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낭독기 사용시 다음 링크들을 이용하면 더 빠르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한국아이닷컴! 막강 미디어 포털!
  • 데일리한국
  • 서울경제
  • 스포츠한국
  • 한국아이닷컴 연예
  • 비즈한국
  • 소년한국일보
  • 서울경제TV
  • 미주한국일보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데일리 한국

  • 뉴스
  • 스포츠
  • 연예
  • 포토
  • 핫이슈

전체

    정치

    경제

    사회

    국제

    IT·과학

    문화

    라이프

    비즈브리핑

    지하수 상수도 10%, 우라늄·라돈 초과 검출
    우라늄 최고 11.6배·라돈 5.5배… "장기간 과도하게 노출되면 위험"

    • 연합뉴스
    입력시간 : 2014/06/12 12:59:58
    수정시간 : 2014.06.13 09:00:37
    페이스북
    미투데이
    트위터
    싸이월드 공감
    기사 글자 크게보기
    기사 글자 작게보기
    인쇄
    기사 메일 보내기
    기사 구매
    지하수를 사용하는 마을 상수도 10곳 중 1곳에서 우라늄, 라돈 등 자연방사성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전국 101개 시·군·구의 616개 마을 상수도를 대상으로 자연방사성 물질을 조사한 결과 22개 지점(3.6%)에서 미국의 우라늄 먹는물 수질기준(30㎍/ℓ)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또 58개 지점(9.4%)은 미국의 라돈 제안치 4천 pCi/ℓ를 초과하는 라돈이 검출됐고, 2개 지점(0.3%)은 미국의 전알파 먹는물 수질기준 15pCi/ℓ을 초과했다.

    우라늄은 미국 먹는물 수질기준의 11.6배인 최고 348.73㎍/ℓ가 검출됐다.

    라돈은 최고 2만1천937pCi/ℓ가 검출돼 미국 먹는물 제안치의 5.5배를 기록했다. 전알파는 미국 먹는물 수질기준의 약 3배인 최고 44.48pCi/ℓ가 나왔다.

    자연저감 특성을 확인한 결과 우라늄은 농도가 거의 일정해 자연저감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돈은 원수(原水) 대비 꼭지수(가정의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에서 평균 40%의 저감률을 보였다.

    한편 100개 개인 관정을 정밀 조사한 결과 우라늄은 2개 지점(2.0%), 라돈은 31개 지점(31.0%), 전알파는 2개 지점(2.0%)에서 각각 미국의 먹는물 수질기준과 제안치를 초과했다.

    환경부는 "자연방사성 물질 기준을 초과한 지하수를 마신다고 건강에 바로 이상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간 과도하게 노출되면 우라늄은 화학적 독성에 의한 신장독성이, 라돈은 폐암 또는 위암이 일부 사람에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자연방사성물질이 초과 검출된 지역의 지자체에 관리 지침을 통보하고 지하수 음용을 자제해줄 것을 알리도록 당부했다.

    <저작권자 (C )연합뉴스.무단전재-재배포금지>
    뉴스홈
    맨위로

    소셜댓글 라이브리 영역. SNS 계정으로 로그인해 댓글을 작성하고 SNS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공유할 SNS
    .
    .
    소셜로그인
      .
    • .
    .
    .
    • 로그인 전 프로필 이미지
    • .
    .
    • 소셜계정으로 작성하세요
      • 0/250
      • .
      • 미투데이 서비스 종료 .
        미투데이가 2014년 6월 30일부로 서비스를 종료함과 동시에 라이브리의 모든 서비스에서도 미투데이 로그인 제공이 종료됨을 알려드립니다.
        [라이브리 공지 바로가기]
        [미투데이 공지 바로가기] .
        .
      • .
    • .
    .
    .
    .
    배너이미지

    오늘의 많이 본 기사더보기

    멀티미디어
    인포그래픽
    한국아이TV
    클라라, 적나라한 비키니 실루엣
    ad
    스폰서 여명808 군산시 대한항공 문화체육관광부 영주시 우리금융그룹 우리투자증권 우정사업본부 익산시 전라북도 철원군 hotelnjoy
    • 인터넷한국일보
    • 주소 : 서울시 중구 삼일대로 308 조양빌딩 본관 10층  |  등록번호 : 서울 아01034  |  등록연월일 : 2009.11.12  |  발행.편집인 : 조상현  |  발행연월일 : 1996.1.16
      인터넷한국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by internethankookilbo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