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시평] 안중근, 잔인성 박물관, 일본구원

글자크기 글자 크게글자 작게
.

[중앙시평] 안중근, 잔인성 박물관, 일본구원

[중앙일보] 입력 2014.02.07 00:31 / 수정 2014.02.07 00:31
박명림
연세대 교수
베를린자유대 초빙교수
인류 공동체 전체가 세계전쟁에 빠져들어 지구 위 삶들을 최악의 고통으로 몰아넣은 시기는 제2차 세계대전이었다. 주도 국가는 독일과 일본이었다. 인간공동체 최초의 세계전쟁이 끝났을 때 참상은 모두를 전율케 했다. 인간들은 골몰하였다. 이러한 대비극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요체는 과거청산과 반성이었다. 그러나 독일과 일본의 철저한 청산 및 반성은 없었다. 세계냉전의 엄습은 전쟁범죄에 대한 최소범위의 책임추궁만으로 과거청산을 종식하도록 요구하였다. 독일문제와 일본문제가 온전히 국제정치문제이자 세계양심문제인 이유였다. 또 오직 세계문제로 접근할 때만 해결 가능한 연유였다.

 군대·법조·관료·기업·학술·문화·예술… 거의 모든 영역에서 서독의 나치청산은 철저하지 않았다. 전후 활동한 각 분야의 나치연루 저명인사들의 명단은 충격적이다. 소수 핵심책임자들 외에는 처벌받지 않았거나 요식행위에 그쳤다. 심지어 홀로코스트 직접 연루자들조차 처벌을 면했다. 그들의 당당한 변명 앞에 세계의 양심은 다시 길을 잃었다.

 그러나 세 요인이 독일의 근본적 전환을 초래하였다. 하나는 유럽68혁명과 나라의 민주화였다. 68혁명의 열풍과 사회민주당의 집권 이후 나치청산과 자기반성은 독일 정치와 사회의 전면에 부상하였다.

 둘째, 국제연대와 압력이었다. 프랑스·폴란드·러시아의 철저한 나치청산과 유대인들의 국제연대는 결정적이었다. 나치만행은 본격적으로 복원되고 기억되며, 교육되고 공유되기 시작했다. 주변국들의 과거극복과 나치청산 국제압력 앞에서, ‘전전 독일’ 유산을 유지해서는 ‘전후 독일’의 국익추구는커녕 고립이 불가피했다. 독일의 많은 곳에서 나치반성시설들이 건립 또는 복원되었다. 아우슈비츠에서 예루살렘까지, 베를린에서 워싱턴까지 기억시설들이 들어서며 ‘전후 독일’은 마침내 ‘전전 독일’과 분리되어 세계와 함께하기 시작하였다. 나치청산에 대한 독일의 지원 역시 ‘전전 독일’과 ‘전후 독일’을 절연, 후자에 대한 세계의 인식을 바꾼 계기였다.

 셋째, 독일통일과 유럽화의 필요성 때문이었다. 나치청산 없이 분단을 극복하고 통합유럽의 일원이 된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유럽과 세계의 누구도 동의하지 않을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세기를 넘어 반복되는 일본 총리와 정부의 언명과 행동 앞에서 아시아는 다시 말을 잃는다. 철저한 과거청산은 고사하고 1급 전범이 다시 총리를 맡았던 ‘전후 일본’이다. 일본 스스로의 사실직시와 범죄의식, 과거청산과 주변존중을 기대하는 것은 이제 불가능하다. 비판과 비난은 결코 일본을 변화시킬 수 없다. 그렇다면 남은 방법은 없는가? 있다. 일본의 변화를 돕는 국제연대다.

 아시아 피해국들과 세계가, 독일처럼 일본이 ‘전전’ 군국일본, 국수일본, 침략일본, 파쇼일본과 단절하여 민주일본, 평화일본, 세계일본, 양심일본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 도와주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세계인들이 ‘전전 일본’의 만행을 보고 듣고 알고 기억하게 하는 것이다. 베이징·서울·호찌민·타이베이·하와이는 물론, 워싱턴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박물관 옆에 (일본) 잔인성(atrocity) 메모리얼 박물관, 또는 제노사이드 박물관을 건립하여 제국주의와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 일본의 학살·위안부·인권유린·강제징용·강제노동·식민침략…에 대한 모든 기록과 영상과 증언을 수집·전시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한국·중국·대만·베트남·필리핀·동남아 국가들…의 민간과 정부가 모두 참여한다. 물론 일본은 ‘진정한 전후’를 위해 핵심 참여국가가 되어야 한다. 일본의 불참은 일본의 국제고립과 손해를 야기할 것이다. 유엔과 미국, 독일도 참여한다. 베를린처럼 도쿄에도 학살기억 단독기념물들이 건립되어 일본 국민과 세계인들을 교육한다.

 아시아의 4대 국제전쟁인 동아시아7년전쟁(1592~1598), 청일전쟁, 러일전쟁, 아시아-태평양전쟁에서 일본은 항상 침략자 또는 중심국가였다. 심지어 중국·한국·베트남에서의 전후 전쟁들조차 일본군 무장해제를 위한 (일방명령1호를 통한) 분단 때문이었다. 즉 일본제국주의의 산물이었다. 일본은 아시아 ‘모든’ 주요 전쟁의 당사자·책임자·연루자 가운데 하나였다.

 세계와 아시아는 일본과 함께 평화를 만들어가지 않으면 안 된다. 아시아 과거극복 세계연대운동에서 아시아 인권과 민주주의, 평화의 선도국가인 한국이 앞장서자. 먼저 희생하자. 내부의 과거 극복노력과 모금운동, 토론모임부터 시작하자. 그리하여 2019년, 안중근 거사 110주년-3·1운동 100주년에 베이징·도쿄·서울·워싱턴 각지 ‘잔인성 박물관’의 준공식 또는 기공식을 갖자.

박명림 연세대 교수, 베를린자유대 초빙교수

.
.
프린트
프린트
메일로보내기
메일로보내기
내블로그에 저장
내블로그에 저장
콘텐트 구매
콘텐트 구매
PDF보기
PDF
기사공유
Recommend
Recommend
32
더보기 .

포토뉴스

중앙일보 핫클릭

로그인 선택하기
조인스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중앙일보,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으로 댓글 이용이 가능합니다. 소셜댓글이란
소셜댓글이란?
회원님이 사용중인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으로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
작성하신 댓글은 로그인을 선택한 계정에 해당하는 서비스로도 동시에 제목과 링크가 포함되어 전송 됩니다.
기사 내보내기 레이어 닫기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에러 레이어 닫기
나도한마디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사용자이미지
댓글 등록
.
.
총 의견수
5개
.
.
로딩중
댓글입력자 twitter 이미지
gang ho 2014-02-07 오후 1:52:57
추천 1 반대 0신고
지금의 독일이라고 일본 극우 같은 자들이 없을까. 자학사관이라며 반성조차 잊고 싶어하는 사람들, 일본 좋아하는 독일인들 많다. 하지만 이들이 안먹히는 이유는 유럽사회는 기독교정신이 기본이기 때문이다. 답글 달기
gang ho 2014-02-07 오후 2:18:16신고
유럽의 68혁명은 좌파운동으로, 교회가 사회의 양심세력으로 나서지 않았을때 발생한 운동입니다.
댓글입력자 twitter 이미지
gang ho 2014-02-07 오후 1:33:29
추천 1 반대 0신고
저렇게 나치 청산에 주력하고도 작금의 독일, 오스트리아엔 소수의 신나치가 있다. 이들은 주로 힘없는 외국인들에게 분풀이를 한다. 그만큼 죄악은 대물림되기 쉽다. 답글 달기
gang ho 2014-02-07 오후 1:34:39신고
그나마 독일엔 교회가 있어 끝없이 회개하며 아이들을 잘 교육하지만, 일본은 아직도 인간을 우상화한 "천황"을 떠받들고 있다. 일본, 이대로 두면 정말 위험하다. 독일보다 배는 더 기념물이 필요하다.
댓글입력자 joins 이미지
winwin0907 2014-02-07 오전 7:31:57
추천 5 반대 0신고
멋진 제안입니다.. 강력추천합니다. 그리고 동참하고싶습니다. 답글 달기
AdChoices
AdChoices
AdChoices
AdChoices

이 시각 주요뉴스

.
.

오늘의 화제뉴스

.
.

JTBC 투데이핫

종합
정치
스포츠
연예
.
.
IMC 배너
댓글순
추천순
반대순
댓글 왕
.

JOINS 추천 기사

추천 스파이더 미디어 스파이더란?

미디어 스파이더란?
국내외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매체, SNS 등 다양한 미디어를 하나의 서비스에서 즐기고, 원하는 매체만을 쉽게 골라 구독해 보는 큐레이션 서비스입니다.
미디어 스파이더란? 레이어 닫기
.

중앙일보 트위터

더보기
.


.
  • 대한항공
  • 아시아나
  • 삼성
  • 일동후디스
  • 일동제약
  • 레미안
중앙일보
고객센터
광고안내
고충처리
제이큐브 인터랙티브
광고
제휴문의
회원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고객센터
.
중앙미디어네트워크 Jcube Interactive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콘텐트 문의]
Copyright by Jcube Interactive Inc. All Rights Reserved.RSS
Joins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