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gA.com

전체검색

뉴스 > IT/의학

조선시대 왕들은 어떤 질병 앓았나 “세종, 비만에 당뇨병”

기사입력 2005-08-22 03:03:00 기사수정 2009-10-08 21:30:17
‘세종은 비만과 당뇨, 광해군은 화병과 눈병.’
조선시대 왕들의 질병과 치료법을 통해 이 시대 의학 변천사를 연구한 박사학위 논문이 나왔다. 서울대 대학원 의학과에서 의사학(醫史學)을 전공한 김정선(金正善) 씨는 최근 ‘조선시대 왕들의 질병치료를 통해 본 의학의 변천’이란 제목의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해 이달 말 학위를 받을 예정이다.
논문에 따르면 세종(世宗·1397∼1450)은 젊은 시절 육류 없이는 식사를 못할 정도로 육식을 좋아했으나 운동을 싫어해 비만한 체구였다. 또 35세 무렵에는 하루에 마시는 물의 양이 한 동이가 넘을 정도였던 것으로 미뤄 당시 당뇨병을 앓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김 씨는 밝혔다.
문종(文宗·1414∼1452)은 세자 때부터 종기에 시달렸다. 그러나 치료법은 종기 부위에 고약이나 거머리를 붙이는 정도여서 40세가 안 돼 종기 악화로 숨졌다. 성종(成宗·1457∼1494)은 어려서부터 여름만 되면 더위병에 시달려 이 병으로 인사불성이 된 적도 있다.

연산군(燕山君·1476∼1506) 때는 의원들이 음욕(淫慾)을 채우려는 연산군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양기(陽氣)를 돕는 풀벌레와 뱀을 진상했다는 기록이 있다. 중종(中宗·1488∼1544)은 해열제로 야인건수(野人乾水)를 먹었다는 내용도 나온다. ‘야인건’이란 인분(人糞)을 말한다.
임진왜란 이후 침구술이 발달해 왕의 건강과 질병치료를 담당한 기관인 내의원(內醫院) 치료에 널리 쓰이면서 화병과 눈병을 앓던 광해군(光海君·1575∼1641)은 먹는 약보다 침을 많이 맞았다. 평소 보양법을 중시한 영조(英祖·1694∼1776)는 자신의 건강 비결을 ‘인삼의 정기’라고 생각해 72세 되던 해에는 1년에 20여 근의 인삼을 먹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영조는 철저한 건강관리로 조선시대 왕 중 최장 수명을 누렸다.
김 씨는 논문에서 “조선시대 왕들의 질병 치료 내용은 조선시대 의학발달에 영향을 미쳤다”며 “민간인들도 내의원의 치료 방법을 모범적인 것으로 여겨 따라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종석 기자 wing@donga.com
김재영 기자 jaykim@donga.com


  • Facebook
  • twitter
  • me2day
  • cyworld
  • naver
  • google
  • 프린트
  • 이메일
  • 스크랩
0





클릭클릭 많이 본 뉴스

종합

정치

스포츠

연예

  1. 1 ‘설리-최자 열애설’ 개코는 알고 있었다? 랩 가사 ‘눈길’
  2. 2 ‘최자 설리 열애설’ 전 여친 한지나 ‘설리 닮았네’
  3. 3 ‘100억 탕진’ 한지일, “어머니 지병 몰라 숨졌다” 오열
  4. 4 ‘주군의 태양’ 공효진목걸이 경매, 300만 원 돌파 ‘관심’
  5. 5 ‘주군의 태양’ 박희본, ‘커피귀신’ 고낙현-이재원과 찰칵
  1. 6 오종혁, 입대 전 “소연, 사인 보내달라”…당시 이미 연인사이
  2. 7 ‘짝’ 돌싱특집, 미혼녀는 왜 나왔나?
  3. 8 크리스티나, 성악가 남편 공개 “첫눈에 반해 한국행”
  4. 9 ‘주군의 태양’ 반전, 죽은 줄 알았던 차희주 살아있어…“소름”
  5. 10 소연 열애인정 “오종혁과 3년열애, 해병대 제대 기다린 고무신”

사회

국제

AdChoices
AdChoices

오늘의 dongA.com

핀터레스트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donga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3가 139 | 등록번호 :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 2009년 1월16일 | 발행·편집인 : 김일흥
모든 콘텐츠를 커뮤니티, 카페, 블로그 등에서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by 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