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낭독기 사용시 다음 링크들을 이용하면 더 빠르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입력 : 2014.03.06 03:00 | 수정 : 2014.03.06 10:43
윤병세 외교, 인권이사회서 처음으로 국제 공론화
"위안부는 戰時 성노예 피해자… 잊혀진 홀로코스트"
-
-
윤병세 외교장관이 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25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TV조선
그동안 외교부의 유엔 담당 다자외교조정관 등이 제기해온 위안부 문제를 외교장관이 직접 유엔 인권이사회에 가서 제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 장관은 아베 총리 등의 실명 대신 '일부 일본 정치 지도자'라고 지칭했으나 누구의 책임인지 알 수 있게 말했다. 위안부 문제를 '잊혀진 홀로코스트(the forgotten holocaust)' '일본 제국주의 군대에 의해 징집된 전시 성 노예 피해자'로도 지칭했다.
윤 장관은 "이 문제는 한국·중국·동남아·네덜란드 등 피해국들과 일본 간 양자 문제만이 아니라 인류 보편적 인권 문제이며, 여전히 살아 있는 현재의 문제"라면서 "유엔뿐만 아니라 미국·호주·캐나다·네덜란드·유럽연합(EU) 등의 의회에서 다수의 결의를 통해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강조한 바 있다"고 했다.
한편 윤 장관은 연설에서 지난달 보고서를 발표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 활동에 감사한 뒤 "국제사회는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해 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후속 조치에 관한 논의를 조속히 시작해야 할 것"이라며 "모든 국가가 강제 송환 금지 원칙을 준수하고 탈북민을 보호할 것을 강조한다"고 했다.
-
中文으로 이 기사 읽기
-
그동안 외교부의 유엔 담당 다자외교조정관 등이 제기해온 위안부 문제를 외교장관이 직접 유엔 인권이사회에 가서 제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 장관은 아베 총리 등의 실명 대신 '일부 일본 정치 지도자'라고 지칭했으나 누구의 책임인지 알 수 있게 말했다. 위안부 문제를 '잊혀진 홀로코스트(the forgotten holocaust)' '일본 제국주의 군대에 의해 징집된 전시 성 노예 피해자'로도 지칭했다.
윤 장관은 "이 문제는 한국·중국·동남아·네덜란드 등 피해국들과 일본 간 양자 문제만이 아니라 인류 보편적 인권 문제이며, 여전히 살아 있는 현재의 문제"라면서 "유엔뿐만 아니라 미국·호주·캐나다·네덜란드·유럽연합(EU) 등의 의회에서 다수의 결의를 통해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강조한 바 있다"고 했다.
한편 윤 장관은 연설에서 지난달 보고서를 발표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 활동에 감사한 뒤 "국제사회는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해 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후속 조치에 관한 논의를 조속히 시작해야 할 것"이라며 "모든 국가가 강제 송환 금지 원칙을 준수하고 탈북민을 보호할 것을 강조한다"고 했다.
-
中文으로 이 기사 읽기
-
中文으로 이 기사 읽기
-
그동안 외교부의 유엔 담당 다자외교조정관 등이 제기해온 위안부 문제를 외교장관이 직접 유엔 인권이사회에 가서 제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 장관은 아베 총리 등의 실명 대신 '일부 일본 정치 지도자'라고 지칭했으나 누구의 책임인지 알 수 있게 말했다. 위안부 문제를 '잊혀진 홀로코스트(the forgotten holocaust)' '일본 제국주의 군대에 의해 징집된 전시 성 노예 피해자'로도 지칭했다.
윤 장관은 "이 문제는 한국·중국·동남아·네덜란드 등 피해국들과 일본 간 양자 문제만이 아니라 인류 보편적 인권 문제이며, 여전히 살아 있는 현재의 문제"라면서 "유엔뿐만 아니라 미국·호주·캐나다·네덜란드·유럽연합(EU) 등의 의회에서 다수의 결의를 통해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강조한 바 있다"고 했다.
한편 윤 장관은 연설에서 지난달 보고서를 발표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 활동에 감사한 뒤 "국제사회는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해 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후속 조치에 관한 논의를 조속히 시작해야 할 것"이라며 "모든 국가가 강제 송환 금지 원칙을 준수하고 탈북민을 보호할 것을 강조한다"고 했다.
-
中文으로 이 기사 읽기
-
아베 정권의 위안부 왜곡, 유엔서 질타하다
- ▲ ㅣ
SECURITY WARNING: Please treat the URL above as you would your password and do not share it with anyone.
SECURITY WARNING: Please treat the URL above as you would your password and do not share it with anyone.
-
목록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