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che) 設立宣言
トップページ > 設立宣言

ヘイトスピーチとレイシズムを乗り越える国際ネットワーク

設立宣言文

 

設立宣言

 いま、在日韓国・朝鮮人を標的とするヘイトスピーチが、各地で凄まじい勢いで拡大している。 多文化のもとで共生する人びとの平穏な生活を切り裂き、民族差別や人種偏見に満ちた、侮辱的、脅迫的言動が繰り返されている。

 ヘイトスピーチは、街頭だけでなく、ネットやさまざまなメディアでも繰り広げられ、差別、偏見、攻撃の言説を執拗に展開している。 なかでも日本軍性奴隷被害者(いわゆる「従軍慰安婦」)とされた女性たちに向けられる侮辱と憎悪の表現は、人権の価値を根こそぎ破壊するレベルにさえ達している。

 ナチス時代のユダヤ人などへの迫害、かつての南アフリカでのアパルトヘイトやアメリカ南部におけるKKK団のリンチを想起させるような激しい侮辱と憎悪表現に対して、日本社会からの反応は、いまだあまりに鈍い。

 在日韓国・朝鮮人は、日本による侵略と植民地支配によって生み出された。その存在の歴史性に対する決定的な無知と、「言論の自由」の尊重という口実のもとで、この社会の多数派は、この卑劣で暴力的なヘイトスピーチを黙認し続けている。

 ヘイトスピーチは、当面の標的とする在日韓国・朝鮮人だけではなく、女性を敵視し、ウチナーンチュ、被差別部落の出身者、婚外子、社会が障害となっている人たち(いわゆる「障がい者」)、性的少数者などの、社会的少数者にも攻撃を加えてきた。 彼らが攻撃する人々は、日本の戦後体制の中で、人格権や生存権を政策的に奪われたり無視されたりしてきた人々と、みごとに重なっている。この意味において、日本におけるヘイトスピーチは、戦後体制が政策的に作り出してきた差別そのものなのだ。

 本質に立ち返って考えたい。
 ヘイトスピーチが傷つけるものとは何なのか、ということを。
 それは、在日韓国・朝鮮人だけではない。社会的少数派だけでもない。
 ヘイトスピーチは、良心を持つあらゆる人々を傷つけるのだ。国籍も、民族も、性別も、出自も関係なく、すべての人間には普遍的な尊厳と人権があると考える人々の信念、そして、なによりも平和に生きようとする人々の精神に対して、言葉と物理的な暴力で憎悪を投げつけ、侮辱し、傷を負わせる。国際社会がこれまで長い苦しみの歴史の中で築いてきた、世界人権宣言にも謳われる普遍的な人権概念を攻撃し、その価値をあざ笑い、踏みにじる。
 これが、ヘイトスピーチの本質なのだ。

 だから、この暴力に対峙し、決然と対決することは、単なるマイノリティ集団の利益のための行動ではない。また、一国の国内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ものでもない。民族や国境の壁を超えて、人権の普遍的価値を擁護し、防衛する行動でもあるのだ。
 それは、この日本社会にあっては、戦後体制によって市民的権利を剥奪されてきた人々の「市民として生きる権利」を希求する行動以外の何ものでもない。

 ここであらためて確認し、明記しておく。
 人間の涙の歴史を無に帰そうとする挑戦に、私たちは、決して屈しない。  

ヘイトスピーチとレイシズムを乗り越える国際ネットワーク
「のりこえねっと」共同代表 一同



Founding Declaration

 

Founding Declaration

Today, hate speech targeted at ethnic Korean residents is spreading throughout Japan driven by a fierce momentum.

Insulting and threatening speech and behavior characterized by ethnic discrimination and racial prejudice is being repeated in public and this is disturbing the peaceful lives of people who are trying to coexist harmoniously in multi-cultural society.

This hate speech is taking place not only on the streets but also on the Internet and in various other media, where a discourse of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offensive language is being relentlessly deployed. In particular, expressions of an insulting and hateful nature aimed at women considered to have been victims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armed forces (the so-called “comfort women”) have now reached a level that totally debases the value of their human rights at its very roots.

Lamentably, the response of Japanese society against these stinging insults and expressions of hatred, which are reminiscent of the persecution of Jews and others inflicted in Nazi Germany, of the apartheid era in South Africa, and of the lynchings carried out by the Ku Klux Klan in the American South, is still too sluggish.

As a group, Korean residents in Japan were the product of the invasion and colonial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Japanese forces. Displaying an overriding ignorance of that historical truth and hiding behind the excuse of “freedom of expression”, the mainstream of Japanese society has long remained silent in the face of this vicious and violent hate speech.

Hate speech is used not only to attack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are an immediate target, but also to represent women in a hostile light and to attack social minorities such as the Ryukyuan or Lewchewan people, the residents of former “discriminated communities”, children born outside of marriage, the socially handicapped, sexual minorities, etc. There is a significant overlap between those groups who are subject to hate speech attacks and those whose personal rights or political rights have been violated or ignored under Japan’s postwar system. In this sense, hate speech in Japan can be viewed in itself as a form of discrimination that has been politically created by the postwar system.

Let us think about what hate speech destroys by returning to the true nature of this phenomenon. Korean residents and social minorities in Japan are by no means the only victims. In fact, hate speech injures everybody who has a conscience. Hate speech catapults hatred in the form of words and sometimes of physical violence at the beliefs of everyone who considers all human beings to possess universal dignity and human rights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race, sex or birth, as well as causing personal insult and injury. It represents an attack on the very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by trampling down and mocking the value of these rights, whi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established and advocated through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is is the true nature of hate speech.

For these reasons, to determinedly confront this violence is not an action being undertaken by a minority group merely for its own profit, nor in a bid to solve a single country’s domestic problems. Rather, it is an action aimed at advocating and defending the universal value of human rights beyond racial and national boundaries. In Japanese society today, it is nothing else but an action aimed at asserting and defending “the right to live as citizens” of people who have been stripped of their civil rights by the postwar system.

In this endeavor, we reaffirm and stipulate that we will never shrink from the challenge of standing up to those who seek to obliterate the tearful histories of other people through the medium of hate speech.

The co-representative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to Overcome Hate Speech and Racism (NORIKOENET)

このページの先頭へ

설립선언

 

설립선언

 최근 재일 한국인・조선인을 표적으로 한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가 각지에서 무서운 기세로 확대되고 있다. 다문화권에서 공생하는 사람들의 평온한 생활을 찢고 민족 차별이나 인종 편견에 찬 모욕적, 협박적인 언동이 반복 되고 있다.

 헤이트 스피치는 길거리 뿐만 아니라 인터넷이나 여러 미디어에서도 차례로 벌어져 차별, 편견, 공격의 말을 집요하게 펼치고 있다. 그중에서도 일본군성노예피해자 (소위 「종군위안부」)로 알려진 여성들을 향한 모욕과 증오의 표현은 인권의 가치를 송두리째 파괴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나치시대의 유태인들에 대한 박해, 과거 남아프리카에서의 아파르트 헤이트(유색인종 격리 정책)이나 미국남부의 KKK단(Ku Klux Klan, 백인 우월주의 비밀결사단체)의 폭력을 상기시킬만한 심한 모욕과 증오표현에 대한 일본사회의 반응은 아직 너무 무디다.

 재일 한국인・조선인은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의해 생겨났다. 그 존재의 역사성에 대한 결정적인 무지와 「언론의 자유」의 존중이라는 구실하에 이 사회의 다수파는 이 비열하고 폭력적인 헤이트 스피치를 계속 묵인하고 있다.

 헤이트 스피치는 현재 표적이 되는 재일 한국인・조선인 뿐만 아니라 여성을 적시하고, 우치난추(오키나와인을 이르는 오키나와말), 피차별 부락(에도 시대의 최하층 신분의 거주지), 혼외자녀, 사회에서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소위 「장애인」), 성적 소수자 등의 사회적 소수자에게도 공격을 가해왔다. 그들이 공격하는 사람들은 일본의 전후체제중 인권이나 생존권을 정책적으로 뺏기거나 무시당해온 사람들과 완전히 겹친다. 이런 의미에서 일본에서의 헤이트 스피치는 전후체제가 만들어낸 차별, 바로 그것이다.

 본질로 되돌아가서 생각해보자.
 헤이트 스피치가 상처입히는 것이 무엇인지를.
 그것은 재일 한국인・조선인뿐만이 아니다. 사회적 소수파 뿐만도 아니다.
 헤이트 스피치는 양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을 상처입히는 것이다. 국적도, 민족도, 성별도,출신도 관계없이 모든 인간에게는 보편적인 존엄과 인권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신념,그리고 무엇보다도 평화롭게 살아가려는 사람들의 정신에 말과 물리적인 폭력으로 증오를 내던지고 모욕하고 상처를 입힌다. 국제사회가 지금까지 긴 고통의 역사속에서 쌓아온 세계인권선언에서도 알려져 있는 보편적인 인권개념을 공격하고, 그 가치를 비웃고 짓밟는다.
 이것이 헤이트 스피치의 본질인것이다.

 그러므로 이 폭력에 대치하여 단호하게 대결하는것은 단순한 소수집단의 이익을 위한 행동이 아니다. 또한 한 나라의 국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민족이나 국경의 벽을 넘어서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옹호하고 방위하는 행동인 것이다. 그것은 이 일본사회에 있어서는 전후체제에 의해 시민적 권리를 박탈당해온 사람들의 「시민으로서 살 권리」를 희구하는 행동이외 무엇도 아니다.

 여기서 다시 한번 확인하고 똑똑히 써 두겠다.
 인간의 눈물의 역사를 헛일이 되게 하려는 도전에 우리는 결코 굴하지 않는다.

헤이트 스피치와 레이시즘(racism)을 극복하는 국제 네트워크
「극복넷」공동대표 일동

このページの先頭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