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기업들이 노무자들을 위해 직접 '기업 위안소'를 운영해왔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자료가 남한의 학자들에 의해 3일 공개됐습니다. 이들은 또 그 동안 일본 정부가 부인해 온 종군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입증할 수 있는 공식 문서도 발견해 공개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이현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위안부 문제를 연구해 온 서울대 정진성 교수와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 대학의 정태한 교수팀은 3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미 연방정부 기록 보존소에서 한국인 여성이 일본 정부에 의해 강제로 동원돼 위안부가 됐음을 입증하는 공식 문서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정 교수팀이 발견한 문서는 1945년 중국 쿤밍의 포로 수용소에서 미군이 107명의 포로들을 심문한 내용으로 이중 한국인 포로 25명에 대한 부문에서 군 위안부와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이들이 명백히 강압과 사기에 의해 위안부가 되었다고 적혀있습니다.
정태환: 일본 정부가 부인해 왔던 군위안부 동원의 강제성 문제도 제 3자인 미군들이 작성한 문서에 의해 확인됐고...
정 교수팀은 이외에도 필리핀 루손의 포로 수용소에서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포로 명단에서 46명의 한국 여성을 발견했고 이들 중 21명의 신상카드도 찾아냈습니다. 신상카드에는 이들의 사진과 함께 국적이 한국으로 명시돼 있고 주소, 나이, 직업, 교육 정도가 기재돼 있습니다. 특히 이 명단 가운데는 위안부 생활을 하다가 1944년 미얀마 국경에서 임신한 채 발견됐던 북한의 박영심 할머니의 기록도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 교수팀은 또 군대뿐만 아니라 일본 기업들도 자체적으로 위안소를 운영했다는 자료도 함께 공개했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일본 기업 위안소는 주로 홋카이도와 후쿠오카 지역의 탄광 지역을 중심으로 설치됐으며 기업 위안소를 설치했던 기업 중에는 미츠비시 등도 포함된 것으로 밝혔습니다. 정진성: 민간 기업들도 책임을 피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정 교수팀은 일본 기업들의 기업 위안소가 존재한다는 구체적 자료를 확보해 앞으로 이 문제가 활발히 연구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하고 일본 정부가 부인해 왔던 군위안부 동원의 강제성 문제도 제3자인 미군들이 작성한 문서에 의해 확인됐다고 이번 발표의 의의를 설명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이현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