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종군위안부 시설로 사용했던 건물을 역사 유적지로 선정했다고 20일 AFP통신이 보도했다.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0여명의 중국 여성이 강제로 위안부로 동원돼 거주했던 난징(南京)의 건물 7동을 유적지로 선정했다.
중국 역사상 수차례 도읍이 됐던 난징에는 40여개의 일본군 위안부 건물이 있었다.
이번 유적지 선정은 아베 신조 일본 정부의 우경화 행보와 과거사 인식 문제로 역내 갈등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뤄졌다.
중국과 일본은 동중국해 상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싸고 지난 2012년부터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양국은 지난 11일 동중국해상에서 일본 자위대 정보수집기와 중국 전투기가 근접비행을 한 것에 대해서도 서로 상대방이 잘못했다며 공방전을 펼쳤다.
양국의 갈등은 지난 30~40년대에 일어난 중·일 전쟁에 대해서도 이어지고 있다.
일본은 1930년대 중국을 침략해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할 때까지 중국에 일본군을 주둔시켰다.
중국은 지난 2월 일본이 지난 1937년 12월부터 6개월 간 일으킨 '난징대학살'을 잊지 않기 위해 12월13일을 희생자 추모일로 지정했다.
중국은 난징대학살로 인해 약 30만명의 중국인이 사망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난징대학살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등록 신청했다.
양국 간 신경전은 법정공방으로도 이뤄졌다.
상하이 법원은 지난 2007년 중·일 전쟁 당시 중국인 선박회사에 배 2척을 빌렸다가 돌려주지 않은 일본 해운사에게 29억엔(약 290억원)의 배상금을 판결했다.
법원은 해운사가 중·일 전쟁과 관련한 민사 손해배상 선례를 남길 것을 우려해 배상금 지급을 미루자 지난 4월 이 회사 소속 화물선을 압류, 결국 지연이자까지 총 40억엔(약 400억원)을 받아냈다.
신화통신은 지난해 12월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의 영령을 합사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독일 아돌프 히틀러에 비유하며 그가 2차 세계대전 후 나치의 만행을 사과한 독일의 행보를 닮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findlove@news1.kr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