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외무성, ‘위안부 강제성’ 인정 게시물 삭제
일본 외무성이 최근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한 게시물을 홈페이지에서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글은 지난 1995년 7월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등 16명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민간기금 '아시아여성기금'을 창설하면서 모금에 동참해달라고 외무성에 촉구한 호소문이다.
해당 호소문은 "10대 소녀를 비롯한 많은 여성을 강제로 위안부로 만들고 군을 따르게 한 것은 여성의 근원적인 존엄을 짓밟는 잔혹한 행위였다"고 밝히고 있다. 해당 글은 외무성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었다.
일본 정부의 호소문 삭제는 일본 내 극우 단체의 압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달 초 한 중의원이 외무성을 향해 '위안부 강제성은 없었다'며 해당 호소문의 삭제를 요구했다. 당시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향후 어떻게 대처할 지 검토하겠다"고 답했고, 결국 호소문을 삭제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12일 "고노(河野)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일본 정부의 공언이 진정성이 있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일본 언론들은 '위안부'의 강제성을 부인하고 있는 일본 정부의 태도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교도통신은 최근 "일본에서 강제성 유무가 논란이 되는 것과 달리 서구는 비참한 경험을 한 피해자가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국제 사회가 일본 편을 들 가능성이 적다"고 보도했다.
또 하야시 히로후미 간토가쿠인대 교수도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고노 담화 발표 후 발견된 군 위안부 관련 공문서가 500건이 넘는다"며 "일본군이 관여한 사실은 물론 인도네시아 등에서 강제 연행이 있었던 것을 명확히 보여주는 자료도 많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