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에 퍼진 종이접기 한류 “종주국, 일본 아닌 한국”

글자크기 글자 크게글자 작게
.

몽골에 퍼진 종이접기 한류 “종주국, 일본 아닌 한국”

[중앙일보] 입력 2012.10.10 00:00 / 수정 2012.10.10 00:47

노영혜 종이문화재단 이사장
울란바토르 강사 450명 양성

지난 주말 몽골 울란바토르대학 강의실. 새 한류로 떠오른 ‘종이접기’ 강사 자격 취득 과정에 수백 명이 몰렸다. 전력 사정이 나빠 강의실이 컴컴해지기도 했지만 한국인 강사 20여 명으로부터 종이접기를 배우려는 몽골인들의 열정은 뜨거웠다.

 수강생들은 곳곳에서 ‘조이 조이 조이’를 외쳤다. 종이의 옛말 ‘저이’와 기쁨이란 뜻의 영어 ‘조이(joy)’를 함께 담은 구호다. 행사를 주도한 종이문화재단 노영혜(63·사진) 이사장은 “이어령 중앙일보 상임고문이 만들어준 구호”라며 “몽골에서 3년간 배출된 450여 명의 강사들이 종이문화를 전파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1989년 한국종이접기협회를 만든 노 이사장은 사재까지 들여 국내외 20만 명의 종이접기 강사를 길러냈다.

 종이학 천 마리를 접어 소원 성취를 기도하는 건 일본이 일찍 키운 국력을 바탕으로 세계에 퍼트린 습속이다. 그렇다고 종이접기의 종주국이 일본일 수는 없다. 우리나라에서도 864년 도선국사가 종이학을 던져 떨어진 지점에 옥룡사를 창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등 전통에서 결코 뒤지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610년 고구려 승려 담징이 종이를 일본에 전파할 때 종이접기도 건너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노 이사장은 “방의 문·바닥·벽·천장 할 것 없이 온통 종이로 마감하는 민족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며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해외봉사단과 세계 각지의 한민족 네트워크를 활용해 종이접기 문화를 전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공적기관의 ‘오리가미’(종이접기의 일본 말)보급 노력을 우리 정부도 참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
.
프린트
프린트
메일로보내기
메일로보내기
내블로그에 저장
내블로그에 저장
콘텐트 구매
콘텐트 구매
PDF보기
PDF
기사공유
Recommend
Recommend
10
더보기 .
로그인 선택하기
조인스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중앙일보,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으로 댓글 이용이 가능합니다. 소셜댓글이란
소셜댓글이란?
회원님이 사용중인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으로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
작성하신 댓글은 로그인을 선택한 계정에 해당하는 서비스로도 동시에 제목과 링크가 포함되어 전송 됩니다.
기사 내보내기 레이어 닫기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에러 레이어 닫기
나도한마디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사용자이미지
댓글 등록
.
.
총 의견수
0개
.
.
로딩중
AdChoices
AdChoices
AdChoices
AdChoices

이 시각 주요뉴스

.
.
사회
종합
스포츠
연예
.
IMC 배너
댓글순
추천순
반대순
댓글 왕
.

중앙일보 트위터

더보기
.


.
  • 대한항공
  • 아시아나
  • 삼성
  • 일동후디스
  • 일동제약
  • 레미안
중앙미디어네트워크 Jcube Interactive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콘텐트 문의]
Copyright by Jcube Interactive Inc. All Rights Reserved.R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