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14 Aug 2014 11:03



뉴스 > 국제 > 국제정치

日아베의 ‘위안부 전술’ 7년전과 닮은꼴…NYT 2007년 보도 눈길

뉴시스

입력 2014-08-08 08:25:00 수정 2014-08-08 09:01:42


‘고노 담화는 계승하지만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은 없다?’

일본 아베 신조(安倍晉三) 총리의 ‘위안부 전략’은 ‘철지난 유행가’의 되풀이로 나타났다. 총리 취임이후 위안부의 강제동원이 근거없다고 주장하면서도 ‘고노(河野)’ 담화를 계승한다는 아베 신조의 모순된 ‘이중 전술’이 7년 전의 재탕이라는 사실이 당시 뉴욕 타임스 보도로 확인됐다.

‘글로벌웹진’ 뉴스로(www.newsroh.com)는 7일 뉴욕 타임스가 2007년 3월16일 ‘아베, 일본의 여성 납치 성노예 증거 없어’라는 제목으로 오늘의 아베와 놀랍도록 흡사한 행보를 기사화했다고 전했다.

2006년 9월 처음 총리에 취임한 아베 신조의 궁극적인 목표는 일본의 재무장을 위한 헌법 개정이었고 그 방편은 일본의 과거 역사 지우기였다. 한가지 아킬레스 건은 일본군이 강제동원한 위안부 문제였기 때문에 그는 2007년 초부터 미 연방 하원에서 추진된 ‘위안부 결의안’이 눈엣가시였다.

뉴욕 타임스의 보도 시점은 그해 2월 하원 청문회에 이용수 할머니 등 두 명의 한국인과 한 명의 네덜란드 위안부 피해자가 역사적인 증언을 한 후 위안부 결의안에 참여한 의원 수가 20여명으로 늘고 뉴욕을 중심으로 한 한인사회의 풀뿌리 로비로 세를 불릴 무렵이었다.

아베는 미 하원의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 다니엘 이노우에 상원의원같은 일본계 거물 정치인을 통해 강력한 차단막을 치면서 ‘양동 작전’을 펼쳤다. 일본이 위안부들을 강제 동원했다는 증거가 없다는 말을 공론화해 논란을 부추기다 위안부의 강제성을 시인한 고노 담화를 계승한다는 입장엔 변화가 없다는 식으로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는 전략이었다.

고노 담화는 1993년 8월 일본 정부 대변인격인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이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 동원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사죄한 내용의 담화로 이후 일본의 총리들은 일관되게 고노 담화를 승계한다는 입장을 피력해 왔다.

그러나 뉴욕 타임스는 당시 보도에서 “일본의 전쟁 매음굴을 둘러싼 외교적 격노가 사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14년 간의 연구 결과 일본 군대가 여성들을 납치해 창녀로 만들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아베 총리의 이 같은 말은 토마스 쉬퍼 주일 대사가 지난달 하원 청문회에서 이뤄진 피해 여성 3명의 증언을 들어 일본 군대가 2차대전 기간 중 여성들을 강제로 성노예로 삼은 사실을 믿고 있다고 발언한 이후 나온 것”이라고 소개했다.

당시 쉬퍼 대사는 “피해 여성들을 협박해 몸을 팔도록 한 것은 일본 군대가 조직적인 강간을 한 것을 의미한다. 정말 끔찍한 일들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뉴욕 타임스는 “강제 동원의 증거가 없다는 말로 아시아, 특히 가장 많은 피해자가 있는 한국이 분노로 들끓자 아베는 ‘1993년 고노 담화의 입장을 견지하며 고통받은 여성을 동정에 연민의 감정을 갖고 있다’는 말을 되풀이하면서 진정시키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타임스는 “아베가 도쿄에서 4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워싱턴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눈에 띄는 것은 쉬퍼 대사의 반응이다. 그는 아베의 고노 담화 계승 입장을 환영하면서 “미국은 특정(위안부) 이슈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일본은 이 같은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행동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베의 전략은 위안부 강제 동원을 부정하다가 미묘한 시점에 ‘고노 담화를 계승할 것’이라는 말로 미국이 감내하기 힘든 ‘비등점’을 내려뜨리는 것이었다. 또한 마이크 혼다 의원의 발의로 시작된 위안부 결의안이 더 많은 의원들의 지지를 받지 않도록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아베 총리가 미국 방문에서 실망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쉬퍼 대사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아베는 4월25일 워싱턴에 도착하자마자 의사당에 달려가 “미·일 관계의 악화는 미국에게 결정적인 불이익이 될 것”이라며 결의안을 통과시키지 말 것을 주문하는 노골적인 연설을 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아베의 연설은 의원들의 반감을 초래했다. 석 달 뒤인 7월30일 하원에서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고 틀어진 미·일 관계에 따른 책임을 지고 결국 총리직에서 내려오게 됐다.

재미 언론인 문기성씨는 “7년 전 뉴욕 타임스의 기사는 지금 나와도 하나도 이상할 게 없을 만큼 아베의 행보와 닮은꼴이다. 일본은 올 초 고노 담화에 대한 검증 및 수정 입장을 밝혔다가 문제가 되자 역사 인식에 관해선 역대 내각의 입장을 계승하겠다고 물타기를 했다. 또 지난달엔 ‘고노 담화 발표와 관련 검증 보고서를 내는 것은 우리의 책무’라고 딴소리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백악관과 국무부가 위안부 피해할머니들을 직접 면담한 것은 아베의 ‘재탕 전술’에 대한 경고다. 아베가 스스로 덫에 빠질 수도 있겠지만 외교는 타이밍이다. 우리 정부의 전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욕=뉴시스】


관련기사

재테크 정보




많이 본 뉴스

종합

정치

국제

사회

스포츠

연예

댓글이 핫한 뉴스

오늘의 dongA.com

핀터레스트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