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메이지신궁에서 소원비는 한국 관광객 '눈살'
- 입력
- 2012-05-30 13:38:51
- 수정
- 2012-06-01 10:43:26
한국 관광객이 일본 도쿄를 여행할때 많이들 찾는 하라주쿠.
오모테산도와 같은 명품거리와 메이지 신궁과 같은 수풀이 우거진 신사를 함께 볼 수 있어 인기가 많다.
메이지신궁은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끼친 메이지(明治) 일왕 부부의 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신사(神社)다.
석가탄신일이었던 지난 28일 메이지신궁에서 한글로 자신의 소망을 기원한 명패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다.

내용은 '건강과 평안을 기원한다'는 등 일반적으로 관광지에서 흔히 빌 수 있는 '소원'이지만 이 소원판이 걸린 장소가 문제였다.
일본인들은 메이지신궁을 무척 신성시하지만, 메이지 일왕은 조선침략의 원흉으로 우리 민족에게 막대한 피해를 안긴 장본인이라 웬지 둘러보는 것도 꺼림직한 마음이 드는 것이 사실.
도쿄대학에 유학중인 한 학생은 "아무리 여행중 재미삼아 기원을 한다해도 우리나라를 침략한 왕의 위패가 있는 곳에서 소원을 비는 것은 어처구니 없는 행동이다"고 말했다.
메이지 신궁에서 이같은 소원판에 기원을 하려면 1,000엔(15,000원 가량)을 지불해야 한다. 우리나라 일부 사찰에서 기왓장에 자기 소원을 써놓는 것과 유사하다.

메이지 신궁 경내 북쪽의 보물전(寶物殿)에서는 일본 왕실의 생활상을 볼 수 있다. 이곳에는 역대 일왕 124명의 초상화가 전시되어 있다. 모두 같은 크기의 초상화이지만 그중 메이지 일왕 초상화만 유독 크며, 전시된 유품 대부분이 메이지 일왕의 유품이다. 물론 메이지 일왕 당시에 조선과 중국을 침략한 사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없다.
그러나 그는 조선 침탈의 원흉이자 아시아를 전란의 구덩이에 빠트린 장본인이다.
메이지 일왕이 일본의 왕위에 있을 때에 일본 내에서 정한론(征韓論)이 일어났다. 당시 갑신정변, 명성황후 시해, 을사늑약이 있었으며, 결국 한일강제병합이라는 한민족 최대의 시련이 계속 이어졌다.
한일강제병합 해인 1910년부터 1912년 죽을때까지 메이지 일왕은 한반도의 최고 통치자였다.
이러한 역사를 한번 되씹는다면 이 신궁 안에서 큰 나무 주변의 에마(繪馬) 나무판에 돈을 내고 소원을 적는다거나 신궁의 본당에서 동전을 던져 넣고 기도를 올리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정서에 맞지 않는다.
우리 돈을 그들에게 지불하면서, 한반도 침략의 원흉에게 소원을 비는 꼴이기 때문이다.
현재 메이지신궁측은 한글로 "매일 아침 의식에서 소원이 이뤄지도록 기도하고 있습니다"라는 글을 내걸며 한국 관광객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도쿄(일본) = 한경닷컴 이미나 기자 helper@hankyung.com
오모테산도와 같은 명품거리와 메이지 신궁과 같은 수풀이 우거진 신사를 함께 볼 수 있어 인기가 많다.
메이지신궁은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끼친 메이지(明治) 일왕 부부의 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신사(神社)다.
석가탄신일이었던 지난 28일 메이지신궁에서 한글로 자신의 소망을 기원한 명패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다.
내용은 '건강과 평안을 기원한다'는 등 일반적으로 관광지에서 흔히 빌 수 있는 '소원'이지만 이 소원판이 걸린 장소가 문제였다.
일본인들은 메이지신궁을 무척 신성시하지만, 메이지 일왕은 조선침략의 원흉으로 우리 민족에게 막대한 피해를 안긴 장본인이라 웬지 둘러보는 것도 꺼림직한 마음이 드는 것이 사실.
도쿄대학에 유학중인 한 학생은 "아무리 여행중 재미삼아 기원을 한다해도 우리나라를 침략한 왕의 위패가 있는 곳에서 소원을 비는 것은 어처구니 없는 행동이다"고 말했다.
메이지 신궁에서 이같은 소원판에 기원을 하려면 1,000엔(15,000원 가량)을 지불해야 한다. 우리나라 일부 사찰에서 기왓장에 자기 소원을 써놓는 것과 유사하다.
메이지 신궁 경내 북쪽의 보물전(寶物殿)에서는 일본 왕실의 생활상을 볼 수 있다. 이곳에는 역대 일왕 124명의 초상화가 전시되어 있다. 모두 같은 크기의 초상화이지만 그중 메이지 일왕 초상화만 유독 크며, 전시된 유품 대부분이 메이지 일왕의 유품이다. 물론 메이지 일왕 당시에 조선과 중국을 침략한 사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없다.
그러나 그는 조선 침탈의 원흉이자 아시아를 전란의 구덩이에 빠트린 장본인이다.
메이지 일왕이 일본의 왕위에 있을 때에 일본 내에서 정한론(征韓論)이 일어났다. 당시 갑신정변, 명성황후 시해, 을사늑약이 있었으며, 결국 한일강제병합이라는 한민족 최대의 시련이 계속 이어졌다.
한일강제병합 해인 1910년부터 1912년 죽을때까지 메이지 일왕은 한반도의 최고 통치자였다.
이러한 역사를 한번 되씹는다면 이 신궁 안에서 큰 나무 주변의 에마(繪馬) 나무판에 돈을 내고 소원을 적는다거나 신궁의 본당에서 동전을 던져 넣고 기도를 올리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정서에 맞지 않는다.
우리 돈을 그들에게 지불하면서, 한반도 침략의 원흉에게 소원을 비는 꼴이기 때문이다.
현재 메이지신궁측은 한글로 "매일 아침 의식에서 소원이 이뤄지도록 기도하고 있습니다"라는 글을 내걸며 한국 관광객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도쿄(일본) = 한경닷컴 이미나 기자 helper@hankyung.com
소셜댓글 라이브리 영역. SNS 계정으로 로그인해 댓글을 작성하고 SNS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전체댓글수
3
-
.
-
- 2012-06-01 11:00:43 .
-
.
`우리 돈을 그들에게 지불하면서, 한반도 침략의 원흉에게 소원을 비는 꼴이기 때문이다.`
여기 기사의 핵심이 다 들어있네...
일제강점기 시기의 일왕에게 소원을 빌다니...
미쳐도 한참 미쳤지...
아님 의외로 단지 일본인이 되고픈 순수한 마음일까?-
-
.
- 공유된 SNS
.
-
- 2012-06-01 01:40:29 .
-
.
좋은 지적입니다. 우리 민족에게 씻지못한 아픔을 안긴 명치왕에게 소원을 빈다니.. 쫌 꺼림직 하네요
차라리 `대한민국의 민주평화적 발전을 적극 기원하고 극우파 왜원숭이들과 김씨왕조의 몰락을 바란다`고 소원 적어 둡시다
명치왕이 스스로 자기의 똘마니 후손들을 처단하도록 말입니다-
-
.
- 공유된 SNS
.
-
- 2012-05-30 17:25:00 .
-
.
한경 이 미나기자 정말 좋은지적의 기사입니다 이게 애국자 아니겠어요
모르는 국민에게 알려서 잘못을 깨우쳐 주는것이 기자의 진정한 책무가 아닐까
생각 되내요. 이 기자 앞으로도 좋은기사로서 사회를 선도 해주세요.-
-
.
- 공유된 SNS
- Me2day .
.
.
종합
- [전기차시대 스위치ON 上]한 달 유지비 3만원…소리없는 질주, 전기車가 몰려온다
- [경찰팀 리포트] 범인의 마음으로 죄 찾는 동안 프로파일러의 마음은 죄어오고…
- 고양시 화정동 한식뷔페 풀잎채 , 3명이 7억5000만원 공동투자…월 매출 1억6000만
- [규제개혁 이제 실천이다] 삼겹살집 문 여는데 건강진단서 떼오라니…
- [영화로 쓰는 경제학원론] 한 방 꿈에 부풀어 오른 증시 거품…주가는 결코 기업 실적
- 증시, 봄바람 불까…중국우크라 사태에 쏠린 눈
- [車동호회의 진화 ⑥] 갤로퍼 동호회 갤럽이노 , 극한의 오프로드 정복기
- 독해진 안철수의 입 … 與, 분양땐 궁전광고 입주땐 물새는 아파트
- 택시 옥소리, 부부동반 파티 가면 과거 밝혀질까봐…
- 별그대 김수현 아시아투어에 중화권 팬 환호성
포토
칼럼
SNS 인기
- Hohe Sicherheit durch Investitionen in nachhaltige Immobilien.
주소: 서울시 중구 청파로 463 한국경제신문사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 아01035
등록일자: 2009.11.23
발행ㆍ편집인: 황재활
Copyright Hankyung.com All rights reserved. 한경닷컴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