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덤하우스 발표…북한은 197위로 꼴찌
(워싱턴=연합뉴스) 김세진 특파원 = 국제 언론감시단체 프리덤하우스가 한국의 언론자유 순위를 작년보다 4계단 낮은 68위로 산정했다.
프리덤하우스는 1일(현지시간) 발표한 '2014 언론자유 보고서'에서 한국의 언론자유 지수를 32점으로 매기며 이탈리아, 칠레 등 공동 64위에 오른 4개국보다 낮게 평가했다.
보고서에서 한국은 올해도 '부분적 언론자유국'으로 분류돼 2011년 상실했던 '언론자유국' 지위를 되찾는 데 실패했다.
총 23개 항목을 평가해 0~100점 사이로 산정되는 언론자유지수는 점수가 낮을수록 자유가 보장됨을 뜻한다.
지난해 한국의 언론자유 지수는 31점이었다.
국가별로는 네덜란드와 노르웨이, 스웨덴이 나란히 10점으로 세계에서 가장 언론자유가 보장되는 나라로 꼽혔다.
- <그래픽> 프리덤하우스 2014 언론자유지수
-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프리덤하우스는 1일(현지시간) 발표한 '2014 언론자유 보고서'에서 한국의 언론자유 지수를 32점으로 매기며 이탈리아, 칠레 등 공동 64위에 오른 4개국보다 낮은 68위로 산정했다. yoon2@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벨기에와 핀란드가 각각 11점으로 뒤를 이었고 덴마크와 아이슬란드, 룩셈부르크, 스위스가 12점으로 공동 6위였다.
미국과 일본은 각각 21점(30위)과 25점(42위)으로 '자유국'에 포함됐지만 인도(39점·78위)와 브라질(45점·90위)는 '부분적 자유국'에 머물렀다.
또 중국(84점·183위)과 이란(90점·190위)은 '부자유국'의 불명예를 안았다.
북한은 97점으로 조사대상 국가들 중 가장 낮은 197위였다.
프리덤하우스가 언론자유 보고서를 발표하기 시작한 1980년부터 현재까지 북한은 매년 최악의 언론 탄압국으로 지목돼왔다.
프리덤하우스는 전세계의 언론 자유가 최근 약 10년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추락했다며, 권위주의 정부나 정치 환경이 극단화된 국가들을 중심으로 정부에서 뉴스의 내용을 통제하려 들었기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4/05/02 05:41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