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일본 아베 정권 전쟁이 가능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헌법해석 변경 작업을 본격화한 가운데 군사적인 무장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중국과의 영토 분쟁에 대비한다는 차원인데,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긴장이 한층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도쿄에서 최명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남중국해에서 중국 어선이 베트남 선박을 들이받아 침몰시키는 사건이 발생하자 일본 정부는 즉각 비난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인터뷰: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지난달 27일)]
"인명피해가 일어날 수도 있는 지극히 위험한 행동으로 일본은 관계 기관과 연계할 생각입니다."
며칠 뒤 열린 싱가포르 아시아안보회의에서도 일본은 중국이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변경을 시도하고 있다며 비난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아시아 지역의 안정을 위해 일본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말도 잊지 않았습니다.
[인터뷰:아베 신조, 일본 총리(지난달 30일)]
"일본은 아시아 각국의 바다와 하늘의 안전을 보장하고 항해의 자유, 비행의 자유를 보전하려고 하는 노력에 대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아베 정권이 전쟁이 가능한 나라를 만들기위한 집단적자위권 행사를 위한 헌법해석 작업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군사적 무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일본은 우선 지난달 중국 전투기의 자위대 항공기 근접 비행 사태 이후 정찰활동을 크게 강화했습니다.
2만 미터 상공에서 골프공 크기의 물건을 식별해 낼 수 있는 미군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 2대가 센카쿠 열도에 투입됐습니다.
또 최장 4천km까지 탄도 미사일을 추적할 수 있는 고성능 'X밴드 레이더'도 추가 배치할 계획입니다.
중국군이 센카쿠 열도 주변의 섬을 점령하는 상황을 가정해 미 해병대를 본뜬 낙도탈환 특수부대 창설도 공식화했습니다.
[인터뷰:이와사키 시게루, 자위대 간부]
"일본의 영토, 영해, 영공을 방어하기 위한 기능으로서는 대단히 중요한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이 집단적자위권 행사를 위한 헌법 해석 변경을 본격화한 가운데 선제적인 무장 강화에 나서면서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지역의 긴장감도 한층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도쿄에서 YTN 최명신입니다.
- Copyrights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