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결의안'…레인 에번스 前 의원 아십니까

30일 美 위안부 결의안 채택 7주년

“그분의 고마움을 알아야 합니다. 꼭 만나서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2012년 7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위안부 결의안’ 채택 5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눈물을 흘렸다. 미 의회에 처음으로 위안부 문제를 제기한 레인 에번스(63) 전 하원의원을 그리워하며 흘린 눈물이었다.

버락 오바마(왼쪽) 미국 대통령이 2008년 11월4일 당선 직후 투병 중인 레인 에번스(오른쪽) 전 연방 하원의원을 만나 감사의 뜻을 전하고 있다.
플리커 캡처
27일(현지시간) 주미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7년 전인 2007년 7월30일 미 하원이 만장일치로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기까지 발의자인 마이클 혼다 하원의원 못지않게 에번스 전 의원의 노력이 컸다. 그는 친구인 서옥자씨(전 워싱턴정신대대책위원회 회장)한테서 일본군 만행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미 의회에서 위안부 문제를 공론화하기 위해 애썼다. 에번스 전 의원은 일본 측 로비 등으로 번번이 실패하면서도 2001년부터 6차례나 하원에 결의안을 냈다.

한국에서 ‘레인 에번스’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지지 않은 건 그가 투병생활로 외부와 소식을 끊은 탓이다. 1983년부터 일리노이주 17선거구에서 내리 12선을 한 그는 파킨슨병으로 2006년 11월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위안부 결의안 채택을 위해 그가 뿌린 씨앗은 2007년 1월 말 바통을 이어받은 혼다 의원의 노력으로 6개월 만에 꽃을 피웠다. 투병 중에도 결의안을 낼 정도로 애쓰다 워싱턴을 떠나는 그에게 경의를 느낀 동료 의원들의 지지와 재미교포들의 대대적인 풀뿌리 운동이 어우러졌다. 정작 그는 미 하원에서 결의안이 채택되는 현장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다.

그는 고향인 일리노이주 록아일랜드에 있는 요양시설에서 간병인 도움을 받아 생활하고 있다. 결혼을 하지 않아 돌봐줄 가족조차 없다. 2009년 딕 더빈 상원의원이 나선 모금과 재산을 처분한 돈으로 연간 10만달러가량의 비용을 충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는 최근 그의 소식을 듣기 위해 미 언론에 보도된 요양시설과 일리노이주 17선거구 민주당 현역 의원의 사무소, 일리노이주한인회 관계자에게 연락했으나 아무런 소득이 없었다. 워싱턴 한 소식통은 “에번스 전 의원이 파킨슨병으로 거동을 못하고 의사소통도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안다”면서 “몇 년 전 우리 정부 관계자가 감사의 뜻을 전하는 과정도 그래서 힘들었다”고 전했다.

에번스 전 의원은 고교 졸업 후 해병대에 입대해 베트남전 당시 오키나와 미군기지 등에서 근무하다 1971년 전역했다. 이후 워싱턴 조지타운대에서 법학박사를 받은 뒤 가난한 사람 등을 위해 변호사로 활동했다. 하원의원으로서는 참전군인 권리 보호를 위한 입법 활동 등에 앞장섰다.

그는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탄생에도 큰 역할을 했다. 2003년 일리노이주 상원의원이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할 때 지지 선언으로 정치적 힘을 실어줬다. 2008년 11월4일 대선에서 승리한 오바마 대통령이 시카고 그랜트파크에서 역사적인 당선 연설을 하기 몇 시간 전 한 호텔 방에서 몸이 불편한 그를 만나 허리를 구부린 채 손을 맞잡고 고마움을 나타냈을 정도다.

워싱턴=박희준 특파원 july1s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POLL
국과수는 "독극물 분석, 질식사, 외력에 의한 사망 여부 등을 분석했으나 유병언의 시신이 부패가 심해 사망 원인 판명 불가"라고 부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부검 결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부검 결과를 신뢰하며 믿는다
부검 결과가 의심스럽고 믿을 수 없다
잘모르겠다
  • 7월 2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