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Choices
AdChoices
RSSimaeil.com을 시작페이지로  주간매일프리타임하이스터디무지개세상광고구독안내
2013년 12월 17일(화) ㅣ
                      스포츠 | 연예
                                          사설 | 칼럼 | 無名칼럼
                                                           주말섹션 | 가볼만한 곳 | 맛집
                                                                            독자투고 | 자유게시판 | 독자제보 | 독자카페
                                                포토뉴스 | 이달의 독자사진 | 특종사진 갤러리 | 사진공모전 | 네티즌 광장
> 문화
RSS Twitter로 기사보내기 Facebook으로 기사보내기 Google bookmark로 기사보내기 Me2day로 기사보내기 NAVER Bookmark로 기사보내기
2013.12.16 크게보기 작게보기 프린트 이메일 보내기 목록
[역사 속의 인물] 조선 평민 첫 일본군 장성 홍사익
 
Garnier Olia
In diesem Video zeigen wir Dir, wie einfach man Olia anweden kann.
YouTube 표시 이름: Garnier Deutschland
 
 
“전쟁이 끝나면 고향에 돌아가 중학교 수학 교사로 조용히 살고 싶다.” 일제 강점기 때 창씨개명도 않고 떳떳하게 조선인임을 밝히면서도 일본군에서 장성(중장`왕족 아닌 조선 평민으로는 첫 사례)까지 올랐고, 2차 대전 뒤 한국인으로 유일하게 태평양전쟁의 B급 전범으로 1946년 필리핀에서 생을 마친 홍사익(洪思翊)의 꿈이었다고 한다.

1887년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나 1905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들어갔으나 1909년 학교 폐쇄로 국비로 일본에 유학, 육군사관학교에 이어 1923년 오늘 육군대학을 졸업했다. 졸업 후 일본군의 해외 전투에 투입돼 활약했다. 1941년 육군 소장에 올라 중국 허베이성 주둔 보병 여단장으로 있을 때는 중국 팔로군에 속해 있던 조선의 항일부대(조선민족혁명당 산하 조선의용대 화북지대)와 전투를 벌였는데 조선의용대원 4명이 숨지고 대장 등이 포로가 됐다.

1944년 남방총군 병참감 및 포로수용소장으로 필리핀 전선에 배치, 연합군 포로를 관리했다. 중장으로 진급됐고 1945년 종전을 맞았으며 포로에 대한 부하들의 잔학행위에 대해 책임을 지고 법정에 섰고 파란의 삶을 마감했다. 당시 국내서는 일본육사 동기생 등의 구명운동이 있었으나 무위로 끝났다. 일본에서는 1966년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됐으나 국내에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기록됐다.

정인열 서울지사장

매일신문 공식트위터 @dgtwt / 온라인 기사 문의 maeil01@msnet.co.kr
ⓒ매일신문사,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3.12.16
RSS Twitter로 기사보내기 Facebook으로 기사보내기 Google bookmark로 기사보내기 Me2day로 기사보내기 NAVER Bookmark로 기사보내기
0
SECURITY WARNING: Please treat the URL above as you would your password and do not share it with anyone.
SECURITY WARNING: Please treat the URL above as you would your password and do not share it with anyone.
Like
Like
10
Tweet
크게보기 작게보기 프린트 이메일 보내기 목록
 
Garnier Olia
In diesem Video zeigen wir Dir, wie einfach man Olia anweden kann.
YouTube 표시 이름: Garnier Deutschland
 
▲ 앞기사 → [2013/12/14 08:00] [역사 속의 인물] 언어장애를 극복한 영국 조지 6세
▼ 뒷기사 → [2013/12/16 07:07] [안상학의 시와 함께] 동막리 161번지 양철집-함민복(1962~)

//

소셜댓글 라이브리 영역. SNS 계정으로 로그인해 댓글을 작성하고 SNS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소셜로그인
    .
  • .
.
.
  • 로그인 전 프로필 이미지
  • .
.
  • 소셜계정으로 작성하세요

    • 0/250
    • .
  • .
.
.
.
 
`따뜻함+멋` 외투가 필요한 추운 겨울
추억거리가 사라진다
모자+귀마개 `고소모`
격포 어시장에서
[동호동락] 경남 창녕 ‘우포늪’
겨울방학 청소년 프로그램 뭐 있나
겨울방학 청소..
청소년 캠프 안전성 확인 어떻게 할..
기다려주는 부모
인문학은 인간 보편적 가치의 회복
[이름이 뭐니?] 꽃향유
안동공무원 김윤한 씨 콩트·산문집 출간
안동에서 살면서 활발한..
7급 국가직 최종합격자 628명 발표
영주署 박오규·서창석 경위 심폐소생술..
대구시 미소친절왕 최우수상 문정화·이..
[인사] 대법원·경상북도
방은진, 그녀는 진정한 ‘여성’ 감독이다
한국영화의 가장 큰..
[새 영화] 풍경
[새 영화]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
경남 거제도 북병산 바위병풍 산 정상부…
[산사랑 산사람] 만연산·수레바위산·지장산
[산사랑 산사람] 통영 두미도 천황산
난 입문하기
난을 키우고 싶어하는..
[동호동락] 체험활동
[동물의 세계] 식탐 많은 반려견
매일신문 사이트맵
뉴스 스포츠·연예 사설·칼럼 주말을 함께 독자제보 게시판 포토갤러리 뉴스플러스
전체기사
사회
경제
부동산
정치
국제
문화
대구
경북
교육
사람들
건강
여성생활
 
스포츠
연예
사설
칼럼
수암칼럼
주말섹션
가볼만한 곳
맛집
독자투고
자유게시판
독자제보
독자카페
포토뉴스
이달의 독자사진
특종사진 갤러리
사진 공모전
네티즌 광장


회사소개 I 구독안내 I 광고안내 I 고충처리인 운영 규정 I I 개인정보취급방침 I Family Site :
본사 :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20 (계산 2가 71번지) 매일신문사 (우 700-715) : TEL : (053) 255-5001~7 서울지사 : (02) 733-0755~6
Copyright by 매일신문사.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