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통합진보당에 대한 정당해산심판이 열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
헌재 “북한 추종·폭력 의존…민주적 기본질서 위배”
헌정사상 초유의 일…소속 의원 5명 의원직도 상실
통합진보당이 창당 3년 만에 해산당했다. 헌정사상 초유의 정당해산심판 결과로, 국가권력이 대의민주주의 정치의 핵심인 정당을 강제로 없앤 정치사적 ‘사변’이다.
헌법재판소는 19일 오전 정부가 청구한 진보당 정당해산심판 사건에서 재판관 8 대 1의 의견으로 해산을 결정했다. 이 선고의 효력은 즉시 발생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진보당의 정당 등록을 말소하게 된다. 통합진보당과 같은 이름을 쓰는 것은 물론 비슷한 강령을 내세운 당을 창당하는 것도 금지된다. 당비·후원비·기탁금·국고보조금 등 진보당의 잔여재산은 국고로 환수된다.
재판관 다수의견은 “진보당 강령의 ‘진보적 민주주의’는 한국사회를 식민지반봉건사회로 규정하고 인민민주주의혁명을 내세우는 ‘자주파’의 이념이고, 진보당의 주도 세력은 과거 북한 조장에 동조하고 북한과 연계해 활동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진보당 주도 세력이 “자유민주주의체제를 전복하려고 한다”, “이석기 의원의 내란음모 주장에도 적극 동참해왔다”고 밝혔다. 따라서 진보당은 “최종적으로는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를 추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며, 이는 ‘민주적 기본질서’에 반하므로 헌법에 따라 정당해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통합진보당에 대한 정당해산심판에 서 박한철 헌재소장이 판결문믈 읽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