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com chosun.com

chosun.com chosun.com

조선닷컴을 설정
中文 · English · 日本語
구독신청

검색
통합검색
조선닷컴 메뉴
뉴스
오피니언
경제
스포츠
연예
라이프
프리미엄조선
프리미엄조선
프리미엄조선
프리미엄조선
프리미엄조선
입력 : 2013.11.08 03:01 | 수정 : 2013.11.08 09:49

['사이언스' 등에 게재돼 세계적 주목… "연구결과 재현 안 돼" 책임저자 美교수가 철회]

전문가들 "조작됐다는 의미"… 일부선 "제2의 황우석 사태"
한때 100회 이상 인용되며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로 꼽혀
국내 대학 교수 된 당사자들 "조작한 건 아니다" 해명


	논문 조작 일지표
우리나라 연구자들이 논문 제1 저자로 참여해 세계적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와 플로스 원(PLoS ONE)에 게재했던 생명공학 분야의 저명 논문 두 편이 '결과가 재현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철회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연구 진실성 전문가들은 '결과가 재현되지 않는다'는 것은 논문이 조작됐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문제의 논문은 벼에 특정 단백질을 투입했을 때 병원균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규명한 혁신적 연구 결과로 주목받으면서 100회 이상 인용됐고, 두 한국인 연구자가 주(主) 저자로 참여한 논문이어서 국내 학계는 충격에 빠졌다. 과학자들의 모임인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서는 이번 논문 철회를 두고 '제2의 황우석 사태'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7일 관련 학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두 논문의 책임 저자이자, 이 분야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인 캘리포니아 데이비스대(UC Davis)의 패멀라 로널드(Pamela Ronald) 교수는 지난달 미국의 유명 대중 과학 잡지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블로그에 논문을 철회(Retraction)한다는 글을 남겼다. 그는 "실험 과정에서 샘플이 뒤바뀌는 일이 있었고, 실험 결과가 일관되지 않아 논문을 철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논문은 2009년 사이언스에 게재된 '단백질 방출 유형 1로 방출되는 유황 함유 펩티드 벼의 XA21 저항성 유전자에 의한 면역 기능 유도'와 2011년 플로스 원의 '그람음성균에서 저분자 단백질에 의한 세균의 밀도 인식 기능'이다. 벼에 'AX21'이라는 단백질을 투입하면 병원균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규명해 2011년 3월 톰슨 로이터의 '뉴 핫 페이퍼'에 선정되기도 했다.

당시 주 저자로 참가한 박사후(後)과정(Post Doctor)의 이모 연구원과 한모 연구원은 각각 2010년과 2012년에 경희대와 중앙대 교수로 임용됐다.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서도 이들을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로 소개했다. 사이언스 논문에는 두 교수 이외에도 두 명의 한국인 연구진이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 논문에는 화학적으로 합성한 'AX21' 펩티드를 투입하면 벼의 면역 기능이 유도된다고 돼 있지만 후속 연구자 실험에서는 해당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고, 논문의 원저자도 연구 결과를 재현해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분야에 정통한 생명공학 분야의 한 교수는 "두 사람이 캘리포니아 데이비스대에 있을 때는 문제가 없었지만 2011년 한모 연구원이 떠나고 새로운 연구자가 들어온 이후 논문 재현이 안 되기 시작했고, 조작에 대한 정황 증거가 잡히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국내 연구자들은 이번 논문 조작·철회 사태를 두고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를 중심으로 논쟁을 벌이고 있다. 생명공학에 정통한 한 서울대 교수는 "황우석 사태 이후로 다시 한 번 한국 학자의 신뢰도를 떨어뜨린 사태로 부끄럽고 창피한 일이며 죄질이 나쁘다"면서 "'철회될 논문을 쓰고 한국에서 교수로 임용되면 그걸로 끝 아니냐'는 냉소적 반응도 나올 만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논문이 잘못돼 철회된 것은 맞지만, 실수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할 것 같다"는 신중론도 있다.

논문 주 저자인 경희대 이모 교수는 7일 본지와 통화에서 "연구를 이어받았을 뿐이며 샘플이 바뀐 줄 몰랐다"고 해명했고, 중앙대 한모 교수는 "철회된 것은 맞지만 조작은 아니다"고 말했다.

TV조선 화면 캡처
한국 과학자 저명 논문 2편 조작 파문
X
키워드 |

국내 연구자들은 이번 논문 조작·철회 사태를 두고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를 중심으로 논쟁을 벌이고 있다. 생명공학에 정통한 한 서울대 교수는 "황우석 사태 이후로 다시 한 번 한국 학자의 신뢰도를 떨어뜨린 사태로 부끄럽고 창피한 일이며 죄질이 나쁘다"면서 "'철회될 논문을 쓰고 한국에서 교수로 임용되면 그걸로 끝 아니냐'는 냉소적 반응도 나올 만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논문이 잘못돼 철회된 것은 맞지만, 실수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할 것 같다"는 신중론도 있다.

논문 주 저자인 경희대 이모 교수는 7일 본지와 통화에서 "연구를 이어받았을 뿐이며 샘플이 바뀐 줄 몰랐다"고 해명했고, 중앙대 한모 교수는 "철회된 것은 맞지만 조작은 아니다"고 말했다.

TV조선 화면 캡처
한국 과학자 저명 논문 2편 조작 파문
X
키워드 |
국내 연구자들은 이번 논문 조작·철회 사태를 두고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를 중심으로 논쟁을 벌이고 있다. 생명공학에 정통한 한 서울대 교수는 "황우석 사태 이후로 다시 한 번 한국 학자의 신뢰도를 떨어뜨린 사태로 부끄럽고 창피한 일이며 죄질이 나쁘다"면서 "'철회될 논문을 쓰고 한국에서 교수로 임용되면 그걸로 끝 아니냐'는 냉소적 반응도 나올 만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논문이 잘못돼 철회된 것은 맞지만, 실수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할 것 같다"는 신중론도 있다.

논문 주 저자인 경희대 이모 교수는 7일 본지와 통화에서 "연구를 이어받았을 뿐이며 샘플이 바뀐 줄 몰랐다"고 해명했고, 중앙대 한모 교수는 "철회된 것은 맞지만 조작은 아니다"고 말했다.

TV조선 화면 캡처
한국 과학자 저명 논문 2편 조작 파문
'논문 조작' 사례,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제2의 황우석 사태,
생물학연구정보센터
SECURITY WARNING: Please treat the URL above as you would your password and do not share it with anyone.
SECURITY WARNING: Please treat the URL above as you would your password and do not share it with anyone.
  • Recommend
    Recommend
    116115
  • 2

100자평

2013.11.08 06:01:28신고 | 삭제
국제학술지에 게재할 실험결과는 몇번이고 그 정확성을 확인할텐데, 실수했다는 건 궁색한 핑게 같다.
2013.11.08 15:43:15신고 | 삭제
세균은 자장 인식도 하지만 단백질 때문에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리보좀" 때문에 인식하는 것이고 식물 세포의 후형질이 바뀌어서 다른 "RNA"를 작동하게 한다는 이론은 "세포 배양액 때문에 "스템셀"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논리처럼 허구일 수도 있지만 방추사 분열을 봐도 수용체나 그런 효소가 중요하지 단백질 투입으로는 역시 어렵지 않나 합니다. 더 "마이크로"해야 설명이 돼요.
2013.11.08 14:58:45
관리자가 (비속어/비하) 사유로 100자평을 삭제하였습니다
2013.11.08 14:26:25신고 | 삭제
우리나라현 평가시스템에서는 거짖말을 잘하는 과학자가 최고과학자입니다!
2013.11.08 13:06:04신고 | 삭제
정치가들이나 법관들이 비투러진 짓을 하는것은 그래도 이해가 되는데 명색이 학문을 하는 이런사람들이 사기에 가까운 표절 내지 거짓을 하는 짓은 정말 구역질 나는 일이고 나라의 망신이다 그런 짓거리를 하고도 뻐젓이 행세를 할수있는 토양이다 보니 끊임없이 이런 파렴치들이 속출하는 것이다 아예 학계에서나 사회에서 이런자들을 매장을 시켜야 한다
2013.11.08 11:25:12신고 | 삭제
너무 욕하지 마소. 생명과학하는 분들 너무 힘들어요.

100자평 내보내기페이스북트위터미투데이다음요즘조선블로그
·
조선닷컴 MY뉴스로 설정하러가기
가장 많이 본 뉴스
  • 인기뉴스
  • 고교가이드
  • 대입전략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지 못했습니다.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요청하신 페이지의 주소가 잘못 입력되었거나 페이지 주소의 변경 혹은 삭제로 인하여
사용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요청하신 페이지의 주소를 다시 한 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같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고객센터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조선닷컴 홈으로 이동
통합검색
조선일보 chosun.com Copyright © 2010 Chosun.com All rights reserved. ☎ 02)724-5114
온라인 뉴스 구독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뉴스레터 RSS
  • 종합
  • 정치경제사회국제문화사설
  • 스포츠
  • 연예
  • 라이프
  • 페이스북
  • 100자평 인기기사
  • 뉴스
  • 인물
오늘의 뉴스브리핑 바로가기
오늘의 뉴스 브리핑
통증으로 괴로운 관절…나이와 상관없이 나타난다
  • chosun.com
  • Copyright (c) chosun.com All rights reserved.
  • ☎ 02) 724-5114
  • 우리이웃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