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민족이란 의식적인 개념인 동시에
문화적이 개념으로서 하나의
운명
공동체를 뜻한다. 그러므로 민족과 민족 간에는 문화 패턴을 달리하는 데서 형성된 무형의 ‘벽’(壁)이 존재하게 마련이다. 이로 인해 우리는 다른 민족을 만났을 때 언어·신념·가치에 있어서 쉽게 뛰어넘을 수 없는 벽을 느끼게 된다. 이런 벽을 문화적인 충격 또는 문화적 갈등이라고도 한다. 혹여 어떤 민족이 합리적인 사고나 객관적인 판단 능력을 잃었을 경우 특히 그렇다.
그런데 우리 민족은 숙명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상대하기 거북한 민족들만을 이웃하고 있다. 무한한 잠재력의 한(漢) 민족, 음흉한 슬라브 민족, 그리고 약삭빠른(?) 왜 민족이 우리 이웃이다. 그중에서도 섬나라 일본은 지리적으로 우리와는 가깝지만 흔히 ‘가까운 먼 나라’라고 한다. 가장 싫은 나라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최근에는 아시아의 많은 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일본을 비난하고 규탄하는 소리가 높다.
그런데 우리 민족은 숙명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상대하기 거북한 민족들만을 이웃하고 있다. 무한한 잠재력의 한(漢) 민족, 음흉한 슬라브 민족, 그리고 약삭빠른(?) 왜 민족이 우리 이웃이다. 그중에서도 섬나라 일본은 지리적으로 우리와는 가깝지만 흔히 ‘가까운 먼 나라’라고 한다. 가장 싫은 나라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최근에는 아시아의 많은 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일본을 비난하고 규탄하는 소리가 높다.
본래 섬나라의 경우 개방성과 폐쇄성이라는 상반된 경향을 지니는 것이 보통이다. 고대 오리엔트 연해의 민족이 그러했고, 근대 초의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 반도 또는 연해의 민족들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데 반하여 일본 민족은 매우 폐쇄적이다. 이러한 그들의 폐쇄성은 해양 민족이 가지는 진취성과 부자연스럽게 만나 우월감과 호전성으로 둔갑, ‘불패의 황군’이라는 신화를 낳은 호전민족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일본 민족에 대해 ‘국화와 칼’의 저자 루드 베네딕트는 “일본은 최고도로 공격적이자 비공격적이며, 군국주의적이자 탐미적이며 그들의 병사는 철저히 훈련되지만 또한 반항적이다”라고 지적하면서 일본 문화란 ‘국화’와 ‘칼’이라는 두 개의 상반적인 형태를 구성요소로 하는 문화패턴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고 했다. 이러한 문화패턴에 바탕을 둔 일본 정치란 것도 안으로는 입헌주의를, 밖으로는 제국주의의 탈을 뒤집어쓰고, 이웃 민족을 무던히도 괴롭혔다. 아직도 그 고통을 온몸으로 견뎌낸 생존자가 이웃 나라에 적지 않은데도 그런 일이 없었다고 하니 병이 들어도 보통 든 게 아니지 않은가.
‘문화방위론’의 저자 미시마 유키오는 “전전의 일본은 국화를 제거했고 전후의 일본은 칼을 제거했다”고 전후 일본 사회의 성격을 진단했지만, 그것은 제거가 아닌 은폐의 오진이었다. 왜냐 하면 인류 전쟁사에서 그 유례를 찾을 수 없으리만큼 잔학무도한 침략전쟁을 저지르고도 전범의식마저 느끼지 못하는 민족이 지금의 일본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소수의 일본인이 없는 건 아니다. 그러나 지금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국화 대신 칼을 들려고 하는 것 같다. 그래도 우리와는 지리적인 이유 때문에 교린(交隣)해서 선린관계를 다져야 하니, 내심 내키지 않는 동행의 불편을 내려놓고 대승적 차원에서의 결단도 내릴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2014-03-24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