되짚어 보자. 지난 2월 말 웬디 셔먼 미 국무부 정무차관 발언을 놓고 국내에서 큰 논란이 벌어졌다. “정치지도자가 과거 적을 비난함으로써 값싼 박수를 얻는 건 어렵지 않다”는 대목 때문이다. 과거사 논란 책임이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과 중국에도 있다는 취지로 들릴 수밖에 없다. 하지만 미국 공직자 한 명의 발언에 우리 사회가 과민반응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어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의 피습사건이 지난달 초 발생했다. 많은 이들이 미안해 어찌할 줄 몰랐다. 집단 죄의식과 자책감의 과잉 반응이었다. 일부 정치인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도입 논란을 공론화했다. 사드 도입 당위성을 따지고 싶지는 않다. 값싼 박수를 얻고자 한 게 아니라 애국심의 발로였다고 믿고 싶다. 하지만 미국 정부 요청이 없었다는데도 스스로 족쇄를 채우는 일이었다.

아베 총리의 의회 합동연설이 결정되면서 한국 외교의 무능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미국 입장에서 한국도 중요하지만 일본은 이슬람국가’(IS) 격퇴작전, 에볼라 퇴치 등에 거액을 쾌척하는 든든한 동맹국이다. 제2차 세계대전 종식 70주년을 맞아 미국을 방문하는 일본 총리에게 선물을 주는 걸 막기란 명분상으로나, 현실적으로나 쉽지 않은 일이다. 일본에 밀렸다는 지적은 부적절하다.

물론 우리에게 외교전략이 있는지 의구심이 드는 건 사실이다. 지난달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입을 놓고 지나치게 좌고우면했다.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가입 논란 때처럼 실기했다는 지적이 많다. 고민만 하느라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국가에 선수를 빼앗기면서 우리 몸값만 낮추는 꼴이었다. 한 인사는 “늦은 바에 차라리 확실하게 미국 편에 서는 게 차선책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만큼 우리 외교 지형이 복잡다기해진 탓이긴 하다. 대미 동맹을 중심으로 변수를 관리하는 1차방정식에 비해 중국까지 상수로 주어진 2차방정식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정치인들이 말하는 ‘안미경중’(安美經中)은 해법이 될 수 없다. 속된 말로 안보만 기대고, 돈만 빼가겠다는데 어느 나라가 좋아할까. 안미경중은 비공개 전략회의에서나 나올 만하지 공개적으로 거론할 용어가 아니다.

역사 문제로 한·일 관계의 경색이 지속되는 한 미국 중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아베 총리의 의회 연설 하나로 외교전이 끝나는 게 아니다. 우리 스스로 ‘한국피로증’을 거론하면서 일본 측 논리를 확대 재생산해 줄 필요가 없다. 동시에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선택해야 하는 상황은 더욱 많아질 게 분명하다. 큰 틀의 국제정세를 살펴 대응전략을 철저히 세워야 기회를 놓치는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는다.

박희준 워싱턴 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백혈병을 치료하러 불길위에 올라갑니다'
  • 백혈병을 앓는 20대 중국인 남성이 하루도 거르지 않고 40도가 넘는 불길에 자기 몸을 내맡기는 사연이 알려져 네티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중국 윈난(雲南) 성 윈룽(云龙) 현에 사는 지아 빈후이(25)는 지난 2013년 병원에서 백혈병 판정을 받고 현재 투..
  • 장동민, 식스맨 확정설에서 자진하차까지
  • 개그맨 장동민이 무한도전 식스맨 후보에서 자진 하차했다.무한도전 멤버 되기가 총리되기보다 어렵다, 독이 든 성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무한도전 식스맨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과 열기가 뜨겁다. 장동민 식스맨 확정설부터 자진하차까지 말도 많..
  • '간신' 임지연 "노출연기 부담됐지만···"
  • 간신 임지연(왼쪽)과 이유영/사진=스포츠월드 김두홍 기자영화 간신(감독 민규동)에 출연한 두 여배우의 노출연기가 화제가 되고 있다.임지연과 이유영은 각각 지난해 인간중독(2014)과 봄(2014)으로 대중의 관심을 받은 배우들로, 신작 간신에서도..
  • 처음 겪는 등 통증에 어두워진 추신수
  • 1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주 알링턴의 글로브 라이프 파크에서 열린 미국프로야구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경기에서 3-6으로 패한 뒤 텍사스 레인저스의 클럽하우스에서 만난 추신수(33)의 표정은 어두워 보였다.네 번의 타석에서 삼진 3개로 경기..
  • '레오와 더'···신치용 감독의 '레오 테스트'
  • 레안드로 레이바 마르티네스(25등록명 레오)가 2015-2016시즌에도 삼성화재에서 뛴다. 남자 프로배구 사상 최초로 세 시즌 연속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에 오른 레오와의 재계약은 당연한 결과처럼 보인다. 하지만 신치용(60) 감독은 테스트를 거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