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피해국들이 연합해 일본 정부를 압박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만 인권단체인 타이베이 여성구호재단 캉수화 집행위원장은 16일 환구시보와 인터뷰에서 "위안부와 같은 문제는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절대 해결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캉 위원장은 "아시아 위안부 피해국들의 정부가 나서 연합해 일본 정부를 압박해아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 정부가 유네스코 군 위안부 자료를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여성구호재단에서 일본군 위안부 역사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박물관 건립으로 대만 및 아시아 위안부들의 역사적 맥락을 알리고 국제 여성 인권을 아우르는 박물관 건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박물관 건립과 관련해 일본 정부의 어떠한 의견도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캉 위원장은 "대만 정부와 협력해 타이베이시에 70평 규모의 박물관을 세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만에 최소 2000명의 위안부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1992년 조사 당시 단 58명의 위안부 신분만 확인됐다고 밝혔다.
캉 위원장은 "대만 위안부들은 대만 본토 및 중국, 동남아 등에서 위안부 피해를 입었다"며 "특히 대만 본토에는 한국에서 온 위안부 피해자도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많은 피해자들이 당시 역사를 수치스러워해 위안부로 징용됐던 사실을 언급하기 꺼리고 있으며 현재 대만 내 생존해있는 위안부는 5명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위안부 피해자들에 있어 가장 필요한 것은 금전적 배상이 아니다"며 "그들은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듣고싶어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들이 위안부의 피해자들은 당시 10대에 불과했다"며 "그들은 정부의 공식 사과를 들을 권리가 있으며 이를 통해 비로소 위안부에 대한 기억을 마음속에서 지울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ejjung@news1.kr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