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4.10.20 20:10
수정 : 2014.10.20 22:31
새누리 공동선대위원장 등 지내
정부 경제정책에도 쓴소리
이상돈 이어 대선공신 잇단 ‘사과’
|
김종인 전 의원. 한겨레 자료 사진
|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후보 공동선대위원장을 지낸 김종인 전 의원이 20일 “이 정부가 경제민주화를 더는 거론 안 할 걸로 본다”며 “(경제민주화가) 될 수 있는 것처럼 얘기했던 데 대해 국민들에게 굉장히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보도된 <프레시안> 인터뷰에서 “대선 때는 (박 대통령의 경제민주화) 의지를 확실하게 믿었으나, 사람 속까지 들여다볼 순 없으니 어쩌겠냐”며 “한때 내가 너무 과욕을 부린 모양이다. 앞으로는 더는 누구 자문도 안 하겠다는 결심을 했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2011년 12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에 ‘경제민주화’라는 화두를 들고 비대위원으로 합류해, 새누리당 공동선대위원장과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을 겸하면서 박근혜 정부 탄생에 기여했다. 그러나 현 정부 출범 뒤 경제민주화가 실종되다시피 하면서 지난해 말 새누리당을 탈당했다. 김 전 의원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대선 때 경제민주화를 제1의 약속으로 내걸었고, 나는 그게 될 것처럼 너무 말을 많이 했는데 지금은 사라졌지 않느냐”며 “책임을 못 지게 돼 국민들께 미안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프레시안> 인터뷰에서 정부 경제정책에 대해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말로는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답습하지 않겠다’고 하는데, 딱 일본처럼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일본은 1985년 플라자 협정 이후 환율이 절상돼 수출 기업의 수익이 뚝 떨어지자 기업을 도와주려고 금리를 인하했고, 재테크 바람을 불러 부동산 가격이 뛰고 주가가 뛰어 사람들이 황홀감에 빠졌다”며 “그렇게 해서 일본 경기는 살아나지 않고 종국엔 빚만 잔뜩 늘었다”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우리 주요 산업인 조선업, 중공업, 석유화학, 철강, 건설 등의 경쟁력을 어떻게 제고할 것인지 노력해야 한다”며 “막연히 금리 내려주고 경기 부양한다고 되겠냐”고 비판했다.
|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 한겨레 자료 사진
|
그는 “대선에서 복지 확대를 약속한만큼 집권과 동시에 세제 개편에 대한 고민을 해야 했고, 올해 정기국회에선 세제 개혁을 해야 했는데 이미 물 건너 갔다”며 “복지 확대를 위한 증세도 이미 틀렸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과 함께 박근혜 정부 탄생을 도운 이상돈 전 비대위원(중앙대 명예교수)도 지난 8일 <오마이뉴스> 인터뷰에서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집권을 도운데 대해 “박근혜 정부의 성공 가능성은 없다”고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많은 책임감을 느끼며,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한 바 있다. 박근혜 정부 탄생의 외부 수혈 ‘투톱’이 나란히 대국민 사과를 한 셈이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