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뉴스 홈

다국어 사이트 바로가기
영어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패밀리 사이트 바로가기
한민족센터
축제장터
이매진
콘텐츠판매
헬로포토

2013.09.07( 토 )

광고배너

기본 서비스

검색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미투데이


속보

中주룽지 전 총리 장학기금으로 36억 기부
주룽지(朱鎔基) 전 중국 총리가 2천만 위안(35억7천만원)을 출연한 '실사조학기금회'(實事助學基金會) 설립사업이 추진된다고 중국언
<뭐 '우루사'가 피로해소제가 아니라 소화제라고?>(종합)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피로해소 보다는 소화제에 가까워" 주장 대웅제약[069620] "피로해소 효능 인정받은 의약품" 반박 대대적인

광고배너


경제분야 뉴스입니다.

  • 1 USD
  • 1092.5
  • 100 JPY
  • 1096.12
  • CD
  • 3.11%
  • 0.01
  • 회사채(3년)
  • 3.31%
  • 0.01
  • 국고채(5년)
  • 2.88%
  • 0.01
작년 한국 경제성장률 세계 117위…2년새 60계단 추락기사 공유하기
트위터와페이스북
Recommend
Recommend
54
13
종합5개SNS
기사보기옵션

작년 한국 경제성장률 세계 117위…2년새 60계단 추락

서울 명동에서 세일중인 상점 앞을 시민이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DB>>
OECD내 성장률 순위도 2위→8위→10위로 매년 떨어져
유럽 주요국 대거 마이너스 성장…미·일은 성장세 강화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년 연속 하락하면서 전세계 189개 국가 중 순위가 57위에서 117위로 추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내 순위도 최상위권에서 중위권으로 내려앉았다.

4일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월드 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 따르면 한국의 2012년도 실질 GDP 성장률은 2.0%로 세계 189개국 가운데 117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2010년의 경우 6.3%로 세계 57위였지만, 2011년에는 3.6%로 102위로 밀려났다. 작년에는 결국 2.0%까지 떨어져 2년 사이 60계단이나 내려갔다.

반면 내전 종식의 여파에서 벗어난 리비아는 작년 한 해 동안 무려 104.5%의 성장률을 보이며 1위에 올랐다.

이어 시에라리온(19.8%), 몽골(12.3%), 니제르(11.2%), 투르크메니스탄(11.0%), 파나마(10.7%), 아프가니스탄(10.2%) 등이 10위권에 들었다.

부산 감만부두에서 화물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DB>>
OECD 회원 34개국의 실질 GDP 성장률 추이를 살펴봐도 한국의 순위는 빠르게 추락하고 있다.

한국의 OECD내 성장률 순위는 2010년 2위로 최상위권이었지만 2011년에는 8위로 떨어졌고, 작년에는 중위권에 가까운 10위로 내려왔다.

OECD에 속한 유럽 주요국도 성장률이 대체로 악화했다.

독일의 작년 실질 GDP 성장률은 0.7%로 전년도(3.1%)보다 2.4%포인트 낮아졌고, OECD내 순위는 10위에서 20위로 10계단 떨어졌다. 영국의 성장률도 0.9%에서 0.2%로 0.7%포인트 하락했다.

그리스(-6.4%)와 포르투갈(-3.2%), 이탈리아(-2.4%), 슬로베니아(-2.3%), 헝가리(-1.7%), 스페인(-1.4%) 등 여타 유럽 국가들은 대거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브릭스(BRICs) 국가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래픽> OECD 실질 GDP 성장률 순위
<그래픽> OECD 실질 GDP 성장률 순위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년 연속 하락하면서 전세계 189개 국가 중 순위가 57위에서 117위로 추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내 순위도 최상위권에서 중위권으로 내려앉았다. kmtoil@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중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2011년 9.3%에서 2012년 7.8%로 1.5%포인트 내렸고, 세계 순위도 11위에서 19위로 내려갔다. 러시아와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실질 경제성장률도 전년도보다 0.9∼1.8%포인트씩 하락했다.

하지만 미국과 일본은 경제 성장률과 세계 순위가 대폭 개선됐다.

미국의 작년도 성장률과 OECD내 순위는 각각 2.2%와 9위로 2011년(1.8%·18위)보다 0.4%포인트와 9위씩 높아졌다. 일본 역시 성장률과 OECD내 순위가 같은 기간 -0.6%와 32위에서 2.0%와 10위로 올라갔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2010년 유로존 재정위기의 충격과 중국의 성장률 둔화가 겹친 결과 지난 2년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크게 위축됐다"면서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올해 하반기부터는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내수는 여전히 위축돼 있지만 수출 모멘텀이 강해지고 있는 만큼 올해는 한국은행 전망치인 2.8%나, 이를 넘어 3.0%까지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저성장 구조 고착화와 잠재성장률 하락 때문에 한국이 과거와 같은 고성장세를 되찾기는 힘들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의 작년 구매력 평가 기준(PPP) GDP 규모는 1조6천400억달러로 작년에 이어 세계 13위를 차지했다. 수출은 5천526억 달러로 세계 7위를 유지했고, 수입은 5천142억 달러로 작년보다 한 계단 올라선 8위로 나타났다.

실업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2%와 2.2%로 집계됐고, 공공부채는 GDP의 36.7%로 95위였다.


실버라이트 설치하기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9/04 07:00 송고
관련기사
세계경제포럼 "한국 국가경쟁력 25위…6단계 밀려나"| 2013/09/04 07:00

그리스(-6.4%)와 포르투갈(-3.2%), 이탈리아(-2.4%), 슬로베니아(-2.3%), 헝가리(-1.7%), 스페인(-1.4%) 등 여타 유럽 국가들은 대거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브릭스(BRICs) 국가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래픽> OECD 실질 GDP 성장률 순위
<그래픽> OECD 실질 GDP 성장률 순위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년 연속 하락하면서 전세계 189개 국가 중 순위가 57위에서 117위로 추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내 순위도 최상위권에서 중위권으로 내려앉았다. kmtoil@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중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2011년 9.3%에서 2012년 7.8%로 1.5%포인트 내렸고, 세계 순위도 11위에서 19위로 내려갔다. 러시아와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실질 경제성장률도 전년도보다 0.9∼1.8%포인트씩 하락했다.

하지만 미국과 일본은 경제 성장률과 세계 순위가 대폭 개선됐다.

미국의 작년도 성장률과 OECD내 순위는 각각 2.2%와 9위로 2011년(1.8%·18위)보다 0.4%포인트와 9위씩 높아졌다. 일본 역시 성장률과 OECD내 순위가 같은 기간 -0.6%와 32위에서 2.0%와 10위로 올라갔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2010년 유로존 재정위기의 충격과 중국의 성장률 둔화가 겹친 결과 지난 2년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크게 위축됐다"면서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올해 하반기부터는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내수는 여전히 위축돼 있지만 수출 모멘텀이 강해지고 있는 만큼 올해는 한국은행 전망치인 2.8%나, 이를 넘어 3.0%까지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저성장 구조 고착화와 잠재성장률 하락 때문에 한국이 과거와 같은 고성장세를 되찾기는 힘들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의 작년 구매력 평가 기준(PPP) GDP 규모는 1조6천400억달러로 작년에 이어 세계 13위를 차지했다. 수출은 5천526억 달러로 세계 7위를 유지했고, 수입은 5천142억 달러로 작년보다 한 계단 올라선 8위로 나타났다.

실업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2%와 2.2%로 집계됐고, 공공부채는 GDP의 36.7%로 95위였다.


실버라이트 설치하기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9/04 07:00 송고
관련기사
세계경제포럼 "한국 국가경쟁력 25위…6단계 밀려나"| 2013/09/04 07:00
그리스(-6.4%)와 포르투갈(-3.2%), 이탈리아(-2.4%), 슬로베니아(-2.3%), 헝가리(-1.7%), 스페인(-1.4%) 등 여타 유럽 국가들은 대거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브릭스(BRICs) 국가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래픽> OECD 실질 GDP 성장률 순위
<그래픽> OECD 실질 GDP 성장률 순위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년 연속 하락하면서 전세계 189개 국가 중 순위가 57위에서 117위로 추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내 순위도 최상위권에서 중위권으로 내려앉았다. kmtoil@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중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2011년 9.3%에서 2012년 7.8%로 1.5%포인트 내렸고, 세계 순위도 11위에서 19위로 내려갔다. 러시아와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실질 경제성장률도 전년도보다 0.9∼1.8%포인트씩 하락했다.

하지만 미국과 일본은 경제 성장률과 세계 순위가 대폭 개선됐다.

미국의 작년도 성장률과 OECD내 순위는 각각 2.2%와 9위로 2011년(1.8%·18위)보다 0.4%포인트와 9위씩 높아졌다. 일본 역시 성장률과 OECD내 순위가 같은 기간 -0.6%와 32위에서 2.0%와 10위로 올라갔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2010년 유로존 재정위기의 충격과 중국의 성장률 둔화가 겹친 결과 지난 2년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크게 위축됐다"면서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올해 하반기부터는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내수는 여전히 위축돼 있지만 수출 모멘텀이 강해지고 있는 만큼 올해는 한국은행 전망치인 2.8%나, 이를 넘어 3.0%까지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저성장 구조 고착화와 잠재성장률 하락 때문에 한국이 과거와 같은 고성장세를 되찾기는 힘들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의 작년 구매력 평가 기준(PPP) GDP 규모는 1조6천400억달러로 작년에 이어 세계 13위를 차지했다. 수출은 5천526억 달러로 세계 7위를 유지했고, 수입은 5천142억 달러로 작년보다 한 계단 올라선 8위로 나타났다.

실업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2%와 2.2%로 집계됐고, 공공부채는 GDP의 36.7%로 95위였다.


실버라이트 설치하기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9/04 07:00 송고
<표> 2010∼2012년 세계 189개국 GDP 성장률 추이| 2013/09/04 07:00

소셜댓글 라이브리 영역. SNS 계정으로 로그인해 댓글을 작성하고 SNS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소셜로그인
    .
  • .
.
.
  • 로그인 전 프로필 이미지
  • .
.
  • 소셜계정으로 작성하세요
    • 0/250
    • .
  • .
.
.
.
전체댓글수 2
  • .
.
.
.
전체댓글수 2
  • . .
    .
    .
    전체댓글수 2
      반대순 .
    .
    • 2013-09-04 11:04:45
    • .
    • .
    헐...
    • .
    공유된 SNS
    Twitter
    Facebook
    .
    .
    .
    .
    • 2013-09-04 09:07:50
    • .
    • .
    세계경제가 다 같이 침체기였다고 하지만 국내 언론을 통해서 보면 이명박정권이 외교와 경제분야에서는 선방했다고 그렇게 떠들던데 실체는 아이러니하구만...
    • .
    공유된 SNS
    Facebook
    .
    .
    .
    .
    .
    .
    Google 광고
    Google 광고

    이전화면홈으로맨위로

    그 외 기사 모음

    차 바꾸고 싶은데...내 차 팔면 얼마? 카즈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 하위메뉴
    종합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애드티브 광고


    오늘의 주요기사

    오늘의 주요기사
    종합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많이 본 사진

    14

    하단메뉴

    주요기타메뉴
    계약사.제휴문의
    상품소개
    광고안내
    출판물
    콘텐츠판매
    인물정보
    독자게시판
    기사제보
    모바일뉴스 안내
    교통정보
    전체보기
    기타메뉴2
    회사소개
    저작권규약
    수용자권익위원회
    고충처리
    개인정보취급방침
    연합연감
    고향의향기
    월간마이더스

    발행인:송현승 | 편집인:이병로Copyright ⓒ Yonhapnews. All rights reserved. 02)398-3114
    특파원리포트 지금북한은 세계속한민족 책·서평 블로그
    닫기
    자동완성 끄기