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com chosun.com

chosun.com chosun.com

조선닷컴을 설정
中文 · English · 日本語
구독신청

검색
통합검색
조선닷컴 메뉴
뉴스
오피니언
경제
스포츠
연예
라이프
프리미엄조선
인천아시안게임
인천아시안게임
인천아시안게임
인천아시안게임
국제
종합

[세계가 본 한국] "한국, 6·25 이후 경제성장에만 전념… 인종 차별하는 기준은 국가 경제력"

  • 유마디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턱관절장애
    개인회생
    입력 : 2014.09.15 03:01

    美 월스트리트저널 보도

    "한국이 인종을 차별하는 기준은 경제력이다. 상대적으로 가난한 아시아 국가 출신 국민이 타깃이 되는 경향이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 '한국, 경제력에 따라 인종차별하는 나라?'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한국은 외국인이 전체 인구의 3%밖에 되지 않아 피부색이 다르면 눈에 확 띄는 곳이다. 인종에 대한 한국인들의 몰이해가 기이한 방식으로 표출되기도 한다"고 했다.

    WSJ는 최근 서울 이태원의 한 술집에서 벌어진 '에볼라 경고문' 사건을 예로 들었다. 외국인이 많이 찾는 이 술집은 "죄송하지만 에볼라 바이러스 때문에 아프리카 손님을 받지 않습니다"라는 벽보를 입구에 붙였다가 외국인들의 거센 항의를 받았다. WSJ는 지난해 6월 한화이글스의 김태균 선수가 롯데자이언츠의 흑인 투수 쉐인 유먼을 두고 "까만 얼굴 탓에 그가 마운드에서 웃으면 흰 치아와 공이 겹친다. 그래서 공을 치기 어렵다"고 했다가 국가인권위원회의 경고를 받은 일도 소개했다.

    WSJ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인종차별 인식은 1950년대 이후 형성된 것"이라고 했다. 한국전쟁 이후 경제성장에만 전념하면서 외국 각국에 대한 이미지도 철저히 '경제력'을 기준으로 보게 됐다는 것이다. WSJ는 "최근 한국 정부의 외국인 체류 허가 역시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중국, 필리핀 출신에 대해 점점 엄격해지고 있고, 다문화의 다양성을 증진하기보다는 한국 사회로 흡수시키는 데 맞춰져 있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 인터넷판에는 독자들이 "한국 교육열이 높다지만 그 결과가 행동에 반영되는 것 같진 않다" "한국인은 개도국에서 특히 무례하게 굴더라"는 댓글을 달았다.

    SECURITY WARNING: Please treat the URL above as you would your password and do not share it with anyone. See the Facebook Help Center for more information.
    SECURITY WARNING: Please treat the URL above as you would your password and do not share it with anyone. See the Facebook Help Center for more information.
    Shopping & Life
    트랜드 광고 더보기

      100자평

      2014.09.15 04:25:33신고 | 삭제
      WSJ은 정확하게 보도하여야 한다. "인종차별"이 아니라 "인간차별"이라 해야 옳다. 외국인에게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내국인도 경제력에 따라 차별 받는다.
      2014.09.15 11:02:44신고 | 삭제
      이 나라에서 돈으로 사람을 차별하는 것을 너무도 잘 표현한 옛 노래로서 빈대떡 신사가 있다 아무리 겉으로는 번지르하게 차려입었더라도 돈 한푼 없으면 어디에서나 문전박대를 당하는 거지 신세라는것이다
      2014.09.15 08:35:20신고 | 삭제
      그레도 미국의 인종차별에는 근엄한 표정을 짓고 꾸짓는게 한국인이지.
      2014.09.15 06:57:16신고 | 삭제
      그래서 빚은 내서라도 명품을 걸치고 다니는 사람들... 인생을 남에게 보이려고 사는 사람들..
      2014.09.15 06:42:36신고 | 삭제
      인간차별하면 세계 절대 1등이지.
      2014.09.15 23:16:56신고 | 삭제
      없는 사람이 대우받는 사회는 없다. 비행기를 타도 1등석과 2등석은 사람 대하는 게 너무 차이가 난다. 우리나라에선 그래도 공항에 유색인 게이트를 따로 두진 않았다. 88올림픽 전에는 유럽엘 가면 우리도 언제나 유색인 게이트로 나가야 했다. 백인 게이트가 비어 있어도 1시간 이상씩 기다리며 유색인 게이트로만 통과시켜 줬다.
      2014.09.15 22:37:45신고 | 삭제
      WSJ의 평가는 정확하다. 한국인들은 자신들에 대해서 좀더 객관성을 가져야 한다. 한국인들이 개도국에 가서 안하무인 격으로 행동하는 것을 보면 정말 한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경제성장과 세계화에 걸맞는 선진 국가와 국민이 되려면 세계인 모두를 아우르를 수 있는 가치관과 식견을 갖추도록 ㅜ노력해야 한다.
      2014.09.15 22:37:30신고 | 삭제
      그러니까 "한국인과 개 출입금지"라고 팻말을 붙여놔도 할 말이 없다.
      2014.09.15 16:09:30신고 | 삭제
      다른 나라면 몰라도 미국이 인종차별로 누구 훈수둘 형편 안될텐데???
      2014.09.16 09:28:46신고 | 삭제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이라지 않습니까?
      2014.09.15 22:38:41신고 | 삭제
      WSJ은 미국이 아닙니다.
      2014.09.15 14:43:13신고 | 삭제
      WSJ이 정확히 진단을 했는데, 어느분의 말씀대로 한가지 더해서 인종차별에 다가 인간차별까지 하는 나라지요. 자기네 보다 낫다고 생각되면 극진하고, 못하면 짖밟고.... 우리가 중국동포를 대하는 것을 보세요. 우리도 외국에 나가면 차별을 받습니다. 다들 반성 합시다.

      100자평 내보내기페이스북트위터조선블로그
      ·
      조선닷컴 MY뉴스로 설정하러가기
      온라인 뉴스 구독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뉴스레터 RSS
      • 종합
      • 정치경제사회국제문화사설
      • 스포츠
      • 연예
      • 라이프
      • 페이스북
      • 100자평 인기기사
      • 뉴스
      • 인물
      '뉴스ON' 앱을 만나보세요.
      친구들과 기사를 쉽게 공유하고 스크랩 할 수는 없을까? '조선닷컴 뉴스ON'
      지금 만나보세요!
      오늘의 뉴스브리핑 바로가기
      오늘의 뉴스 브리핑
      조영은·김태촌 등 조폭의 계보… 그들은 이렇게 진화했다
      • chosun.com
      • Copyright (c) chosun.com All rights reserved.
      • ☎ 02) 724-5114
      • 우리이웃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