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che) 朴대통령 "2020년 세계무역 5강…무역 2조달러 달성" | 연합뉴스

연합뉴스 뉴스 홈

다국어 사이트 바로가기
영어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패밀리 사이트 바로가기
한민족센터
축제장터
이매진
콘텐츠판매
헬로포토

로그인



광고배너

기본 서비스

검색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미투데이


속보

핫이슈
  1. 1
  2. 1
  3. 1
  4. 1
  5. 1

광고배너


경제분야 뉴스입니다.

네이버뉴스스탠드, 뉴스Y 서비스 오픈
기사보기옵션

朴대통령 "2020년 세계무역 5강…무역 2조달러 달성"

제2의 무역입국 선포식
제2의 무역입국 선포식
(서울=연합뉴스) 도광환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0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제2의 무역입국'을 선포하는 퍼포먼스를 마친뒤 박수치고 있다. 2013.12.5 dohh@yna.co.kr

무역의 날 기념식 축사…"제2무역입국…TPP 등 적극 대응"

新수출산업, 중소.중견기업 수출역량 제고ㆍ세일즈외교 3대과제 제시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은 5일 "무역을 통한 경제부흥을 이루기 위해 '제2의 무역입국'을 향해 나아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코엑스에서 열린 제50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 참석, 축사를 통해 "올해 사상 최대 수출, 최대 무역흑자, 3년 연속 무역 1조 달러라는 놀라운 성과가 예상되고 있지만 안주할 수만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제 저는 2020년 세계무역 5강, 무역 2조 달러 달성을 목표로 새로운 수출 산업 육성과 중소ㆍ중견기업의 수출역량 제고, 세일즈외교와 자유무역기반 강화라는 3대 과제를 적극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극지용 시추선' 보는 박 대통령
'극지용 시추선' 보는 박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도광환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0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 앞서 ‘한국무역 50년 특별전시장’을 방문해 '세계 최초의 극지용 시추선' 모형을 참관하고 있다. 2013.12.5 dohh@yna.co.kr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제조업 위주의 무역구조에서 벗어나 서비스와 복합시스템, 중계ㆍ가공 무역과 같은 새로운 수출 산업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며 "영화, 음악, 드라마 등 한류 문화콘텐츠와 패션, 디자인 등 서비스 산업은 새로운 수출산업으로서 충분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전자정부 시스템과 지능형교통 시스템, 플랜트 운영ㆍ보수와 디지털 병원 등 서비스와 IT를 결합한 복합시스템 또한 우리 무역의 새로운 블루오션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동북아의 중심이라는 지리적 이점과 자유무역협정(FTA)의 제도적 기반, 우리 기업의 글로벌 생산망을 결합한다면 중계ㆍ가공무역의 강국으로 우뚝 설 수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니 2' 보는 박 대통령
'포니 2' 보는 박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도광환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0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 앞서 ‘한국무역 50년 특별전시장’을 방문해 '포니 2' 승용차를 참관하고 있다. 2013.12.5 dohh@yna.co.kr

박 대통령은 이어 "역량있는 내수 중소기업과 수출 초보기업을 새로운 수출역군으로 키워나갈 것"이라며 "현재 323만개 중소ㆍ중견기업 중 8만6천개(2.7%)만이 수출을 하고 있지만 이 기업들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작지만 강한 중소, 중견기업들에 우리 무역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내년 상반기까지 해외 34개국에 있는 우리 수출지원기관의 무역정보를 연계ㆍ통합해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스마트 통관시스템을 구축해 수출 전 과정에 걸쳐 맞춤형 컨설팅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보호무역주의와 신지역주의에 대응해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를 전개하고 우리 기업들에 우호적인 무역환경을 만들어 가겠다"면서 "세일즈 외교에 참여한 기업들이 발굴한 사업기회가 현실화될 수 있도록 정상회의 성과정보를 공유하면서 국가별 특성에 맞는 세일즈 외교 전략 로드맵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한ㆍ중 FTA를 통해 중국 내수시장 진출기반을 만들고,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범대서양 무역투자동반자협정(TTIP) 등 앞으로 논의될 지역무역협정 논의동향에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south@yna.co.kr


실버라이트 설치하기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12/05 10:33 송고

관련 외국어 기사보기

朴대통령 "2020년 세계무역 5강…무역 2조달러 달성" 기사 공유하기
트위터와페이스북

그 외 기사 모음

차 바꾸고 싶은데...내 차 팔면 얼마? 카즈광고

광고

많이 본 사진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