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영정 꽃장식, 삼베 수의, 검은 완장 모두 일제의 흔적

통합검색
.

[Saturday] 영정 꽃장식, 삼베 수의, 검은 완장 모두 일제의 흔적

[중앙일보] 입력 2015.04.04 00:52 / 수정 2015.04.06 14:46

전통인 듯 전통 아닌 장례문화
1934년 조선총독부 ‘의례준칙’ 발표
관혼상제 예법 개선한다며 싹 바꿔

Like
Like
Share
605604
종합 11면 지면보기
글자크기 글자 크게글자 작게
.
더 편리해진 뉴스공유, JoinsMSN 뉴스클립을 사용해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요즘 한국의 장례 문화에는 우리 고유의 전통과 서양식이 뒤섞여 있다. 상복이 대표적이다. ① ②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중앙포토]

지난해 1월 26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황금자 할머니가 별세했다. 이대 목동병원에 차려진 빈소는 고인을 기리는 사람들로 붐볐다. 그런데 빈소는 일제 35년 통치가 남긴 흔적이 가득했다. 일제라면 몸서리칠 수밖에 없는 고(故) 황 할머니의 빈소에서 말이다. 무엇이 잘못됐을까. 중앙일보는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우리 장례문화의 일제 잔재를 추적했다.

 관혼상제(冠婚喪祭)로 대표하는 우리 전통의례(儀禮)는 일제가 훼손한 대표적 사례다. 1934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의례준칙’을 발표했다. 당시 조선총독이었던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는 이렇게 설명했다.

 “생활양식 중 각종 의례는 구태가 의연하여 오히려 개선할 여지가 작지 않다. 그중에 혼인·장례·제사의 형식과 관례는 지나치게 번잡하여 엄숙하여야 할 의례도 종종 자질구레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마음을 쓰게 되어 그 정신을 망각하지 아니할까 우려될 정도에 이르렀다. 지금에 와서 이를 뜯어고치지 않으면 민중의 피해를 예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방의 발전과 국력의 신장을 저해하는 일이 실로 적지 않을 것이다.”

일제 강점기와 근대화를 거치며 일부 변질된 것도 있다. 완장 ③ 과 상장 ④, 삼베 수의 ⑤ 등은 100년 전만 해도 볼 수 없던 것이다. 꽃장식 ⑥ 은 현대 일본 스타일이 그대로 들어왔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중앙포토]
 한마디로 조선의 전통의례가 지나치게 형식적이고 번잡하니 이를 개혁하겠다는 뜻이다. 김시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관(과장)은 “관혼상제가 우리 문화에서 차지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이를 바꿔 일제 식민통치를 더 굳건하게 하려는 속셈”이라고 분석했다. 석전대제(공자 등 성현을 제사 지내는 의식) 예능 보유자 권오흥씨는 “유교는 예를 우주의 질서로 생각했고, 의례는 예를 표현하는 방법이라며 중요하게 여겼다”고 설명했다.

 조선총독부 의례준칙에 따라 눈에 띄게 변한 건 상복이다. 전통 상복인 굴건제복(屈巾祭服·거친 삼베로 만든 옷)을 생략하고 두루마기와 두건을 입도록 만들었다. 유족이 한복이나 일본 전통복장을 입었을 때 왼쪽 가슴에 나비 모양의 검은 리본을 달도록 했다. 또 양복을 입은 사람은 왼쪽 팔에 검은 완장을 달게 했다. 황 할머니 빈소에서 봤던 상장(喪章)과 완장의 시작이다(사진 ③④).

 상장과 완장은 항일인사들이 장례식에 모여 집회를 열지 못하도록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복 이후에도 없어지지 않았다. 69년 ‘가정의례준칙’은 삼베로 만든 상장을 가슴에 달도록 규정했다. 2009년 ‘건전 가정의례준칙’에도 상장 조항이 있다. 완장은 가정의례준칙에선 빠졌지만 끈질기게 살아남았다. 박태호 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정책실장은 “최근엔 아예 완장이 군 계급장처럼 변질됐다”며 “넉 줄 완장은 맏상주가, 석 줄은 나머지 아들들이, 두 줄은 사위가, 한 줄은 손자·형제 등이 각각 차는 게 마치 전통인 것처럼 통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장례식장의 꽃도 일본을 거쳐 들어왔다. 26년 순종 국장 장례식 사진첩에 따르면 영좌 주변에 화환이 놓인 장면을 볼 수 있다. 서양에선 장미·카네이션·국화 따위로 만든 꽃다발이나 화환을 바치는 문화가 내려온다. 전통장례에 사용된 꽃은 수파련(水波蓮)이라고 상여에 다는 종이꽃이 전부였다. 그래서 비교적 최근까지도 거부감이 있었다고 한다. 권씨는 “70년대 안동 지역의 유림(儒林) 빈소에 지역 국회의원이 화환을 보냈는데, 어르신들이 ‘상갓집에 무슨 꽃이냐’며 짓밟은 걸 본 적이 있다”고 말했다.

 헌화나 화환 문화가 서양에서 비롯된 것이라 치더라도 요즘 장례식장에서 볼 수 있는 꽃 장식은 100% 일본식이다. 우리 전통은 영좌 뒤에 병풍을 치는 것이었다. 황 할머니의 영정 주변에 꽃을 입체적으로 배치하고 단을 높게 쌓는 스타일은 2000년대 일본 유행을 그대로 따라 했다(사진 ⑥). 이철영 을지대 교수(장례지도학)는 “영좌를 꽃으로 장식하는 건 일본 문화”라며 “80년대 일본의 상조문화가 부산에 처음 상륙했을 때 꽃 장식이 함께 유입됐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하는 장례업자는 “장례업계에선 매년 일본 전문가를 불러오거나 일본으로 건너가 최신 꽃 장식을 배운다”며 “요즘 꽃 장식이 더 화려해지고 있는데, 이 역시 일본을 따라 한 것”이라고 말했다.

 삼베 수의가 황 할머니 장례에 쓰였다. 삼베 수의가 전통 수의(壽衣)의 대표가 돼버린 배경에도 일제가 있다(사진 ⑤). 우리 전통은 수의는 생전 입던 옷 가운데 가장 좋은 걸로 마련하는 거였다. 그래서 묘 이장(移葬) 과정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수의를 보면 화려하다. 대개 비단이나 명주로 만들어졌다. 부모를 여읜 자식이 ‘나는 죄인’이라는 뜻으로 삼베 상복을 입었다. 박성실 단국대 명예교수(의상학)는 “조선의 일부 극빈층이 삼베 수의를 썼을 수도 있지만 현재 발굴된 건 없다”며 “수의가 생전에 입던 옷이라 목덜미나 소매에 때가 탄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일제는 34년 의례준칙과 더불어 펴낸 『조선총독부 제정의 의례준칙과 그 해설의 상례』에서 “수의는 포목 등을 쓰고, 비단 등 값비싼 걸 사용하지 말라”고 썼다. 42년 ‘조선잠사통제령’을 내려 조선에서 생산된 누에고치의 일정량을 일제에 강제로 판매하도록 했다.

김 과장은 “일제가 만주사변·중일전쟁·2차대전 등 전쟁에 동원할 자원과 물자를 약탈해 가면서 조선의 경제사정은 궁핍해졌다. 그러면서 좀 더 구하기 쉬운 삼베 수의가 보급된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실장은 “76년 대마관리법이 만들어진 뒤 삼베 값이 크게 오르면서 장례업계가 ‘삼베 수의가 고급’이라는 인식을 퍼뜨렸다”고 말했다.

 하이패밀리 등 일부 시민단체는 평상복을 수의로 쓰자는 캠페인을 벌였지만 아직 큰 반향은 없다. 모시 수의를 쓰면 자손의 머리가 희어지고, 명주 수의는 시신이 잘 썩지 않는다는 속설도 있다.

 결국 황 할머니 빈소의 상장과 완장, 꽃장식, 삼베 수의는 일본 식민통치의 산물인 셈이다. 이 교수는 “국적 불명의 의례가 우리 전통으로 잘못 알려졌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조선시대 예송논쟁으로 정권이 교체될 정도로 의례문화가 발전했는데,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전통이 변질된 사실조차 모르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박 실장은 “90년대 장례가 하나의 산업으로 변하면서 장례 비용이 갑작스럽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글=이철재·곽재민 기자 seajay@joongang.co.kr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S BOX] 헌화는 기독교식 … 전통 장례에선 분향

1982년 12월 20일자 한 신문엔 이런 기사가 실렸다.

 “잠실 아파트에 사는 정모(42)씨는 어머니로부터 ‘나 죽으면 곤돌라로 관 내릴 거냐’는 걱정을 들었다. 그는 아파트에서 곡(哭)을 하면 이웃집에 항의를 살까 염려도 한다.” 2015년 현실에서 보면 정씨의 걱정은 기우(杞憂)다. 전통적인 관혼상제 행사는 집에서 이뤄졌지만 오늘날엔 전문 식장에서 치러지기 때문이다. 석전대제 예능 보유자 권오흥씨는 “예는 변하지 않지만 의례는 시속(時俗)에 따라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 장례문화엔 헌화 전통이 없다. 그러나 기독교식 장례의 경우 분향 대신 헌화가 관례가 됐다. 김시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관은 “꽃봉오리는 고인의 영정 쪽으로 향하는 게 우리 예법에 맞다”고 말했다. 2013년 화장률이 76.9%를 넘어서면서 분골을 자연에 모시는 자연장이 인기를 끌게 됐다. 요즘 자연장지를 보면 ‘고(故) OOO’라는 명패를 볼 수 있다. 전통에 따르면 고인의 시신을 갈무리한 곳에선 ‘고’를 쓰지 않는다. 박태호 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정책실장은 “아직까지 화장에 적합한 의례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지금의 화장장은 의례가 실종된 ‘시체 소각소’ 역할만 한다”며 표준 화장 의례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시사·경제지 디지털 구독신청하고, 종이잡지와 상품권 받아가세요! 바로가기

스페셜링크AD



.
.
프린트
프린트
메일로보내기
메일로보내기
내블로그에 저장
내블로그에 저장
콘텐트 구매
콘텐트 구매
PDF보기
PDF
Like
Like
Share
605604
.
.

오늘의 링크AD

강남통신, 이제 온라인에서 접속하세요!
로그인 선택하기
조인스 트위터 페이스북 중앙일보,트위터, 페이스북으로 댓글 이용이 가능합니다. 소셜댓글이란
소셜댓글이란?
회원님이 사용중인 트위터, 페이스북으로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
작성하신 댓글은 로그인을 선택한 계정에 해당하는 서비스로도 동시에 제목과 링크가 포함되어 전송 됩니다.
기사 내보내기 레이어 닫기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에러 레이어 닫기
나도한마디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사용자이미지
댓글 등록
.
.
총 의견수
27개
.
.
로딩중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blauwolke 2015-04-04 오후 4:52:30
추천 8 반대 10신고
육법(6法) 얘기는 언제 하려나 ?.. 초중고 체제는 언제 바꾸려나? .. 경성제국대학인 서울대는 안 없애나 ?.. 버스는 진작 지나 갔다. 헛소리들 그만 하고, 북핵문제에 집중하도록 하시죠. 이 글 쓴 양반들.. 답글 달기
blauwolke 2015-04-04 오후 5:01:30신고
이 땅에 사는 놈들 치고, 굳이 말한다면 거의 대부분 친일이다. 오십보백보다 이 말이다. 이순신 장군의 수병, 의병, 독립군, 동학민중, 한국전쟁 국군 그리고 순국 선혈들에게 떳떳한 놈 있으면 나와 보라. 미미한 분들을 제외하고 거의 모두 자기배반으로 살아 남은 놈들 아니냐?.. 자기기만 이제 그만 하고 정신차려 후세대를 위하여 머리를 굴렸으면 한다..
blauwolke 2015-04-05 오전 12:38:09신고
앞으로 일제 잔재나 흔적 등의 얘기를 하려면, 잡쓰레기 같은 것들은 다 버리고, 참으로 기막힌 것을 모릍 체 하지말기를 바란다. 우리가 일제 강점기를 통하여 빼앗긴 최고의 가치는 <공적질서의식>이다. 장례복 나부랭이가 아니다. 그 공적질서의식이 사라지고 편협하고 초이기주의적인 가족주의만 남았다. 이것은 그냥 벗으면 끝나는 것이 아니다. 어떻게 이 공적질서의식을 되찾을 수 있을까? 모두 고민하고 정신차려 빼앗긴 또는 포기했던 것을 되찾자.
blauwolke 2015-04-05 오전 12:55:48신고
친일이니, 종북이니, 친미니.. 헛소리하지 말라. 그런 말을 하는 자들 떳떳한가? 그대들은 위안부 할머니, 만주 벌판의 독립군 후손들, 625 한국군 전사자 가족 및 후손들 및 상이용사........ 그 분들에게 뭘 했는가? 나라를 위해 목숨과 가족과 가문을 통채로 바친 분들에게 이 나라 정부와 우리들은 무엇을 했나? 친일.종북.친미... 상대를 죽이기 위한 주홍글씨. 더 이상 이념은 없다. 교리도 없다.
blauwolke 2015-04-05 오전 1:05:36신고
Post Idelogy, Post Dogma.. 얘기도 못 들어봤나. 남탓하지 말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실천하자. 일본정부에게 위안부 사과와 배상을 말하기 전에, 우리가 그분들에게 사과하고 감사하고 배려하고 지원하자. 밖에서 방법을 찾지 말자. 그것은 밖에 없다. <일제>라는 귀신을 이제 버리자. 일제는 없다. 단지 우리의 삶만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일본18놈들이 사과를 하던지 말던지, 그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nanoda 2015-04-04 오후 4:39:44
추천 7 반대 3신고
왜 이제까지 가만히 있다가 이제야 밝히는가. 일찍 밝혔다면 지금쯤은 다 고쳐졌을지도 모를 것을. 알면서도 가만히 있은 것은 혹시 친일파가 아닌지. 답글 달기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삭제 2015-04-04 오후 1:41:14
추천 2 반대 0신고
삭제된 글입니다.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jungangpark 2015-04-04 오후 1:21:50
추천 5 반대 1신고
조선총독부가 무슨 비단이냐 못사는 나라가 싼 삼베옷이나 입히지... 젠장 제자식,제손자는 몽클레어 페딩 입히면서 부모님은 차가운 빈곤상징인 삼베옷 살아생전에 아껴놓은 한복 입혀야겠군요 그리할랍니다. 내리사랑만할께아니고 위도 명백히 잘쳐다보며 사랑할랍니다.우리부모님 응응 ㅠㅠ 답글 달기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jungangpark 2015-04-04 오후 1:08:33
추천 22 반대 1신고
기사가 너무 좋아서 칭찬도할꼄 회원가입까지 해가며 댓글답니다 정말 우리가 모르는 엉터리 장례문화였군요. 특히 부모님수의로 차디찬 삼베수의라니 빈곤하면 모를까 이제 이해가 딱 가네요.화환은 또뭡니까 영업개소식합니까.장례업자들이 돈벌이로 애써 일본장례문화를 쏙쏙 들여오네요.제길랄 답글 달기
댓글입력자 twitter 이미지
글로리아 2015-04-04 오후 12:43:29
추천 21 반대 7신고
장례문화 반드시 바뀌어야한다. 그냥 완장 하나차고 장례치르고 시신은 화장하는 것이 가장 깨끗하다. 죽음 이후는 끝이다. 육은 흙으로 돌아가고 영은 위로 올라간다. 제사문화도 버려야한다. 언제까지 미개인 짓들을 할런지... 답글 달기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삭제 2015-04-04 오전 11:34:17
추천 31 반대 8신고
삭제된 글입니다.
삭제 2015-04-04 오전 11:39:26신고
삭제된 글입니다.
jungangpark 2015-04-04 오후 1:27:21신고
벗꽃나무는 일본국화 아니고, 일본황실 상징 이라하네요. 일본은 상징 국화가없다네요
댓글입력자 twitter 이미지
Fritz the Dali 2015-04-04 오전 10:50:45
추천 16 반대 33신고
제목이 너무 자극적이다. 일제때 도입, 개량된 습속은 무조건 배척해야 하나? 전통 형식이 얼마나 번거롭고 돈이 많이 드는가 생각해보면 자연스러운 현대화 과정이다. 서구에서 배워온건 모던컬처, 일본에서 배워온건 잔재라는 편협한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답글 달기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삭제 2015-04-04 오전 10:50:11
추천 1 반대 0신고
삭제된 글입니다.
댓글입력자 twitter 이미지
AH Chandra 2015-04-04 오전 9:59:08
추천 20 반대 4신고
대개 무덤 앞에서 개폼잡고 청승떠는 드라마 장면의 주인공은 마피아나 재벌 자손인데, 요즘 보통은 무덤 관리 보수하는데도 돈들고 암튼 위 통계처럼 성묘에 별 관심없다. 그러니까 장례도 완장 하나 차고 화장으로 모시면 깨끗하고 간단하다. 답글 달기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dhk2010 2015-04-04 오전 8:42:15
추천 40 반대 1신고
정부가 우리의전통장례문화기준을만들어어 발표하면 개선될것이다. 답글 달기
댓글입력자 twitter 이미지
kim yang-cheol 2015-04-04 오전 8:40:57
추천 50 반대 1신고
지금의 장레문화는 너무 복잡하다. 그러다보니 장례비만 비싸게 됐다. 답글 달기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jos33 2015-04-04 오전 8:17:14
추천 31 반대 4신고
참 좋은 기사네요. 일본 위안부 할머니의 빈소에서 발견한 일제의 잔재라니! 답글 달기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dlqhdrnrrnr 2015-04-04 오전 8:05:43
추천 66 반대 1신고
상례가 조선시대의 전통유물로 알았는데 조선총독부의 상례기준이라니,어안이 벙벙하다.진즉에 국민에 알리어 바로 잡았어야 한다.이참에 화환은 간소하게 아니면 아예없애는것이 좋겠다. 답글 달기
댓글순
반대순
댓글 왕
추천순
.

이 시각 주요뉴스

.
댓글순
반대순
댓글 왕
추천순
.
사회
종합
스포츠
연예
.
IMC 배너
중앙SUNDAY 8주년 이벤트

추천 스파이더 미디어 스파이더란?

미디어 스파이더란?
국내외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매체, SNS 등 다양한 미디어를 하나의 서비스에서 즐기고, 원하는 매체만을 쉽게 골라 구독해 보는 큐레이션 서비스입니다.
미디어 스파이더란? 레이어 닫기
.

중앙일보 트위터

  • 중앙일보 트위터
    joongangilbo[JTBC #뉴스룸]광안대교 위에서 한 운전자가 무엇인가 뿌리자, 뒤따르던 차의 운전자들이 차를 세우고 내립니다. 이들이 목숨을 걸고 주운 것은 1달러짜리 지폐였습니다 http://t.co/tualllD4Mt http://t.co/ZsZoLHAef4
    2015-04-06 오후 9:54:39
    .
    .
  • 중앙일보 트위터
    joongangilbo[JTBC #뉴스룸] 가짜 학위로 유죄 판결 받은 중앙대 교수들, 아직 교단에박범훈 전 교육문화수석이 총장으로 있을 때 영향력을 행사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http://t.co/zXHuft8xuG http://t.co/xLrIjEyHuB...
    2015-04-06 오후 9:41:17
    .
    .
더보기
.


.
  • 대한항공
  • 삼성전자
  • 래미안
중앙미디어네트워크 JoongAng Ilbo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콘텐트 문의]
Copyright by JoongAng Ilbo Co.,Ltd. All Rights Reserved.RSS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